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정상회담 끝나자마자…美, 베이징올림픽 보이콧 가능성 제기

16일 WP 보도 “바이든, 中 인권 침해 대응 위한 결정 내릴 듯”

박지현  월간조선 기자 talktome@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미중정상회담을 치른 지 하루만에 바이든 행정부가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을 선언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은 부통령 시절 조 바이든. 사진=조선DB

미중정상회담을 치른 지 만 하루. 바이든 행정부가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보이콧’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전일 회담에서 두 정상은 ‘규칙’과 ‘상호존중’을 강조했다. 우호적인 분위기 속 긴장감이 감돌기도 했다. 

 

16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중국의 인권 침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이 같은 결정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여기서 ‘인권 침해’는 위구르족 집단 학살을 가리킨다. 올림픽 보이콧은 올림픽을 통한 외교를 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때문에 선수단은 참여하지만 대통령 포함 고위급 대표단은 불참하게 된다.  


WP는 ‘바이든 행정부, 시일 내 베이징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선언’이라는 제목 아래 “바이든 대통령 포함 정부 관리들 모두 베이징 올림픽 불참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백악관에서) 아직 최종 결정을 내리진 않았지만 이달 내에 바이든 대통령이 이를 승인할 것으로 보인다”고 썼다. 


여러 소식통을 인용해 기사를 쓴 외교·안보 칼럼니스트 조시 로긴은 “(보이콧은) 이번 정상회담과는 상관없이 이미 이전에 검토돼 왔다”면서 “오히려 회담이 끝난 만큼 미국 측이 보이콧 발표를 미룰 요인이 하나 줄어든 상황”이라고 했다. 로긴은 또 “백악관과 국무부는 이 같은 WP의 예상에 논평을 거부했다”고 했다. 


실제로 미국 정치권에서는 공공연히 보이콧을 주장해 왔다. 민주당 소속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지난 5월 청문회에서 “미국 선수들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으면서도(출전은 막지 않되) 중국의 인권 유린에 대한 국제 사회의 우려를 표명하기 위해 베이징 올림픽을 보이콧해야 한다”고 했다. 


공화당에서도 같은 목소리를 냈다. 밋 롬니 상원의원은 지난 3월 뉴욕타임스(NYT)를 통해 “독재국가에서 올림픽은 개혁을 위한 지렛대보다는 선전 도구로 활용돼 왔다”면서 “경제적‧외교적으로 보이콧해야 한다”고 했다. 


글=박지현 월간조선 기자 

입력 : 2021.11.17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박지현 ‘포켓 저널리즘’

talktome@chosun.com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