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19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6·1지방선거 서울 기초단체장 후보자 53명 부동산 재산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서울 구청장 후보자들의 부동산 보유 재산이 평균 28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는 다주택자와 농지보유자 등이 포함돼 있어 시민단체가 부동산 투기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9일 오전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 기초단체장 후보 53명의 재산내역을 분석한 결과 여전히 부동산부자 및 다주택자, 농지 보유 등 부동산투기 의혹이 짙은 후보들이 상당수 공천됐다"고 밝혔다.
조사대상 53명은 더불어민주당 25명, 국민의힘 각 25명, 정의당 1명, 무소속 2명이다. 이들의 평균 부동산재산은 28억3000만원으로, 50억 이상이 5명, 30~50억 미만 4명으로 나타났다. 2021년 12월 통계청이 발표한 가구평균 부동산재산이 3억700만원인 것과 비교하면 8배 가까운 차이다.
53명 중 2주택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는 12명(23%)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9명, 민주당 3명이다.
서울 구청장 후보 중 부동산 재산이 가장 많은 후보는 국민의힘 소속 조성명 강남구청장 후보로 512억9000만원이었고, 2위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순균 강남구청장 후보로 152억원이었다. 조 후보는 아파트 1채와 오피스텔 39채를 보유하고 있으며 상가와 빌딩 등 비거주용 건물도 34채에 달했다.
농지를 보유한 의원도 8명(15%)이었다. 경실련은 "경자유전의 원칙에 따라 농민이 소유해야 하는 농지를 지방단체장 후보가 대규모로 소유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정당 공천 행태를 비판했다. 이어 "수많은 부동산을 보유하고 임대사업을 하고 있다면 지역민을 위한 성실하고 깨끗한 행정을 펼칠 자격을 갖췄다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글=권세진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