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카카오 임직원 1인당 평균 보수는 1억7200만원으로 확인돼 네이버, 삼성전자, SK텔레콤을 제치고 국내 기업 연봉 랭킹 1위 기업에 올랐다. 이는 카카오의 보수가 2020년 대비 60%가량 증가했기 때문이다.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등재된 2022년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카카오 임직원들은 지난해 1인당 평균 1억7200만원을 보수로 지급받았다. 전년(1억800만원)에 비해 59.3%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는 인당 평균 1억4400만원, SK텔레콤과 네이버는 각각 1억6200만원, 1억2915만원을 임직원 보수로 지급했다.
삼성전자, SK텔레콤, 네이버의 지난해 1인당 보수 인상률은 각각 13.4%, 33.9%, 26%였다.
카카오는 2015년 직원 평균 보수가 1억3248만원을 지급했으나 이후 2019년까지는 1억원 미만이었다. 2020년 평균 1억800만원을 지급해 네이버(1억248만원)를 제쳤다. 지난해에는 IT업계 고액 연봉 기업인 SK텔레콤과 삼성전자도 추월했다.
카카오는 보수 인상에 대해 임직원들이 지급받은 스톡옵션을 행사한 데 따른 효과가 크다고 설명했다. 실제 스톡옵션 행사분을 제외한 지난해 1인당 보수는 8900만원이라고 알렸다.
특히 카카오 경영진도 스톡옵션 행사 비중이 컸다. 신정환 전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스톡옵션 행사로만 121억6800만원을 챙겼다.
배재현 카카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76억5200만원, 권승조 전 지적재산 부문 책임자는 56억8500만원, 안성진 전 M사업전략 자문은 56억9900만원, 남궁훈 대표 내정자는 60억8600만원의 스톡옵션 차익을 얻었다.
카카오는 유능한 임직원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카카오는 직원들에게 정기적으로 스톡옵션을 부여하고 있으며 남궁 대표 내정자는 전체 연봉 재원을 올해 15% 인상한다고 최근 발표하기도 했다.
복지 혜택도 확대하고 있다. 직원 주거 안정 차원에서 최대 1억5000만원 대출금 이자에 대해 본인 부담 2% 제외하고 나머지를 회사에서 지원한다.
IT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 SK텔레콤 등 고액 연봉으로 유명한 대기업 IT 계열사들이 여전히 억대 연봉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카카오, 네이버가 무서운 성장성으로 치고 올라오면서 간격을 좁히고 있다”면서 “실제 네이버‧카카오로 기존 대기업 직원들의 이직이 잇따르고 있다”고 했다.
글=이경훈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