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기자수첩] 義烈團 출신 抗日승려 崔凡述의 親日 논란

日帝 때 다솔사 주지로 활동한 것이 親日?

오동룡    gomsi@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
  • 스크랩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민족문제연구소 소속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 저서 <친일승려 108인>에서 崔凡述을 ‘친일승려’로 규정

MBC PD수첩, ‘친일파는 살아있다’에서 ‘독립유공자 중 친일행위가 뚜렷한 인물’로 방송
  2004년 3월 2일, MBC ‘PD수첩’은 ‘친일파는 살아있다’ 프로그램에서 ‘최범술은 독립유공자 중 친일행위가 뚜렷한 인물’이라고 방송했다. MBC가 만해 한용운(萬海 韓龍雲)의 제자인 효당 최범술(曉堂 崔凡述·1904~1979)을 ‘친일(親日) 승려’로 규정한 것은 그를 아는 불교계 인사들과 국민들에게 충격적 뉴스였다.
 
  최범술은 1923년 6월, 아나키스트 박열(朴烈)과 함께 일본 천황(天皇) 부자(父子)와 일본 각료들을 폭사(爆死)시키기 위해 황태자 히로히토(裕仁)의 결혼식장에 폭탄을 투척하려 한 소위 ‘대역사건(大逆事件)’을 계획했다가 체포돼 옥고를 치른 대표적 ‘항일(抗日) 승려’였기 때문이다.
 
  당시 MBC는 민족문제연구소가 작업한 친일인명사전 명단을 기초로 프로그램을 제작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으로 불교계의 친일인사를 조사한 인물은 임혜봉(林慧峰·본명 林明三·62)씨였다. 그는 안동교대를 졸업하고 출가(出家), <연합불교신문> 편집국장을 거쳐 경기도 이천의 지족암 주지로 있으면서 민족문제연구소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으로 활동했다.
 
  임명삼씨는 2005년 3·1절을 기해 <친일승려 108인>이라는 책을 발간, 최범술 스님을 ‘친일 승려’라고 지목했고, 스님의 국립묘지 안장을 재검토하라고 주장했다. 2005년 3월, 임명삼씨가 <친일승려 108인>을 펴낼 당시, 대한민국은 정부 주도로 친일파 청산 바람이 불고 있었다.
 
  MBC ‘PD수첩’ 보도에 대해 최범술 스님의 유족인 채정복(蔡貞福) 반야로차도문화원장은 즉각 민족문제연구소와 MBC에 강하게 이의를 제기했다.
 
  채정복 원장이 민족문제연구소에 최범술 스님과 관련한 항일 증거 자료를 들이대며 항의하자, 임헌영(任軒永) 민족문제연구소장은 2008년 4월 30일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오류를 인정했다.
 
  채 원장은 “민족문제연구소는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인 임명삼씨의 주장에 따라 최범술 스님을 친일인사로 오인(誤認), 2004년 3월 2일 MBC ‘PD수첩’에 친일인사로 보도되도록 하고, 국가보훈처에 독립유공자 서훈(敍勳)을 재심해 달라고 했던 것”이라며 “2005년 8월 민족문제연구소는 잘못을 인정하고 제1차 친일인사 명단에서 최범술 스님을 제외했고, 2007년 4월 발표한 제2차 명단에서도 뺐다”고 했다.
 
 
  대표적인 抗日 승려를 친일파로 몰아
 
1970년대 후반의 최범술 스님.
  최범술은 1916년 다솔사(多率寺)로 출가해 1919년 기미독립운동 당시 해인사에서 독립선언서 1만 부를 복사해 배부한 혐의로 진주교도소에 수감됐고, 이듬해 승려 신분으로 일본에 유학, 다이쇼(大正)대학에서 불교학을 전공한 불교계의 대표적 ‘학승(學僧)’이다.
 
  다이쇼대학 불교학과에 재학중이던 1932년, 그는 도쿄에서 김법린(金法麟) 등과 함께 불교계의 항일 비밀결사단체인 ‘만당(卍黨)’을 결성했다. ‘한국판 쉰들러리스트’의 주인공 후세 다쓰지(布施辰治·1880~1953) 변호사가 지은 <운명의 승리자 박열>에 따르면, 최영환(崔英煥·최범술의 일제 때 이름)은 항일무력 독립운동단체인 의열단(義烈團) 단원으로 일본 천황 부자에게 던질 폭탄을 상하이(上海)에서 도쿄(東京)까지 운반하는 데 성공했다.
 
  1933년 최범술은 한용운의 부름을 받고 국내에 돌아와 다솔사를 거점으로 만당의 재건을 도모했다. 그는 단재 신채호(丹齋 申采浩)의 유고(遺稿)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를 수집했고, 1944년 만해가 작고한 후 유고를 정리해 1973년 출간하는 등 ‘만해학’의 산파역(産婆役)을 했다. 1979년 7월 9일 정릉 보현암에서 입적(入寂)했고, 정부는 그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고, 대전 국립현충원 애국지사 제2묘역에 안장했다.
 
  임명삼씨는 <친일승려 108인>에서 최범술 스님이 ‘조선불교위문사’(임명삼씨는 北支皇軍慰問使·북지황군위문사로 부름)로 중국에 다녀온 사실, 일제시대 다솔사 주지를 역임한 사실, ‘기묘 다솔사 하안거법회’(임명삼씨는 자의적으로 ‘조일(朝日)불교학술대회’로 부름)를 개최했다는 사실 등 세 가지를 친일행위로 문제 삼았다.
 
  임명삼씨는 <친일승려 108인>에서 “최범술 스님이 1937년 12월 하순에서 이듬해 1월 18일까지 ‘북지황군위문사’로 참여한 것은 자발적 친일행적”이라며, 그로 인해 중앙교무원 평의원에 선출된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김상현(金相鉉) 동국대 교수는 “당시 최범술 스님은 1934년 5월경부터 1937년 6월까지 무려 3회에 걸쳐 검거될 정도로 일제의 주목을 받고 있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위문사 참여를 거절하는 것은 만당의 존립을 위태롭게 하는 것일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결국 최범술 스님은 항일운동의 ‘위장전략’으로 부득이 위문사로 중국을 방문했던 것”이라며 “방문기간 동안 친일적 언행(言行)이나 사건이 한 건도 없다는 점이 그 증거”라고 했다.
 
 
  1~2가지 행위로 친일단정은 語不成說
 
  임명삼씨는 최범술이 1928년부터 광복 때까지 다솔사 주지를 역임한 것을 두고 ‘친일행위’라고 못 박았다. 이에 대해 채 원장은 “일제 강점기에 해인사 주지로 이고경(李古鏡) 스님, 직지사 주지로 김봉률(金奉律) 스님이 임명되는 등 훌륭한 독립운동가들조차 31본산의 주지를 역임하고 있다는 점에 비추어 본다면, 단지 다솔사라는 말사(末寺)의 주지를 역임했다는 이유로 친일행위를 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고 했다.
 
  2007년 1월, 채정복 원장은 수원지법 여주지원에 <친일승려 108인>을 펴낸 임명삼씨를 ‘출판물에 의한 사자(死者)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그러나 1심을 담당한 수원지법 여주지원은 “피고인이 명확한 근거 없이 다소 성급하게 추측을 하고 있는 것이기는 하나, 단순한 의견의 표명에 불과한 것으로 보이므로 사자 명예훼손죄는 성립되지 않는다”면서 무죄를 선고했다. 채 원장은 1심에 불복, 항소했으나 2심을 담당한 수원지방법원은 항소를 기각했다. 현재 이 사건은 대법원에 상고중이다.
 
  채정복 원장은 “친일연구의 원조격인 임종국(林鍾國·작고) 선생도 조선농민사 사장을 지낸 자신의 부친 임문호 선생(천도교 당수)이 친일을 했다고 고백했을 정도로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친일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면서 “평생 양지(陽地)를 향해 몸을 돌린 적이 없는 최범술 스님의 독립정신을 이해하지 못하고 친일로 몬 사람들은 진심으로 사과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