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0월 28일 강원도 철원군 비무장지대 백마고지에서 6·25전쟁 때 전사한 병사의 유해가 69년 만에 발굴됐다. 쏟아지는 포탄을 피해 개인호에 몸을 은폐한 채 적을 향해 총을 겨누는 자세 그대로다. 사진=국방부 제공
국방부는 17일 작년 비무장지대(DMZ) 백마고지에서 총을 겨누는 자세로 발견된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가 고(故) 조응성 하사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유해가 발견됐던 당시에는 이등병으로 알려졌었다.
이날 국방부는 지난해 10월 28일 강원도 철원에서 발군된 유해와 관련해 백마고지 전사자 병적기록 등 자료 조사를 거쳐 딸 조영자씨를 찾아냈고, 유전자 분석으로 친자 관계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1928년 경북 의성 태생인 고인은 농사를 짓던 중 전쟁이 터지자 1952년 5월 아내와 어린 두 딸을 남긴 채 제주도 제1훈련소로 입대했다. 9사단 30연대 소속이었던 그는 1952년 10월 백마고지에서 중공군의 대규모 공세에 방어작전을 펼치던 중 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1952년 10월 6일부터 열흘간 국군 9사단과 중공군이 벌인 백마고지 전투는 6·25전쟁 중 가장 치열한 전장으로 꼽힌다. 12차례 공방전이 벌어져 7차례나 고지의 주인이 바뀌었던 접전이었다.
고인의 유해는 쏟아지는 포탄을 피해 개인호에 몸을 은폐한 채 적을 향해 총을 겨누는 자세 그대로 발굴됐다. 상반신만 수습된 고인의 유해 주변에서 탄악류를 비롯해 개인 소장품으로 추정되는 만년필, 반지, 숟가락 등의 유품도 함께 발견됐다. 철모와 머리뼈에서는 한눈에 봐도 전사 원인으로 추정할 수 있는 관통 흔적도 발견됐다.
딸 조영자씨는 부친의 신원확인 소식에 “어느 날 아버지가 오징어를 사오셔서 맛있게 먹었는데, 우리에게 이별을 고하는 심정으로 그렇게 하신 것 같아 그 모습을 잊을 수 없다”고 말했다고 국방부는 전했다.
국방부는 고인을 위한 ‘호국 영웅 귀환 행사’를 이날 인천에 있는 유족 자택에서 열 예정이다. 국방부에 따르면 2000년 4월 6·25 전사자 유해 발굴이 개시된 이후 지금까지 총 185명의 국군 전사자 신원이 확인됐다.
글=정광성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