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미, 대북 군사옵션 예행 연습?

韓美연합군, 최신예 스텔스 F-35B 4대 '죽음의 백조' B-1B 한반도 상공서 모의 폭격 훈련 또 실시

미군의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 F-35B. 사진=록히드마틴사
18일 《조선일보》에 따르면, 미국이 이날 '죽음의 백조'로 불리는 B-1B 전략폭격기 '랜서' 2대와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 F-35B 4대를 한반도에 파견해 모의 폭격훈련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F-35B와 B-1B가 동시에 한반도에 출격한 것은 지난달 31일 북한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 발사에 대응해 강원도에서 총 18발의 폭탄 투하 훈련을 실시한 이후 두번째다.
   
군 소식통에 따르면 괌에서 출격한 미 B-1B 폭격기 2대와 일본 이와쿠니 기지에서 출격한 F-35B 4대가 이날 낮 강원도 필승사격장에 MK-84 등 재래식 폭탄과 정밀유도폭탄인 합동직격탄(GBU-32 JDAM)을 가상 북 목표물에 투하하고 복귀했다. 이들 전투기와 폭격기는 우리 공군 F-15K 4대와 연합훈련을 했다.
   
F-35B는 전략무기는 아니지만 북한 레이더망에 잡히지 않은 채 김정은 주석궁 등을 정밀 타격할 수 있어 김정은이 가장 두려워하는 무기 중 하나다. 우리 공군이 내년부터 도입하는 F-35A에 수직 이착륙 기능을 더한 기종으로 유사시 북한 레이더망을 피해 핵·미사일 시설을 정밀 타격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수직이착륙이 가능해 항공모함보다 작은 대형 상륙함에서도 운용할 수 있다. 최대 속도는 마하 1.6(음속의 1.6배)이며, 이륙 후 날아갈 수 있는 최대 항속거리는 1670㎞이다. 최대 6.8t의 폭탄·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다. 특히 정밀 유도 폭탄인 JDAM과 이보다 크기와 위력은 작지만 정확도가 높은 소형 정밀 유도 폭탄(SDB) 등을 탑재해 북한 내 핵심 표적을 공격할 수 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5일(현지 시각)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를 방문해 "북한 정권이 다시 미사일을 발사해 주변국과 전 세계를 완전히 경멸했다. 미국의 첨단 무기가 적들의 영혼을 산산조각(crumble) 낼 수 있을 것"이라면서 "F-35의 엔진이 으르렁거리며 적들의 머리 위로 날아다닐 때 그들은 영혼이 떨리고 심판의 날이 왔음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CNN은 다음 날인 16일 북한의 최근 미사일 도발로 트럼프 행정부 최고위층이 대북 군사 옵션 논의를 재개했다고 보도하면서 휴전선에 집중된 북한 장사정포를 파괴하기 위해 F-35 전투기가 동원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죽음의 백조’로 불리는 B-1B폭격기는 B-52, B-2 등 미 전략폭격기 3총사 중 가장 빠르고(마하 1.25) 가장 많은 폭탄·미사일을 싣는다. 크기는 B-52보다 작고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스텔스 성능은 B-2보다 떨어지지만 가장 많은 목표물을 가장 빠르게 공격할 수 있다. B-1B는 기체 내부에 34t, 날개 등 외부에 27t 등 폭탄·미사일을 총 61t 탑재할 수 있다.
900㎏급 JDAM은 24발, 225㎏급 재래식 폭탄은 84발을 실을 수 있다. 장거리 공대지미사일 '재즘-ER'(JASSM-ER)은 북한 영공에서 800km 떨어진 거리에서도 표적을 타격할 수 있다. 최대속도가 마하 1.2로, B-52(시속 957㎞), B-2(마하 0.9)보다 빨라 유사시 괌 기지에서 이륙해 2시간이면 한반도에서 작전할 수 있다.
 
한편 송영무 국방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북한의 EMP 공격에 대응한 전자파 레이저무기를 자체 개발 중인가’라는 질문에 “(대응할만한 전자파 레이저무기와 같은) 고도 기술은 제공받을 수가 없어서 비밀리에 국방과학연구소(ADD) 개발 중이다”라고 밝혔다. 앞서 북한은 최근 노동신문 등 자체 선전 매체를 통해 EMP 무기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월간조선 뉴스룸

입력 : 2017.09.18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뉴스뷔페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