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시아 최초의 중장기병 갑옷 세트 출토

서경리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
  • 스크랩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사진 : 문화재청 제공
중국 지안(集安) 현(縣) 퉁거우(通溝)에 있는 고구려 12호고분 벽화에 묘사된 고구려 중장기병의 모습.
  문화재청(청장 李健茂·이건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경주 황오동고분군(사적 제41호) 내 쪽샘지구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重裝騎兵(중장기병)의 말에 착용하는 각종 보호장구(이를 馬具類·마구류라 한다)와 사람이 착용하는 鐵製(철제) 갑옷과 투구류(이를 甲胄類·갑주류라 한다) 등 유물을 공개했다. 쪽샘지구는 4~6세기 신라 왕족과 귀족들의 집단 묘역이었다.
 
  ‘비늘식 갑옷’(札甲·찰갑)과 말이 착용하는 갑옷(馬甲·마갑) 등 신라 중장기병 유물의 존재는 신라가 북방의 중장기병 제도를 도입해 군사력을 키웠음을 입증하는 결정적인 내용증명이다. 동아시아에서는 최초로 중장기병의 완벽한 갑옷 세트가 출토됨에 따라 고구려 고분에서만 볼 수 있었던 삼국시대 중장기병의 실제 모습을 생생하게 복원할 수 있게 됐다.
 
1600년 만에 모습을 드러낸 신라 중장기병의 馬具類(마구류)와 甲胄類(갑주류).

경주 황오동고분군 쪽샘지구 내 고분 53호분의 동쪽에서 확인된 木槨墓(목곽묘). 목곽묘란 관을 넣어두는 널방을 나무로 만든 묘를 말한다.

목곽묘 주곽. 사진 가운데 네모난 부분에 馬甲(마갑)의 몸통 부분이 깔려 있다.

유물 세부 명칭도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