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조선DB
3월 소비자 물가가 전년 동기 대비 2.1%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29로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지난해 초 3%대에서 점차 하락하기 시작해 하반기에는 ▲9월(1.6%) ▲10월(1.3%) ▲11월(1.5%) ▲12월(1.9%) 4개월 연속 1%대를 기록했다.
하지만 최근 환율 급등과 미국의 관세 정책 등이 물가 상승 압력을 자극하면서 올해 들어서는 ▲1월(2.2%) ▲2월(2.0%) ▲3월(2.1%) 3개월 연속 2% 대를 이어가고 있다.
농산물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1% 하락했다. ▲배추(49.7%) ▲무(86.4%) ▲양파(26.9%) 등의 가격이 크게 오른 반면, ▲토마토(-19.8%) ▲사과(-6.0) ▲파(-18.3%) ▲감(-26.5%) ▲파프리카(-13.1%) 등은 가격이 크게 떨어졌다.
특히 축산물과 수산물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각각 3.1%와 4.9%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돼지고기(6.5%) ▲김(32.8%) ▲수입쇠고기(5.6%) 등의 가격이 크게 올랐다.
석유류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2.8% 상승해 2월(6.3%)에 비해서는 상승폭이 둔화됐다.
전기·가스·수도는 3.1%% 상승했다. ▲도시가스(6.9%) ▲지역난방비(9.8%) ▲상수도료(3.7%) 등이 크게 올랐다.
서비스 가격도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이 됐다.
개인서비스 물가는 지난해보다 3.1% 올랐다. 외식(3.0%)과 외식제외(3.2%) 서비스 가격이 모두 상승했다. ▲생선회(5.4%) ▲치킨(5.3%) ▲보험서비스료(15.1%) ▲공동주택관리비(4.3%) 등의 상승폭이 컸다.
집세는 0.7%, 공공서비스는 1.4% 상승했다. 공공서비스 물가는 사립대학교납입금(5.2%) 상승 등의 요인으로 2월 0.8%에서 3월 1.4%로 높아졌다.
먹거리 가격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면서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4%를 기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9% 상승했다. 한국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1% 올랐다.
밥상물가와 관련 있는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3% 하락했다. 신선어개(3.6%) 가격이 상승했지만 신선채소(1.8%)는 안정세를 나타냈고, 신선과실(-6.3%)은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다.
글=고기정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