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뉴시스
서울 아파트의 국민 평형(국평, 전용 83~86㎡) 평균 매매가가 14억 원대로 집계됐다.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넉 달 만에 2억원 넘게 뛴 것이다.
17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서울 국민평형 아파트의 2월 평균 매매가는 14억3895만원으로 집게됐다. 전월 13억6859만원에서 한 달 만에 7036만원 오른 것이다(+5.14%).
지난해 서울 국민 평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를 월 별로 살펴보면 ▲9월(12억5883만원) ▲10월 (12억2897만원) ▲11월(13억3121만원) ▲12월(12억9570만원)이다. 12억원대 안팎에서 변동성을 보였지만, 지난 1월 13억6859만원에 이어 두 달 연속 상승하면서 14억원을 넘어섰다.
넉 달 전인 지난해 10월과 비교하면, 현재 국민 평수 평균 매매가는 약 2억1000만원 오른 셈이다.
지역별로 아파트 가격을 살펴보면 서초구 아파트가 31억4043만원으로 가장 비쌌다. 이어 ▲강남구(27억634만원) ▲송파구(20억2813만원) 등 ‘강남 3구’가 강세를 보였다.
강남 3구 외에도 ▲용산구(19억1413만원) ▲종로구(18억7190만원) ▲성동구(16억1137만원) ▲마포구(15억8311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반해 도봉구(6억1529만원) ▲강북구(6억8257만원)는 7억 이하로 강남 3구와 격차가 컸다.
서울시의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기준금리 인하가 맞물리며 연말 연초 관망세를 보이던 수요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일부 단지에서는 '키 맞추기'식 가격 상승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다만 서울 외곽 지역에서도 하락 매물이 소진되며 일부 가격 상승이 나타나고 있지만, 아직 적극적인 추격 매수세가 뚜렷하지 않다는 진단이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경기 불안과 정국 불안 등의 외부 요인도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서울 아파트의 거래량 증가와 가격 상승이 계속될지 여부는 더 지켜봐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글=고기정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