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애니메이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日, 민간인 학살 잊어선 안 돼" 소신 발언

막사이사이 상 수상 소감으로 '일본의 태평양전쟁 중 민간인 대학살 사실' 언급

백재호  기자 1ooho@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 '막사이사이상'은 라몬 막사이사이 필리핀 전 대통령을 기리기 위해 1957년 4월 제정한 상으로 매년 아시아 지역 평화와 인권 증진에 기여한 인물 또는 단체에 수여
◉ 미야자키 감독, 과거에는 "일본이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죄해야 한다" 발언한 적 있어
◉ 미야자키 감독은 '이웃집 토토로' '인생의 회전목마' 감독으로 알려진 일본의 애니메이션 거장(巨匠)
올해 막사이사이상 수상자로 선정된 일본 애니메이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83) 감독이 수상 소감에서 "일본의 태평양전쟁 중 민간인 대학살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사진= 라몬 막사이사이상 재단

2024 막사이사이상 수상자로 선정된 일본 애니메이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83) 감독이 수상 소감에서 일본의 태평양전쟁 중 민간인 대학살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지난 24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미야자키 감독은 지난 16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막사이사이상 시상식에서 대리 수상자로 나선 요다 켄이치 스튜디오 지브리 이사를 통해 이 같은 메시지를 전했다. 미야자키 감독은 "수상을 계기로 다시 필리핀을 생각하게 됐다"며 "일본인은 전쟁 중에 잔인한 일을 심하게 했다. 민간인을 많이 죽였다. 일본인은 이를 잊어서는 안 된다"라고 밝혔다. 


이어 "그러한 역사가 있는 가운데 필리핀에서 막사이사이상을 받는다는 것을 엄숙하게 받아들인다"며 "정말 감사하다"라고 전했다. 


아사히 신문은 미야자키 감독이 언급한 민간인 학살은 1945년 2월 태평양전쟁 당시 필리핀을 점령한 일본군이 미군을 포함한 연합군과 마닐라에서 전투를 벌였는데, 이때 연합군에 밀려 퇴각하면서 일본군이 필리핀인 약 10만 명을 학살한 사건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미야자키 감독은 과거에도 일본이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죄해야 한다고 발언, 과거사 성찰에 소극적인 일본 정부를 비판한 바 있다.


미야자키 감독에게 상을 수여한 라몬 막사이사이상 재단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을 수상자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 "작품이 상업적으로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표현해 보는 사람에게 성찰과 배려를 촉구한다"며 "환경 보호나 평화, 여성 권리 등의 문제를 예술을 통해 아이들에게 이해시킨다"라고 설명했다. 


또 "더 나은 양국의 미래를 위해 과거사와 마주하고 이를 기억하는 것의 중요성을 일깨워줬다"라고 덧붙였다. 


막사이사이상은 비행기 사고로 사망한 라몬 막사이사이 필리핀 전 대통령을 기리기 위해 1957년 4월 제정한 상이다. 매년 아시아 지역 평화와 인권 증진에 기여한 인물 또는 단체에 수여한다. 그동안 테레사 수녀,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 등이 이 상을 받았다.

 

재단은 올해 수상자로 미야자키 감독 등 개인 4명과 단체 1곳을 선정했다. 


글= 백재호 월간조선 기자

입력 : 2024.11.25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백재호의 레이더

1ooho@chosun.com 《월간조선》 백재호 기자입니다. 외교·안보 / 스포츠 분야를 폭넓게 씁니다.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