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나무 이야기] 대나무

火病·혈액순환·숙취해소 등에 좋아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
  • 스크랩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鄭求永 밝은빛웃음치유연구소장
1957년 전북 전주 출생. 원광大 신문방송학과·명지大 대학원 졸업. 원광大 스포츠과학부, 수원과학大 사회체육학과 강사, 섬진강 건강마을 공동대표, 약산대체의학연구소장. 저서 「웃음과 느림이 답이다」, 「몸을 알면 건강이 보인다」, 「공부가 춤춘다」 등.
石竹茶, 火病 다스려
전남 담양의 대나무 숲.
  대나무는 雜鬼(잡귀)를 쫓고 福(복)을 부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굿의 第次(제차) 중에 「竹」을 이용한 「대(竿·간)내림」은 神의 강림처로 믿었다. 설날 새벽에 문 밖에서 대나무를 태워 잡귀를 쫓고 福을 불렀다. 道敎(도교)에서는 神仙(신선)은 붉은 대나무밭에서 즐기고, 봉황은 대밭에서 노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金庾信(김유신)이 대나무통에 미녀를 넣고 다니는 사람을 만났다는 「竹筒美女說話(죽통미녀설화)」가 「大東韻府群玉(대동운부군옥)」에 전해져 온다.
 
  대나무의 꽃은 3년에 걸쳐서 핀다. 예부터 사람들은 대나무 꽃을 吉兆(길조)로 보았다.
 
  대나무는 하루에 1m 이상까지 자란다. 竹筍(죽순)은 아침에 겨우 모습을 보여 주고 저녁에는 사람 키만큼 자란다. 가히 雨後竹筍(우후죽순)이다.
 
  대나무는 다른 곳에 옮겨 심으면 잘 자라지 않는다. 고엽제를 뿌려서 살아남을 정도로 생명력이 강하다. 山竹(산죽)은 산중턱에서 群落(군락)을 이루며 자라는데, 山竹이 자라는 곳에서는 다른 식물이 자라지 않는다.
 
  대나무 잎을 「苦竹葉(고죽엽)」이라 한다. 대나무 잎차는 막힌 속을 시원하게 풀어 준다. 대나무 새순을 음지에서 말려서 잘게 썰어 만든 「石竹茶(석죽차)」는 火病(화병)을 다스리는 데 좋다.
 
  「동의보감」에는 대나무의 성질과 효능에 대해 『성질은 차고 맛이 달며, 독은 없다. 기운이 위로 치미는 것을 멈추게 하여 가슴을 시원하게 해준다. 죽순은 달고 약간 찬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빈혈과 갈증을 없애 주고, 체액이 원활히 순환되도록 하고 기운을 북돋워 준다』고 記述(기술)했다.
 
  죽순은 중국음식과 일본음식에서 빠지지 않는 고급 음식재료다. 죽순의 「티록신」이라는 단백질은 신경세포를 활성화해 주기 때문에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
 
  죽순에는 단백질·무기물·비타민B·식이섬유가 풍부해 변비해소나 숙변제거, 이뇨작용, 대장암 예방에 좋다. 죽순은 血中(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려 동맥경화 예방과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나무에서 나오는 기름은 「竹瀝(죽력)」이라 한다. 큰 왕대를 50cm 정도길이로 잘라 쪼개어 하룻밤 물에 담근 후 참대에 불을 지펴 왕대 기름을 진액으로 받아 약용으로 쓴다. 대나무 樹液(수액)은 고로쇠 수액보다 효능이 뛰어나다고 한다.
 
 
  왕대 속껍질은 숙취해소에 좋아
 
  「동의보감」은 竹瀝에 대해 『가슴의 열을 내리고 가슴의 답답함을 치료하고, 중풍, 해산 후 열이 나는 것, 기침이나 천식, 경기 등을 치료한다』고 했다. 「의학입문」은 『竹瀝은 눈을 맑게 하고 입 안이 헌 것을 낫게 한다』고 했다.
 
  竹瀝은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몸이 냉한 사람, 消渴(소갈·당뇨병)이 있는 사람, 咳嗽(해수·기침)가 있는 사람에게는 좋지 않다.
 
  왕대 속껍질은 「竹茹(죽여)」라고 한다. 「본초강목」에 의하면 竹茹는 『숙취 때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고 한다. 또한 竹茹는 딸국질과 吐(토)하는 것을 멈추게 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烏竹(오죽)은 「본초강목」에 의하면『불면증을 치료하고 갈증을 해소시키며, 술독을 풀어 준다. 목이 쉬거나 목이 막혀 말이 나오지 않을 때는 진하게 달여서 마시면 된다』고 했다.
 
  대나무 속껍질(10g), 맥문동(10g), 전호(6g), 귤피(3g), 갈대 뿌리 반 줌을 넣고 끓이면 竹茹湯(죽여탕)이 되는데, 입덧을 진정시킨다는 속설이 있다. 위궤양·만성간염·무좀·여자의 질염을 치료할 때 山竹을 진하게 달인 물을 마시거나 바르는 민간요법이 있다.●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