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파업에 돌입한 민주노총.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오후 비상계엄을 선포, 6시간 만에 해지한 가운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긴급 입장문을 내고 윤 대통령 퇴진 운동에 들어갔다. 민주노총은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 시까지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4일 오후 9시, 서울 종로구 광화문역 7번 출구 옆 광화문 광장에는 민주노총과 참여연대를 비롯한 여러 시민단체가 모여 기자회견을 열고 ‘불법계엄 규탄 내란죄 윤석열 퇴진 국민주권 실현을 위한 전면적 저항운동 선포 전 국민 비상 행동’에 돌입한다고 선포했다.
이들은 “윤석열 대통령은 군대를 동원해 민주주의의 전당 국회를 침탈하며 국회의원 출입과 의사진행을 방해하려 했다”며 “국회 문란의 목적 아래 이뤄진 폭동, 명백한 내란”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수호해야 할 대통령이 국민에게 총부리를 겨눴다”며 “국민은 더 이상 그를 대통령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반헌법적 계엄에 동조한 국민의힘 의원들도 책임을 면할 수 없다”며 “국민의힘 다수 의원이 당사에 모여있음에도 본사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윤석열 정권이 선포한 어제 비상계엄은 윤석열 정권 스스로의 종말을 고하는 선언이었다고 생각한다”며 “민주노총은 시민들과 함께 윤석열 정권의 퇴진 광장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주최 측에 따르면 이날 오전 현장에는 약 500명 정도가 모인 것으로 추산된다.
한편 민주노총은 4일 오후 6시부터 종로구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윤석열 퇴진 시민촛불’을 연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들은 광화문 일대에서 모여 용산 집무실 방향으로 행진한다는 계획이다.
글=고기정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