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청와대 사진기자단
북한이 한국 대선을 두 달 앞둔 새해 벽두부터 집중적으로 미사일을 쏘아 올리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던 한반도평화프로세스는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조짐은 2020년 중반부터 보였다. 《월간조선》 취재 결과 문재인 정부와 국정원은 김여정의 개성 남북공동연락소 사무소 폭파로 최악으로 치달은 남북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서훈 국가안보실장, 정의용 외교부 장관을 북한에 특사로 파견하려 했지만 무산됐다.
김여정이 불허했다. 2020년 6월 17일 조선중앙통신은 "15일 남조선 당국이 특사파견을 간청하는 서푼짜리 광대극을 연출했다"며 "김여정은 뻔한 술수가 엿보이는 이 불순한 제의를 철저히 불허한다는 입장을 알렸다"고 했다.
위기에 처하자 국정원은 북한 측 '핫라인'을 보유한 재중동포 대기업 A씨에게 대북특사를 요청했다.
A씨는 북한에서도 사업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A씨에게 원산개발 중국 자본 유치 권한도 위임했다고 한다.
A씨는 국정원의 대북특사 요청을 ‘대의’를 위해 거절했다. 자신이 직접 나설 경우 북한 측이 오해할 수 있는 부분을 우려했다. 철저히 비밀에 부쳐졌던 대북 특사 물밑 작업은 남북관계의 큰 상징이 된 고(故) 정주영 회장의 '소 떼 방북' 당시 현대에서 간부로 근무했던 조광연씨의 증언으로 세상에 빛을 보게 됐다.
이런 내용이 밝혀진 것은 처음이다. 이후 문재인 정부의 남북 관계 진전을 위한 특사파견은 없었다.
자세한 내용은 2022년 1월 17일 발간한 《월간조선》 2월호 '국정원, 北 개발 기금 조성 기획했었다' 제목의 기사에 자세히 담겨있다.
한편 대북특사와 관련 국정원은 "조씨의 일방적인 주장일 뿐"이라고 밝혀왔다.
국정원의 반론 그대로를 반영한다.
1. 당사자(조광연) 의 일방적 주장으로 명백히 사실과 다릅니다.
2. 국정원은 이번 보도에 언급된 '북한개발지원 기금 운용계획' 등이 포함된 '한반도 평화정착과 남북경협을 위한 제안서' 작성에 관여한바 없으며, 재중(在中)동포에게 대북특사를 요청한 적도 없습니다
3. 그동안 조광연씨는 해외영사관(2020.9)과 국정원(2020.10)에 유사한 주장의 민원을 제기해 왔으며, 이에 국정원은 당시 진위여부를 확인하고 명백히 사실무근임을 회신한바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글=최우석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