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추진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탄핵소추안이 진행되고 있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퇴임 후 후 정치적 활동이 우려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9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민주당 하원의원들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반란 선동' 혐의로 이르면 11일 탄핵 결의안을 상정할 예정이다.
시실리니 의원과 테드 리우, 제이미 래스킨 등 민주당 하원의원들이 제출할 예정인 탄핵 결의안은 의사당 난동 사태에 초점을 맞추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반란 선동’ 혐의를 적용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지자들이 의회를 습격하도록 선동했다는 게 주된 이유다. 지난 6일 일어난 의회 폭동 사건을 선동했다는 '반란 선동' 혐의가 적용한 것이다.
지난 대선 결과에 따라 오는 20일 바이든 당선인으로 정권교체가 이뤄지는 상황에서 임기 내 탄핵 가능성은 높지 않다. 과반이 찬성하면 탄핵이 가결되는 하원과 달리 상원은 3분의 2가 찬성해야 한다. 전체 100석인 상원은 민주당과 트럼프 대통령이 속한 공화당이 50석씩 나눠 갖고 있어 공화당 의원 최소 17명이 탄핵을 지지해야 한다.
탄핵 결의안 초안 작성에 참여한 민주당 데이비드 시실리니 하원의원은 이날 CNN과 인터뷰에서 “민주당 하원의원 185명이 (탄핵 결의안을) 지지하고 있으며 공화당 의원들도 참여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전날까지 탄핵 결의안 지지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하원의원은 약 150명이었다.
이번 탄핵 소추안이 통과되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하원에서 두 번 탄핵당한 대통령으로 기록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 탄핵 추진은 미국 사회의 분열을 더 가속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글=권세진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