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한반도 유사시 미국인 대피 작전 책임자 방한(訪韓), 군사옵션 준비하나?

"매년 2차례 대피 훈련 실시, 일상적 점검 차원에서 방한한 것"

미국 국방부 전략부문 엘리자베스 코드레이 부차관보(왼쪽 셋째)와 존 P 설리번 소장(왼쪽 네번째)가 지난 13일 대구 제19원정지원사령부를 방문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주한미군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유사시 한국 거주 미국 민간인의 대피 작전을 책임지고 있는 미 국방부 고위 인사 2명이 동시 방한했다.
 
19일 주한미군에 따르면 미 국방부 국방계획국 소속 부차관보급인 존 P 설리번 소장과 전략부문 부차관보 엘리자베스 코드레이가 지난 13일 대구 제19원정지원사령부를 방문했다. 설리번 소장과 코드레이 부차관보는 한반도 유사시 주한미군 가족과 미국 시민권자 등 한국에 거주하는 27만명의 미국인을 대피시키는 ‘비전투원 소개(疏開) 작전(NEO)’의 실무 책임자다.
 
미국은 비전투원 소개 작전 계획에 따라 한반도에서 군사 작전을 시작하기 전 주한 미국인을 먼저 대피시킨다. 이를 위해 매년 두 차례 대피 훈련을 실시해왔다. 이 훈련은 1994년 1차 북핵 위기 이후 시작됐으며 ‘커레이저스 채널(Courageous Channel)’이라 부른다. 올해는 ‘4월 위기설’ 때문에 오해를 살 수 있어 6월로 연기하여 실시했으며 작년 11월에는 2009년 이후 7년 만에 실제로 주일 미군기지까지 이동하는 훈련을 실시했다.
 
대피 작전이 시작되면 주한 미국인들은 여권 등의 서류를 갖춰 서울 용산기지 등 전국 18개 집결지와 대피 통제소에 모인다. 대피 1순위는 주한미군의 배우자와 직계가족, 군무원, 미 정부 관료 등이다. 이들은 미 공군의 수송기를 이용한다. 2순위는 기타 미국 시민권자, 3순위는 미국 시민권자의 직계가족이다.
 
19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일각에서 설리번 소장과 코드레이 부차관보의 방한 시점 때문에 미국이 북한을 상대로 한 군사행동을 준비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주한미군 관계자는 “주한미군은 상·하반기에 미국인 소개작전을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있다”며 “코드레이 차관보는 지난해 5월에도 한국을 찾았다. 일상적 점검 차원에서 방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부 장관은 18일 미 국방부 청사에서 언론 브리핑을 가진 자리에서 “서울을 큰 위험에 빠뜨리지 않는 (대북) 군사 옵션이 있다”고 말했다.
 
월간조선 뉴스룸

입력 : 2017.09.20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뉴스뷔페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