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대선 전 美 국익에 윤석열 보다 이재명이 안전할 것이라고 주장한 한국계 미국인 교수, 내셔널인터레스트에도 尹 저격성 글

개인의 주장이 '내셔널인터레스트' 기사로 둔갑...다수 언론 매체 분석으로 인용 보도

최우석  월간조선 기자 woosuk@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29일(현지시간) 미국 안보전문지 내셔널인터레스트 '코리아 와치' 헤드라인. 작성자가 최승환 일리노이주립대 종신교수(국제관계학)라고 분명히 명시 돼 있지만, 다수의 국내 언론은 이 사실을 밝히지 않았다. 물론 몇몇 밝힌 언론도 있다. 사진=조선DB.

지난 대선과정에서 외교적 경험과 지식이 부족한 윤석열 후보보다 경기지사 경험을 가진 이재명 후보가 미국의 국익에 더 안전할 것이란 주장을 한 한국계 미국인인 최승환 일리노이주립대 종신교수(국제관계학)가 이번에는 지지율이 20%까지 하락한 윤석열 대통령이 너무 빨리 미국에 짐(liability)이 되고 있다는 글을 썼다. 


최승환 교수는 미 안보전문지 '내셔널인터레스트'에 'Can Biden Save South Korea’s Unpopular President From Himself?'(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인기 없는 한국의 대통령을 자신으로부터 구할 수 있을까)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 


최 교수는 윤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의 가장 큰 이유를 '검찰 정부'를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에서 주장하는 '검찰 편중 인사'와 궤를 같이한다. 


최 교수는 북한 미사일 도발 다음날 나온 음주 의혹,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비상대책회의 대신 머드 축제 참석,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출장에 부인 친구 동행 등을 지적하며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 능력과 자질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최 교수는 "국민들이 거리로 나와 윤 대통령의 잘못에 대해 항의하면 정권 교체가 일어날 가능성이 커져 진보 대통령이 한국의 백악관을 점거하게 될 것"이라고도 했는데, 보기에 따라서는 윤 대통령의 탄핵 가능성까지 언급한 것으로도 읽힐 수 있다. 


최 교수는 한국 국민들이 윤 대통령과 맞서게 되는 경우 미국은 미국 국익에 필수적인 한반도의 평화유지 방안에 대해 비상계획을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 


'내셔널인터레스트'가 최 교수의 글을 게재하는 것은 그들의 편집 권한이다. 최 교수가 글을 기고하는 것도 그의 자유다. 


다만, 국내 언론은 '미 안보매체가 윤 대통령 너무 빨리 미국의 짐이 됐다'고 보도하고 있는데, 정확히 표현하자면 최 교수의 개인적 분석과 주장을 미 안보매체가 게재했을 뿐이다. 


그런데 포털사이트 검색창에 '내셔널인터레스트' 만 입력하면 관련 기사들의 제목이 나오는데, 클릭해 보면 최 교수가 쓴 글이란 내용은 거의 없다. 


이 기사를 일반적인 관점에서 외신의 보도로 인용할 수 있느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정치권 관계자는 "최 교수의 글을 인용한 국내 기사를 보면 꼭 최 교수의 주장이 미국의 정론인것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최 교수 본인은 "자신은 자신의 분야에서 전문가라고 생각한다"고 하지만 그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는 쪽에서는 '편향성' 강한 학자라는 비판도 나온다.  


지난 2022년 2월 11일  한국기자협회가 주최한 대선후보 4자 간 TV토론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 후보는 외교·안보 이슈를 놓고 설전(舌戰)을 벌였다. 


이 후보는 미국 내 의회 전문 매체인 ‘더힐(The Hill)’에 게재된 최 교수의 글을 들어 윤 후보의 ‘호전성’을 문제 삼았고, 윤 후보는 저자에 대해 “엉뚱한 이야기하는 분으로 유명한 분”이라며 신뢰할 수 없다고 받아쳤다.


그러자 최 교수는 <조선일보>에 보낸 A4용지 2장짜리 입장문에서 11일 토론과 관련해 “두 후보 간의 토론이 한국의 안보를 실질적으로 어떻게 튼튼히 할 수 있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닌 제 개인에 대해 인격 모독성 발언으로 이어져서 실망스럽다” “대통령 후보자도 정치인도 아닌데 사실관계를 확인할 여력이 없다면 최소한 저에 대한 인격적 비방을 멈춰달라”고 했다.


인격적 비방을 멈춰 달라는 당시 최 교수의 입장대로라면 윤 대통령을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검찰총장 출신'이라고 표현한 것도 인격적 비방으로 볼 수 있다. 


글=최우석 월간조선 기자. 

입력 : 2022.07.31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최우석 ‘참참참’

woosuk@chosun.com
댓글달기 2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박성현 (2022-08-01)

    이런 미친놈의 자의 글을 언론에 소개하는 한국언론도 개쓰레기다

  • crys (2022-08-01)

    최승환 일리노이주립대 종신교수(국제관계학) 는 UIC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의 교수입니다. 한국인들이 많이 알고 있는 명문 일리노이주립대는 UIUC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일리노이주립대 - 어바나-샴페인) 입니다. UIC 는 UI (University of Illinois, 일리노이주립대) 의 여러 작은 분교중 하나입니다. 어느 매체에서는 시카고대학 또는 University of Chicago 교수라고 하는데, 시카고대학 (University of Chicago)은 명문입니다. 명문대학들인 UIUC 나 U. of Chicago 와 UI 의 작은 분교인 UIC 의 차이는 서울대학교와 서울시립대의 차이보다도 큽니다.

    그리고 종신교수를 강조하는데, 미국대학에서는 보통 부교수이상이면 대부분 종신입니다. tenured, 즉 정규직, 교수를 한국에서는 종신교수라고 번역하는데, 그 이유는 미국연방법상 나이에 따른 정년은 불법이라 본인이 능력과 체력이 있고 불법/비위가 없으면 정규직교수는 파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tenured 교수들은 70 쯤 되면 (혹은 그 전에) 능력/체력이 돼도 학과에 젊은 교수들을 받기위해 자진 사직을 하고 emeritus 교수가 됩니다. 한국은 교수직에 65세 정년이 있기에 65세에 명예교수가 되고 영어 명함에는 emeritus professor라고 적지요.

    Chicago 에 있는 대학중에 명문인 U. of Chicago (시카고 대학) 외에 한국사람들에게 예전에 잘 알려진 대학에는 IIT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일리노이 공대) 가 있지요. 지금은 명성이 많이 쇠퇴했지만 한 때, MIT (매사츄세츠 공대), CIT (Cal Tech, 캘리포니아 공대), GIT (Georgia Tech, 조지아 공대) 들과 어깨를 같이 했습니다. 지금은 일리노이 공대라고 하면 어바나-샴페인에 있는 UIUC (Univ.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내의 공대를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인 것 같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