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오늘」과「기자협회보」편집국장 출신 두 사람의 행보
- 청와대 출입기자들이 상주하는 춘추관.
2001년 3월13일 서울 태평로1가에 위치한 한국언론재단 회의실. 「신문의 날」(4월7일)을 앞두고 언론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찾는다며 좌담회가 열렸다. 주제는 「매체비평 전문기자가 본 한국 언론」.
이 자리에는 언론개혁시민연대 金周彦(김주언) 당시 사무총장(現 신문발전위원회 사무총장)과 「미디어오늘」 安榮培(안영배) 편집국장, 「기자협회보」 鄭求喆(정구철) 편집국장이 참석했다.
1962년생인 安榮培 국장은 서울시립大를 나와 월간 「말」誌 편집차장, 기자협회 편집부장을 거쳐 「미디어오늘」 편집국장에 재직하고 있었다. 1963년생인 鄭求喆 국장은 성균관大 출신으로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언론노련) 기관지인 「언론노보」 기자와 차장, 「미디어오늘」 편집국 차장, 민주언론실천위 간사를 거쳐 기자협회보 편집국장에 근무하고 있었다.
安국장은 이 자리에서 이런 말을 했다.
『동아·조선·중앙 같은 이른바 메이저 신문사들에 대한 취재는 이전에 비해 많이 어려워졌습니다. 최근 구체화되고 있는 언론개혁의 화살이 자신들에게 향하고 있다고 느끼는 것 같습니다.… 언론개혁은 기자들이 그런 自社(자사) 이기주의를 버리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鄭국장 역시 『언론개혁의 대중성 확보에 주력하겠다』고 했다.
『社內 내부 견제 기능 피폐화로 자기수정과 반성의 목소리가 사라졌습니다. 기자 직업윤리의 감시자 역할을 하던 언론노조나 기자협회 지회도 이 역할을 포기한 것처럼 보입니다.… 언론개혁의 실천적 방향을 제시해 언론개혁의 대중성을 확보하는 데 노력할 생각입니다』
「참여정부」 출범 후 청와대行
언론개혁에 목소리를 높이던 매체비평 언론의 국장 두 사람은 공교롭게도 「참여정부」 출범과 함께 청와대에 입성한다. 安국장은 2003년 2월 대통령비서실 국정홍보행정관으로, 鄭국장은 한 해 뒤인 2004년 2월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실 행정관으로 들어갔다.
安행정관은 이후 홍보수석실 국정홍보비서관으로 승진한다. 그러나 2004년 7월 당시 한나라당 朴槿惠(박근혜) 대표를 비하하는 패러디 게시물을 청와대 홈페이지에 장시간 게재했다는 이유로 직위 해제됐다. 그가 물러나자 鄭행정관이 바통을 이어받는다.
하지만, 安비서관은 옷을 벗기는커녕 한 달 만에 홍보수석실 국내언론비서관으로 수평이동, 지난 2월까지 재직한다. 이후 그는 40代에는 하기 힘든 공무원 1급 자리인 국정홍보처 차장으로 승진한다. 鄭행정관 역시 지난해 4월 공무원 1급 자리인 한국정책방송 KTV의 영상홍보원장에 취임했다.
한때 언론현장에서 언론개혁을 외치던 두 기자가 참여정부 출범과 함께 공무원이 되고 승승장구하다 공무원 1급 자리인 국정홍보처 차장과 영상홍보원장에 나란히 오른 것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두 사람 모두 「미디어오늘」과 「기자협회보」 출신이란 점이다. 安차장은 「기자협회보」와 「미디어오늘」에 있었고, 鄭원장은 「언론노보」(「미디어오늘」 前身)·「미디어오늘」·「기자협회보」를 거쳤다. 닮은꼴 행적이다. 비슷한 성격의 두 매체를 한 번씩 서로 왔다 갔다 한 것은 특이하다면 특이한 현상이다. 언론 내부를 감시·자정하겠다고 만든 매체의 편집국장들이 「권력(청와대)」과 손잡은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기자협회보」는 1964년 11월 창간된 기자협회가 주관하는 신문이다. 기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과거 군사정부 시절 보도통제에 대항하여 언론자유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발했다.
「미디어오늘」은 1988년 언론노련 기관지로 창간된 「언론노보」의 後身(후신)이다.
「언론노보」는 1992년 장재국 한국일보 前 회장이 미국 라스베이거스 카지노에서 도박을 했다는 의혹을 처음 보도하는 등 언론계 내부의 「카르텔」을 깨는 데 한몫을 하며 성장했다. 당시 기사를 쓴 「언론노보」 기자가 지금의 鄭求喆 영상홍보원장이다.
「기자협회보」와 「미디어오늘」(언론노보)은 언론의 비판기능 속에 숨겨진 「횡포」와 「오보」를 발굴하는 일에 앞장섰다. 「여론 독과점 문제」와 「기자 촌지수수」와 같은 언론개혁에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玄利涉(현이섭) 「미디어오늘」 사장의 말이다.
『그동안 민주화가 진행되었지만 권력이 느슨해진 상황에서 일부 언론이 민주화에 무임승차해 권력화해 버리는 상황이 생겼다. 그러한 상황에서 1995년 검증받지 않은 권력이 여론을 서로 독점하고 공론화시키고 있을 때 「미디어오늘」이 그 실체를 파헤치고 비평을 하여 권력화한 언론을 견제하는 데 기여를 많이 해왔다. 기자의 촌지라든지, 기사 베끼기 등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 언론개혁에 이바지했다고 자부한다』
「미디어오늘」은 주로 朝·中·東(조·중·동)과 같은 이른바 메이저급 언론에 포커스를 맞춰 왔다. 朝·中·東의 논조와 기사에 대해선 비교적 엄격한 잣대를 대며 여론독과점 해소와 신문시장의 정상화, 언론사의 소유와 경영의 분리까지 다양한 이슈를 제기했다.
새로운 「權·言 유착」
이 같은 문제의식은 보수언론과 대립해 온 정부의 언론개혁 의제와 일치 혹은 공유하고 있다. 金大中(김대중)·盧武鉉(노무현) 정부 들어 매체비평 전문지 출신들이 대거 청와대 홍보수석실과 국정홍보처에 등용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전과는 분명히 다른 「權·言(권언) 유착」의 징후들이다. 나름대로 언론개혁에 앞장섰던 매체비평지로서는 딜레마가 아닐 수 없다.
玄利涉 「미디어오늘」 사장은 지난해 창간 10주년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미디어오늘」 기자들이 언론계뿐만 아니라 청와대 등에도 진출해 있다. 내게도 후배들이지만 개인적으로 만나지 않는다. 「미디어오늘 출신」들의 진출은 있을 수 있지만 「미디어오늘」은 안 된다.
언론은 사회의 소금과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해 힘든 일을 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權·言 유착이나 정파주의를 지향하는 언론이나 언론인은 언론계를 떠나야 한다고 본다』
盧대통령, 『楊正哲이한테 바로 전화를 해요』
청와대의 對언론 창구 역을 담당하는 곳이 홍보수석실이다. 홍보수석실은 청와대內에서 가장 힘이 쏠린 곳이다. 盧武鉉 대통령의 관심도 지대하다.
이를 잘 보여 주는 일화가 있다. 2003년 11월16일 盧대통령은 서울 종로의 한 식당에서 청와대 출입기자들과 오찬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盧대통령은 이런 말을 했다.
『국내 언론에 지시할 것이 있으면 수석 통하지 않고 바로 전화합니다. 楊正哲이한테 전화를 바로 해요』
楊正哲(양정철) 홍보기획비서관은 당시 행정관 신분이었다. 대통령이 홍보담당 실무직원인 행정관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업무를 지시한다는 얘기였다. 업무위계와 보고 계통을 깬 것이어서 당시 동석한 기자들은 파격으로 받아들였다. 한 청와대 출입기자의 말이다.
『盧대통령은 「楊正哲」이란 이름을 거론하며 상당한 신뢰감을 드러냈습니다. 홍보수석실에서의 楊비서관 위상을 알려 주는 대목이지요. 李炳浣(이병완) 비서실장도 홍보수석 출신입니다. 趙己淑(조기숙·前 홍보수석)씨도 그렇고… 이런 상황이니 홍보수석실에 힘이 실릴 수밖에 없지요』
楊正哲 비서관은 「미디어오늘」의 前身인 「언론노보」 기자 출신이다. 1988년부터 1994년까지 7년 가까이 근무했다고 한다. 이후 2002년 盧武鉉 대통령 후보 선거캠프에서 언론보좌 역을 맡았다. 언론보좌 역으로 그가 한 일은 盧후보의 일일 동정과 논평·연설, 선거쟁점에 대한 입장을 담은 「盧武鉉 브리핑」을 제작하는 일이었다.
당시 「盧武鉉 브리핑」에는 「미디어오늘」 사장(1999. 6~2002. 02)을 역임한 南永振(남영진)씨를 비롯, 金在星(김재성)·鄭順均(정순균)·柳鍾珌(유종필)씨가 편집위원을 맡고 있었다. 참여정부 이후 南씨는 한국방송광고공사 감사(2003. 6~)를, 金씨는 국무총리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1급·2003. 8~2004)을 역임했다. 鄭씨는 국정홍보처장(2004. 2~2005. 3)을 거쳐 현재 한국방송광고공사 사장(2006. 5~)에 재직 중이다.
거침없는 楊비서관
楊비서관은 청와대 홍보 라인의 강경파 중의 강경파로 꼽힌다. 지난 8월25일 국회 운영委에 출석한 그는 한나라당 의원들의 추궁에 한발짝도 물러서지 않았다.
한나라당 金陽秀(김양수) 의원이 『언론노보 기자생활을 7년이나 했으니 코드가 잘 맞겠다. 혹시 지금 아무 생각 없이 비서생활 하는 게 아니냐』고 추궁했다.
李君賢(이군현) 의원이 『일개 비서관이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에게 주어진 면책특권을 모독한 행동부터 사과하라』고 다그치자, 그는 『사과할 말은 아니고 「일개 비서관」이라는 말부터 쓰지 말아 달라』고 맞섰다.
그는 자신의 청와대 블로그에 「조선·동아는 저주의 굿판을 당장 걷어치워라」(2004. 7. 9), 「가출한 朴대표, 안 말리는 조선·동아」(2005. 12. 23), 「조선·동아의 심각한 反노무현 중독증」(2005. 12. 28), 「동아일보여, 그렇게 한가한가(2006. 5. 18)」 등 언론에 대한 자신의 불만을 여과 없이 토로할 정도다.
楊비서관이 청와대內에서 어떤 위치인지는 劉震龍(유진룡) 前 문화관광부 차관 경질과정에서 잘 나타난다. 다음은 楊비서관의 8월25일 국회 운영委 일문일답이다.
<─청와대에서 홍보비서관의 업무 분장이 뭡니까. 정확히 숙지하고 있지 못하는 것 같은데, 아리랑TV 부사장 인사 협의한 게 업무와 무슨 관계가 있습니까.
『광의의 업무라고 생각합니다』
―청와대에서 아리랑TV 인사 부탁한 것은….
『(질문을 자르며) 부탁이 아닙니다』
―그럼 대통령비서관이 인사 청탁이나 협의를 할 때 동네방네 선언하고 하겠습니까.
『그건 유진룡 前 차관의 생각이고, 문화부 장관이나 아리랑TV 사장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언론노보」 기자 시절의 楊正哲
「언론노보」 시절 그는 어떤 기자였을까. 당시 그와 자주 접했다는 한 관계자의 증언이다.
『好(호)·不好(불호)가 분명한 사람이었습니다. 나름대로 성실함이 있었고, 당파성이랄까… 자기 주관이 뚜렷했어요. 그런 성향이 지금의 楊正哲을 만든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 시절 활동했던 이들의 모임이 있다고 들었는데 확실한 것은 알지 못합니다』
또 다른 관계자의 이야기다.
『운동권 출신이지만 기자 시절에는 그렇게 과격하지 않았어요. 지금의 모습과는 많이 다르다고 할 수 있죠. 후배들도 많이 따르곤 했는데, 요즘엔 거의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좀 변했다고 할 수 있어요. 변한 것이 나쁘다고 할 수는 없죠. 하지만 요즘 신문을 보니 그리 좋은 모습으로 비춰지지 않는 것만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언론노보」 기자 시절 그와 만났던 사람들은 그에 대한 언급을 하나같이 꺼려했다. 「있는 그대로 이야기 해달라」, 「좋은 점을 설명해 달라」고 부탁했지만 『(그와) 엮이기 싫다』고 피했다.
楊비서관은 2001년 스카이라이프에 근무하다 社內 문제를 누설했다는 이유로 해고됐다. 그러나 해고무효 소송을 제기, 항소심을 진행하다 스카이라이프가 지난해 4월 서울고법의 조정案을 받아들였다. 조정案은 楊비서관에게 「해직된 2002년 3월10일~2005년 4월28일까지 月 663만3340원씩 모두 2억4200여만원의 임금을 지급하라」는 내용이었다.
스카이라이프가 법원의 조정案을 받아들인 이유를 두고 일부 언론은 「방송정책을 조율하는 楊비서관의 신분을 의식했기 때문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그는 지난해 8월 삼성 측에 대통령이 참가하는 행사의 비용 등과 관련해 「협의」한 사실이 드러나 결국 「공개사과」했다. 지난 8월 초 경질된 劉 前 차관이 전한 『배 째 드리지요』 발언의 진원지로 알려졌지만 楊비서관은 부인하고 있다. 그의 말이다.
『소설 같은 이야기로 비열한 정치적 의도가 깔린 헛소문이다. 1980년대 「운동권이 性(성)을 혁명 도구화한다」는 고약한 루머 이래 최악의 악성 유언비어다』
참여정부에서 일하는 기자협회·「미디어오늘」 출신들
청와대 홍보수석실 국내 언론(3급 상당) 행정관 출신의 李昌燮(이창섭)씨는 지난 5월 문화관광부 장관정책보좌관(2급 상당)으로 승진해 자리를 옮겼다. 1964년생인 李보좌관은 서강大를 나와 1989년 한국기자협회에 입사, 편집국과 홍보팀에서 차장과 부장을 거친 뒤 DJ 정부 시절인 2000년 8월 청와대에 들어갔다.
홍보수석실 국내언론(4급 상당) 행정관을 역임한 張현철씨는 현재 「바다이야기」로 시끄러운 게임물등급위원회의 총괄기획단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1967년생인 그는 단국大를 나와 한국기자협회(1991.9~1995.7)와 「미디어오늘」(1997.1~1999.6)에서 기자로 일하다, 국정홍보처 사무관(1999.7~2001.12)으로 정책홍보 전담 공무원이 됐다. 이후 청와대에 입성, 2002년 1월부터 지난 5월까지 청와대 홍보수석실에서 근무했다.
李보좌관과 張단장은 1990년대 초 한국기자협회 편집국에 한솥밥을 먹었으며, 공교롭게도 DJ 정부 때 청와대에 들어갔다. 張단장은 「미디어오늘」 기자 시절 「조선일보 안보상업주의를 해부한다」는 제목의 기획기사를 써 네 차례 연재했다.
李榮太(이영태) 前 「미디어오늘」 편집국장은 지난 4월 국정홍보처가 국정브리핑 강화를 위해 충원한 특채자로 최근 공무원이 됐다. 정책포털운영단 정책뉴스팀의 외교·통일 취재 총괄업무를 맡고 있다. 李 前 국장은 서강大를 나와 독일 도르트문트 대학(언론학 석사)을 거친 유학파다. 그는 귀국 후 「미디어오늘」 기자(1999~2001)로 일하다 프레시안 미디어팀장(2002~2003)으로 자리를 옮겼지만, 다시 「미디어오늘」 취재부장(2004), 편집국장 대리(2004.11), 이사·편집국장(2005)을 역임했다.
李 前 국장은 「미디어오늘」 기자 시절인 2001년 6월 盧武鉉 당시 민주당 상임고문과 인터뷰한 長文의 기사를 싣기도 했다. 다음은 기사의 일부이다.
<… 盧고문은 『수구세력 대공세 선봉에 조선일보가 서 있다』면서 『조선일보는 독재권력과의 야합으로 부정과 특혜를 통해 쌓아올린 기득권 세력이며 언론시장에서 부당한 과실을 누리고 있다. 조선일보가 이제 와서 자율경쟁을 주장하는 것은 부당하게 얻은 독점적 지위를 자율이라는 명분을 통해 유지하겠다는 발상』이라고 조선일보를 특정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盧고문은 조선일보와의 악연이 많은 정치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1991년 「통합야당 대변인 盧武鉉 의원은 과연 상당한 재산가인가」란 「주간조선」 기사와 관련, 1992년 조선일보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2000만원의 원고승소 판결을 받아낸 것. … >
李 前 국장과 함께 국정홍보처에 특채돼 홍보기획단 홍보콘텐츠개발팀(6급)에 근무 중인 박주선씨 역시 「기자협회보」 기자 출신이다.
홍보수석실은 「특명전권 수석실」
盧武鉉 대통령의 對언론 전위부대인 홍보수석실은 공무원들 사이에서 「특명전권 수석실」이라는 별칭이 붙을 정도로 막강하다. 공무원들은 『옛날엔 감사원의 직무감찰이 겁이 났지만 지금은 홍보감찰이 더 무섭다』고 말한다. 정부부처에 대한 문제성 기사나 인터뷰가 나가면 정부 관계자의 발언을 일일이 확인하고, 각 부처가 해당 언론사에 「정정·반론문」을 게재토록 요구한다.
앞서 兪弘濬(유홍준) 문화재청장 등 現 정부 고위공직자들이 조선일보에 기고하거나 인터뷰한 경위를 조사토록 지시한 것이 청와대 홍보수석실인 것으로 알려졌다.
홍보수석실과 함께 국정홍보처의 권한이 덩달아 세지고 있다. 국정홍보처는 국정브리핑 기능을 강화한다는 취지에서 지난 4월11일 전·현직 기자를 포함해 8명을 특채했다.
盧대통령이 국정홍보에 상당한 무게를 실은 만큼 국정 全 분야에 걸쳐 홍보수석실과 국정홍보처의 관여가 많을 수밖에 없다. 이슈 브리핑, 청와대 새소식, 사실과 주장, 국정일기, 춘추관 브리핑, 청와대 브리핑(이메일)에다 각종 포털 사이트에 개설된 청와대 블로그까지 양과 질 면에서 청와대 매체의 힘은 실로 막대하다.
홍보수석실에는 「대변인팀」과 「홍보기획」, 「국정홍보」, 「국내언론」, 「해외언론」 파트가 있다. 이 중 청와대 브리핑을 발간하고 홈페이지를 기획·운영하는 「국정홍보」(비서관 金鍾民)와 각종 국내언론을 보도·분석하고 정책업무를 조율하는 「국내언론」(비서관 崔仁昊) 파트가 핵심이다.
홍보수석실 사람들
홍보수석실 「국정홍보」 파트에는 金鍾民(김종민) 비서관을 비롯, 13명의 행정관과 보조직원(임시직)이 있다. 金비서관은 「내일신문」·「시사저널」 기자 출신으로 최연소 청와대 대변인을 역임했다. 386 운동권 출신이다.
지난 4월1일자로 청와대에 둥지를 튼 閔炯培(민형배) 행정관은 전남일보 기자 출신이다. 신문사 노조위원장을 하다가 경영진의 눈 밖에 나 사표를 썼다. 전남大 언론홍보연구소 연구원, 전남大 사회과학연구원, 시민단체인 「참여자치21」 대표를 거쳤으며, 난립하는 광주·전남지역 지방신문을 분석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이력이 있다.
金相鐵(김상철) 행정관(4급 상당)은 한국기자협회 편집국 기자(1995~ 2003)로 근무하다 경향신문에 입사(2003)해 미디어부·여론독자부에 근무했다. 지난해 4월 청와대에 들어갔다.
백승권 행정관(4급 상당)은 「미디어오늘」 창간 멤버로 이후 방송팀 팀장을 거쳤으며, 지난해 11월 청와대에 합류했다.
이 밖에 김성재 행정관(계약직)은 한겨레신문 기자로 있다가 사표를 쓰고 지난 7월10일 홍보수석실 발령을 받았고, 김희숙 행정관(계약직)은 개혁당 출신으로 참여정치실천연대 대변인과 열린당 중앙위원을 거쳤다. 지난 7월14일 청와대 발령을 받았다.
임시직으로 근무 중인 구은정씨는 「미디어오늘」이 새로 창간할 당시 몸을 담았었다.
홍보수석실 「국내언론」 파트에는 기자 출신이 2명밖에 없다. 崔仁昊(최인호) 비서관은 부산大 총학생회장을 역임한 386 운동원으로 열린당 부산시지부 대변인을 역임했다.
이호석 행정관(계약직)은 「미디어오늘」 차장으로 있다가 열린당 소속 이경숙 의원의 보좌진으로 일했다. 지난 5월 청와대에 들어갔다. 신민희 행정관(계약직)은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간사와 오마이뉴스 편집국 부장(대우)으로 근무했으며 지난 6월 청와대에 합류했다.
이처럼 홍보수석실에 근무하는 기자 출신 행정관 중에는 매체비평 전문지 출신들이 많이 눈에 띈다. 「기자협회보」·「미디어오늘」 출신이 아니면, 朝·中·東과 대척되는 한겨레·경향·오마이뉴스에 근무한 경력이 있다. 예외라면 홍보기획 파트에 근무하는 이승형 행정관(문화일보)과 閔炯培 행정관(전남일보) 정도다.
「미디어오늘」은 매체비평 기자들의 청와대行을 어떻게 바라볼까. 참여정부의 언론개혁에 비판적이면서도, 기존 朝·中·東에 대해 여전히 각을 세운다. 양날의 칼이지만, 나름의 균형감을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기자는 지난 9월12일 玄利涉 「미디어오늘」 사장에게 전화를 걸었다. 玄사장은 현대경제일보(現 한국경제신문)에 재직하던 1980년 당시 광주사태가 발발하자 신문제작을 거부해 강제해직됐고, 이후 한겨레신문 창간작업에 참여했다. 한겨레신문 편집국 부국장과 출판·제작국장 등을 역임했다.
『매체비평 기자들의 청와대行, 당혹스럽다』
―참여정부가 내걸었던 언론개혁의 의제에 대해선 어떻게 보시나요.
『「신문개혁법」 같은 의제는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어느 정도 된다고 봐요.
그러나 말로만 언론개혁을 했지 일관되게 추진하지 못했고, 이룬 게 없고 혼란스럽기만 합니다. 특히 청와대 홍보팀들의 역할이 메이저 언론에 대한 대응에 치우치다 보니, 언론개혁이라기보다 언론과의 불필요한 마찰만 낳았어요.
이런 게 확대발전돼 朝·中·東조차 정파지적인 개념으로 가게 됐고요. 정부의 몇 개 신문에 대응하는 방식이 국민을 짜증스럽게 만들었습니다.
말로는 언론개혁의 테제를 내걸었지만 지엽적인 문제, 그러니까 朝·中·東의 정파지적인 개념과 청와대의 언론의 즉자적인 대응으로 말미암아, 우리나라 언론의 질을 전반적으로 퇴보시키는 결과가 노정됐다고 볼 수 있겠죠』
―「미디어오늘」이 표방하는 언론개혁이 언론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쳤다고 자부하십니까.
『특정언론이 여론을 공론화시키는 왜곡된 상황, 이런 것을 감리·감독하는 정부 역시 여론을 공론화하는 과정에서 자기들만의 여론을 강요하거나 의제화하는 행위에 대해선 마땅치 않게 여깁니다. 특히 청와대 브리핑이나 국정홍보처 브리핑은 상당히 再考해야 될 부분이 있지 않나 생각해요. 최근에 보면 「칼럼니스트 공장」 같기도 하고, 이런 행위를 하는 것은 졸렬한 참여정부의 對언론정책이어서 낙제점이라고 봐요. 또 다른 갈등을 양산시키니까요』
―국정 브리핑이나 청와대 브리핑에 「미디어오늘」이나 「기자협회보」 같은 매체비평 출신들이 대거 포진해 있습니다.
『상당히 곤혹스럽습니다. 직업선택의 자유도 있고, 또 나름대로 개혁의지를 갖고 참여정부에 들어가는 부분을 뭐라고 할 순 없죠. 그러나 상당히 보이지 않는 제약 같은 게 있어요. 부담감을 느낍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국민적 공인매체라는 틀에서 언론이 가져야 할 잣대의 기준을 엄격히 재고 있습니다』●
이 자리에는 언론개혁시민연대 金周彦(김주언) 당시 사무총장(現 신문발전위원회 사무총장)과 「미디어오늘」 安榮培(안영배) 편집국장, 「기자협회보」 鄭求喆(정구철) 편집국장이 참석했다.
1962년생인 安榮培 국장은 서울시립大를 나와 월간 「말」誌 편집차장, 기자협회 편집부장을 거쳐 「미디어오늘」 편집국장에 재직하고 있었다. 1963년생인 鄭求喆 국장은 성균관大 출신으로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언론노련) 기관지인 「언론노보」 기자와 차장, 「미디어오늘」 편집국 차장, 민주언론실천위 간사를 거쳐 기자협회보 편집국장에 근무하고 있었다.
安국장은 이 자리에서 이런 말을 했다.
『동아·조선·중앙 같은 이른바 메이저 신문사들에 대한 취재는 이전에 비해 많이 어려워졌습니다. 최근 구체화되고 있는 언론개혁의 화살이 자신들에게 향하고 있다고 느끼는 것 같습니다.… 언론개혁은 기자들이 그런 自社(자사) 이기주의를 버리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鄭국장 역시 『언론개혁의 대중성 확보에 주력하겠다』고 했다.
『社內 내부 견제 기능 피폐화로 자기수정과 반성의 목소리가 사라졌습니다. 기자 직업윤리의 감시자 역할을 하던 언론노조나 기자협회 지회도 이 역할을 포기한 것처럼 보입니다.… 언론개혁의 실천적 방향을 제시해 언론개혁의 대중성을 확보하는 데 노력할 생각입니다』
「참여정부」 출범 후 청와대行
언론개혁에 목소리를 높이던 매체비평 언론의 국장 두 사람은 공교롭게도 「참여정부」 출범과 함께 청와대에 입성한다. 安국장은 2003년 2월 대통령비서실 국정홍보행정관으로, 鄭국장은 한 해 뒤인 2004년 2월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실 행정관으로 들어갔다.
安행정관은 이후 홍보수석실 국정홍보비서관으로 승진한다. 그러나 2004년 7월 당시 한나라당 朴槿惠(박근혜) 대표를 비하하는 패러디 게시물을 청와대 홈페이지에 장시간 게재했다는 이유로 직위 해제됐다. 그가 물러나자 鄭행정관이 바통을 이어받는다.
하지만, 安비서관은 옷을 벗기는커녕 한 달 만에 홍보수석실 국내언론비서관으로 수평이동, 지난 2월까지 재직한다. 이후 그는 40代에는 하기 힘든 공무원 1급 자리인 국정홍보처 차장으로 승진한다. 鄭행정관 역시 지난해 4월 공무원 1급 자리인 한국정책방송 KTV의 영상홍보원장에 취임했다.
한때 언론현장에서 언론개혁을 외치던 두 기자가 참여정부 출범과 함께 공무원이 되고 승승장구하다 공무원 1급 자리인 국정홍보처 차장과 영상홍보원장에 나란히 오른 것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두 사람 모두 「미디어오늘」과 「기자협회보」 출신이란 점이다. 安차장은 「기자협회보」와 「미디어오늘」에 있었고, 鄭원장은 「언론노보」(「미디어오늘」 前身)·「미디어오늘」·「기자협회보」를 거쳤다. 닮은꼴 행적이다. 비슷한 성격의 두 매체를 한 번씩 서로 왔다 갔다 한 것은 특이하다면 특이한 현상이다. 언론 내부를 감시·자정하겠다고 만든 매체의 편집국장들이 「권력(청와대)」과 손잡은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기자협회보」는 1964년 11월 창간된 기자협회가 주관하는 신문이다. 기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과거 군사정부 시절 보도통제에 대항하여 언론자유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발했다.
「미디어오늘」은 1988년 언론노련 기관지로 창간된 「언론노보」의 後身(후신)이다.
「언론노보」는 1992년 장재국 한국일보 前 회장이 미국 라스베이거스 카지노에서 도박을 했다는 의혹을 처음 보도하는 등 언론계 내부의 「카르텔」을 깨는 데 한몫을 하며 성장했다. 당시 기사를 쓴 「언론노보」 기자가 지금의 鄭求喆 영상홍보원장이다.
「기자협회보」와 「미디어오늘」(언론노보)은 언론의 비판기능 속에 숨겨진 「횡포」와 「오보」를 발굴하는 일에 앞장섰다. 「여론 독과점 문제」와 「기자 촌지수수」와 같은 언론개혁에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玄利涉(현이섭) 「미디어오늘」 사장의 말이다.
『그동안 민주화가 진행되었지만 권력이 느슨해진 상황에서 일부 언론이 민주화에 무임승차해 권력화해 버리는 상황이 생겼다. 그러한 상황에서 1995년 검증받지 않은 권력이 여론을 서로 독점하고 공론화시키고 있을 때 「미디어오늘」이 그 실체를 파헤치고 비평을 하여 권력화한 언론을 견제하는 데 기여를 많이 해왔다. 기자의 촌지라든지, 기사 베끼기 등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 언론개혁에 이바지했다고 자부한다』
「미디어오늘」은 주로 朝·中·東(조·중·동)과 같은 이른바 메이저급 언론에 포커스를 맞춰 왔다. 朝·中·東의 논조와 기사에 대해선 비교적 엄격한 잣대를 대며 여론독과점 해소와 신문시장의 정상화, 언론사의 소유와 경영의 분리까지 다양한 이슈를 제기했다.
새로운 「權·言 유착」
이 같은 문제의식은 보수언론과 대립해 온 정부의 언론개혁 의제와 일치 혹은 공유하고 있다. 金大中(김대중)·盧武鉉(노무현) 정부 들어 매체비평 전문지 출신들이 대거 청와대 홍보수석실과 국정홍보처에 등용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전과는 분명히 다른 「權·言(권언) 유착」의 징후들이다. 나름대로 언론개혁에 앞장섰던 매체비평지로서는 딜레마가 아닐 수 없다.
玄利涉 「미디어오늘」 사장은 지난해 창간 10주년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미디어오늘」 기자들이 언론계뿐만 아니라 청와대 등에도 진출해 있다. 내게도 후배들이지만 개인적으로 만나지 않는다. 「미디어오늘 출신」들의 진출은 있을 수 있지만 「미디어오늘」은 안 된다.
언론은 사회의 소금과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해 힘든 일을 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權·言 유착이나 정파주의를 지향하는 언론이나 언론인은 언론계를 떠나야 한다고 본다』
盧대통령, 『楊正哲이한테 바로 전화를 해요』
![]() |
安榮培 국정홍보처 차장 |
이를 잘 보여 주는 일화가 있다. 2003년 11월16일 盧대통령은 서울 종로의 한 식당에서 청와대 출입기자들과 오찬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盧대통령은 이런 말을 했다.
『국내 언론에 지시할 것이 있으면 수석 통하지 않고 바로 전화합니다. 楊正哲이한테 전화를 바로 해요』
楊正哲(양정철) 홍보기획비서관은 당시 행정관 신분이었다. 대통령이 홍보담당 실무직원인 행정관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업무를 지시한다는 얘기였다. 업무위계와 보고 계통을 깬 것이어서 당시 동석한 기자들은 파격으로 받아들였다. 한 청와대 출입기자의 말이다.
『盧대통령은 「楊正哲」이란 이름을 거론하며 상당한 신뢰감을 드러냈습니다. 홍보수석실에서의 楊비서관 위상을 알려 주는 대목이지요. 李炳浣(이병완) 비서실장도 홍보수석 출신입니다. 趙己淑(조기숙·前 홍보수석)씨도 그렇고… 이런 상황이니 홍보수석실에 힘이 실릴 수밖에 없지요』
楊正哲 비서관은 「미디어오늘」의 前身인 「언론노보」 기자 출신이다. 1988년부터 1994년까지 7년 가까이 근무했다고 한다. 이후 2002년 盧武鉉 대통령 후보 선거캠프에서 언론보좌 역을 맡았다. 언론보좌 역으로 그가 한 일은 盧후보의 일일 동정과 논평·연설, 선거쟁점에 대한 입장을 담은 「盧武鉉 브리핑」을 제작하는 일이었다.
당시 「盧武鉉 브리핑」에는 「미디어오늘」 사장(1999. 6~2002. 02)을 역임한 南永振(남영진)씨를 비롯, 金在星(김재성)·鄭順均(정순균)·柳鍾珌(유종필)씨가 편집위원을 맡고 있었다. 참여정부 이후 南씨는 한국방송광고공사 감사(2003. 6~)를, 金씨는 국무총리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1급·2003. 8~2004)을 역임했다. 鄭씨는 국정홍보처장(2004. 2~2005. 3)을 거쳐 현재 한국방송광고공사 사장(2006. 5~)에 재직 중이다.
![]() |
楊正哲 홍보기획비서관은 청와대 홍보라인의 핵심이다. 지난 8월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회운영委 전체회의에 楊正哲 비서관이 답변하고 있다. |
한나라당 金陽秀(김양수) 의원이 『언론노보 기자생활을 7년이나 했으니 코드가 잘 맞겠다. 혹시 지금 아무 생각 없이 비서생활 하는 게 아니냐』고 추궁했다.
李君賢(이군현) 의원이 『일개 비서관이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에게 주어진 면책특권을 모독한 행동부터 사과하라』고 다그치자, 그는 『사과할 말은 아니고 「일개 비서관」이라는 말부터 쓰지 말아 달라』고 맞섰다.
그는 자신의 청와대 블로그에 「조선·동아는 저주의 굿판을 당장 걷어치워라」(2004. 7. 9), 「가출한 朴대표, 안 말리는 조선·동아」(2005. 12. 23), 「조선·동아의 심각한 反노무현 중독증」(2005. 12. 28), 「동아일보여, 그렇게 한가한가(2006. 5. 18)」 등 언론에 대한 자신의 불만을 여과 없이 토로할 정도다.
楊비서관이 청와대內에서 어떤 위치인지는 劉震龍(유진룡) 前 문화관광부 차관 경질과정에서 잘 나타난다. 다음은 楊비서관의 8월25일 국회 운영委 일문일답이다.
<─청와대에서 홍보비서관의 업무 분장이 뭡니까. 정확히 숙지하고 있지 못하는 것 같은데, 아리랑TV 부사장 인사 협의한 게 업무와 무슨 관계가 있습니까.
『광의의 업무라고 생각합니다』
―청와대에서 아리랑TV 인사 부탁한 것은….
『(질문을 자르며) 부탁이 아닙니다』
―그럼 대통령비서관이 인사 청탁이나 협의를 할 때 동네방네 선언하고 하겠습니까.
『그건 유진룡 前 차관의 생각이고, 문화부 장관이나 아리랑TV 사장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언론노보」 기자 시절의 楊正哲
![]() |
楊正哲 홍보기획비서관 |
『好(호)·不好(불호)가 분명한 사람이었습니다. 나름대로 성실함이 있었고, 당파성이랄까… 자기 주관이 뚜렷했어요. 그런 성향이 지금의 楊正哲을 만든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 시절 활동했던 이들의 모임이 있다고 들었는데 확실한 것은 알지 못합니다』
또 다른 관계자의 이야기다.
『운동권 출신이지만 기자 시절에는 그렇게 과격하지 않았어요. 지금의 모습과는 많이 다르다고 할 수 있죠. 후배들도 많이 따르곤 했는데, 요즘엔 거의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좀 변했다고 할 수 있어요. 변한 것이 나쁘다고 할 수는 없죠. 하지만 요즘 신문을 보니 그리 좋은 모습으로 비춰지지 않는 것만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언론노보」 기자 시절 그와 만났던 사람들은 그에 대한 언급을 하나같이 꺼려했다. 「있는 그대로 이야기 해달라」, 「좋은 점을 설명해 달라」고 부탁했지만 『(그와) 엮이기 싫다』고 피했다.
楊비서관은 2001년 스카이라이프에 근무하다 社內 문제를 누설했다는 이유로 해고됐다. 그러나 해고무효 소송을 제기, 항소심을 진행하다 스카이라이프가 지난해 4월 서울고법의 조정案을 받아들였다. 조정案은 楊비서관에게 「해직된 2002년 3월10일~2005년 4월28일까지 月 663만3340원씩 모두 2억4200여만원의 임금을 지급하라」는 내용이었다.
스카이라이프가 법원의 조정案을 받아들인 이유를 두고 일부 언론은 「방송정책을 조율하는 楊비서관의 신분을 의식했기 때문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그는 지난해 8월 삼성 측에 대통령이 참가하는 행사의 비용 등과 관련해 「협의」한 사실이 드러나 결국 「공개사과」했다. 지난 8월 초 경질된 劉 前 차관이 전한 『배 째 드리지요』 발언의 진원지로 알려졌지만 楊비서관은 부인하고 있다. 그의 말이다.
『소설 같은 이야기로 비열한 정치적 의도가 깔린 헛소문이다. 1980년대 「운동권이 性(성)을 혁명 도구화한다」는 고약한 루머 이래 최악의 악성 유언비어다』
![]() |
盧武鉉 대통령이 지난 6월2일 오후 정부중앙청사 별관 국제회의장에서 중앙행정기관 정책홍보 관계관 등이 참석한 정책홍보토론회를 지켜보고 있다. |
홍보수석실 국내언론(4급 상당) 행정관을 역임한 張현철씨는 현재 「바다이야기」로 시끄러운 게임물등급위원회의 총괄기획단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1967년생인 그는 단국大를 나와 한국기자협회(1991.9~1995.7)와 「미디어오늘」(1997.1~1999.6)에서 기자로 일하다, 국정홍보처 사무관(1999.7~2001.12)으로 정책홍보 전담 공무원이 됐다. 이후 청와대에 입성, 2002년 1월부터 지난 5월까지 청와대 홍보수석실에서 근무했다.
李보좌관과 張단장은 1990년대 초 한국기자협회 편집국에 한솥밥을 먹었으며, 공교롭게도 DJ 정부 때 청와대에 들어갔다. 張단장은 「미디어오늘」 기자 시절 「조선일보 안보상업주의를 해부한다」는 제목의 기획기사를 써 네 차례 연재했다.
李榮太(이영태) 前 「미디어오늘」 편집국장은 지난 4월 국정홍보처가 국정브리핑 강화를 위해 충원한 특채자로 최근 공무원이 됐다. 정책포털운영단 정책뉴스팀의 외교·통일 취재 총괄업무를 맡고 있다. 李 前 국장은 서강大를 나와 독일 도르트문트 대학(언론학 석사)을 거친 유학파다. 그는 귀국 후 「미디어오늘」 기자(1999~2001)로 일하다 프레시안 미디어팀장(2002~2003)으로 자리를 옮겼지만, 다시 「미디어오늘」 취재부장(2004), 편집국장 대리(2004.11), 이사·편집국장(2005)을 역임했다.
李 前 국장은 「미디어오늘」 기자 시절인 2001년 6월 盧武鉉 당시 민주당 상임고문과 인터뷰한 長文의 기사를 싣기도 했다. 다음은 기사의 일부이다.
<… 盧고문은 『수구세력 대공세 선봉에 조선일보가 서 있다』면서 『조선일보는 독재권력과의 야합으로 부정과 특혜를 통해 쌓아올린 기득권 세력이며 언론시장에서 부당한 과실을 누리고 있다. 조선일보가 이제 와서 자율경쟁을 주장하는 것은 부당하게 얻은 독점적 지위를 자율이라는 명분을 통해 유지하겠다는 발상』이라고 조선일보를 특정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盧고문은 조선일보와의 악연이 많은 정치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1991년 「통합야당 대변인 盧武鉉 의원은 과연 상당한 재산가인가」란 「주간조선」 기사와 관련, 1992년 조선일보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2000만원의 원고승소 판결을 받아낸 것. … >
李 前 국장과 함께 국정홍보처에 특채돼 홍보기획단 홍보콘텐츠개발팀(6급)에 근무 중인 박주선씨 역시 「기자협회보」 기자 출신이다.
홍보수석실은 「특명전권 수석실」
![]() |
李榮太 前「미디어오늘」편집국장 |
앞서 兪弘濬(유홍준) 문화재청장 등 現 정부 고위공직자들이 조선일보에 기고하거나 인터뷰한 경위를 조사토록 지시한 것이 청와대 홍보수석실인 것으로 알려졌다.
홍보수석실과 함께 국정홍보처의 권한이 덩달아 세지고 있다. 국정홍보처는 국정브리핑 기능을 강화한다는 취지에서 지난 4월11일 전·현직 기자를 포함해 8명을 특채했다.
盧대통령이 국정홍보에 상당한 무게를 실은 만큼 국정 全 분야에 걸쳐 홍보수석실과 국정홍보처의 관여가 많을 수밖에 없다. 이슈 브리핑, 청와대 새소식, 사실과 주장, 국정일기, 춘추관 브리핑, 청와대 브리핑(이메일)에다 각종 포털 사이트에 개설된 청와대 블로그까지 양과 질 면에서 청와대 매체의 힘은 실로 막대하다.
홍보수석실에는 「대변인팀」과 「홍보기획」, 「국정홍보」, 「국내언론」, 「해외언론」 파트가 있다. 이 중 청와대 브리핑을 발간하고 홈페이지를 기획·운영하는 「국정홍보」(비서관 金鍾民)와 각종 국내언론을 보도·분석하고 정책업무를 조율하는 「국내언론」(비서관 崔仁昊) 파트가 핵심이다.
홍보수석실 사람들
![]() |
玄利涉「미디어오늘」사장 |
지난 4월1일자로 청와대에 둥지를 튼 閔炯培(민형배) 행정관은 전남일보 기자 출신이다. 신문사 노조위원장을 하다가 경영진의 눈 밖에 나 사표를 썼다. 전남大 언론홍보연구소 연구원, 전남大 사회과학연구원, 시민단체인 「참여자치21」 대표를 거쳤으며, 난립하는 광주·전남지역 지방신문을 분석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이력이 있다.
金相鐵(김상철) 행정관(4급 상당)은 한국기자협회 편집국 기자(1995~ 2003)로 근무하다 경향신문에 입사(2003)해 미디어부·여론독자부에 근무했다. 지난해 4월 청와대에 들어갔다.
백승권 행정관(4급 상당)은 「미디어오늘」 창간 멤버로 이후 방송팀 팀장을 거쳤으며, 지난해 11월 청와대에 합류했다.
이 밖에 김성재 행정관(계약직)은 한겨레신문 기자로 있다가 사표를 쓰고 지난 7월10일 홍보수석실 발령을 받았고, 김희숙 행정관(계약직)은 개혁당 출신으로 참여정치실천연대 대변인과 열린당 중앙위원을 거쳤다. 지난 7월14일 청와대 발령을 받았다.
임시직으로 근무 중인 구은정씨는 「미디어오늘」이 새로 창간할 당시 몸을 담았었다.
홍보수석실 「국내언론」 파트에는 기자 출신이 2명밖에 없다. 崔仁昊(최인호) 비서관은 부산大 총학생회장을 역임한 386 운동원으로 열린당 부산시지부 대변인을 역임했다.
이호석 행정관(계약직)은 「미디어오늘」 차장으로 있다가 열린당 소속 이경숙 의원의 보좌진으로 일했다. 지난 5월 청와대에 들어갔다. 신민희 행정관(계약직)은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간사와 오마이뉴스 편집국 부장(대우)으로 근무했으며 지난 6월 청와대에 합류했다.
이처럼 홍보수석실에 근무하는 기자 출신 행정관 중에는 매체비평 전문지 출신들이 많이 눈에 띈다. 「기자협회보」·「미디어오늘」 출신이 아니면, 朝·中·東과 대척되는 한겨레·경향·오마이뉴스에 근무한 경력이 있다. 예외라면 홍보기획 파트에 근무하는 이승형 행정관(문화일보)과 閔炯培 행정관(전남일보) 정도다.
「미디어오늘」은 매체비평 기자들의 청와대行을 어떻게 바라볼까. 참여정부의 언론개혁에 비판적이면서도, 기존 朝·中·東에 대해 여전히 각을 세운다. 양날의 칼이지만, 나름의 균형감을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기자는 지난 9월12일 玄利涉 「미디어오늘」 사장에게 전화를 걸었다. 玄사장은 현대경제일보(現 한국경제신문)에 재직하던 1980년 당시 광주사태가 발발하자 신문제작을 거부해 강제해직됐고, 이후 한겨레신문 창간작업에 참여했다. 한겨레신문 편집국 부국장과 출판·제작국장 등을 역임했다.
『매체비평 기자들의 청와대行, 당혹스럽다』
―참여정부가 내걸었던 언론개혁의 의제에 대해선 어떻게 보시나요.
『「신문개혁법」 같은 의제는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어느 정도 된다고 봐요.
그러나 말로만 언론개혁을 했지 일관되게 추진하지 못했고, 이룬 게 없고 혼란스럽기만 합니다. 특히 청와대 홍보팀들의 역할이 메이저 언론에 대한 대응에 치우치다 보니, 언론개혁이라기보다 언론과의 불필요한 마찰만 낳았어요.
이런 게 확대발전돼 朝·中·東조차 정파지적인 개념으로 가게 됐고요. 정부의 몇 개 신문에 대응하는 방식이 국민을 짜증스럽게 만들었습니다.
말로는 언론개혁의 테제를 내걸었지만 지엽적인 문제, 그러니까 朝·中·東의 정파지적인 개념과 청와대의 언론의 즉자적인 대응으로 말미암아, 우리나라 언론의 질을 전반적으로 퇴보시키는 결과가 노정됐다고 볼 수 있겠죠』
―「미디어오늘」이 표방하는 언론개혁이 언론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쳤다고 자부하십니까.
『특정언론이 여론을 공론화시키는 왜곡된 상황, 이런 것을 감리·감독하는 정부 역시 여론을 공론화하는 과정에서 자기들만의 여론을 강요하거나 의제화하는 행위에 대해선 마땅치 않게 여깁니다. 특히 청와대 브리핑이나 국정홍보처 브리핑은 상당히 再考해야 될 부분이 있지 않나 생각해요. 최근에 보면 「칼럼니스트 공장」 같기도 하고, 이런 행위를 하는 것은 졸렬한 참여정부의 對언론정책이어서 낙제점이라고 봐요. 또 다른 갈등을 양산시키니까요』
―국정 브리핑이나 청와대 브리핑에 「미디어오늘」이나 「기자협회보」 같은 매체비평 출신들이 대거 포진해 있습니다.
『상당히 곤혹스럽습니다. 직업선택의 자유도 있고, 또 나름대로 개혁의지를 갖고 참여정부에 들어가는 부분을 뭐라고 할 순 없죠. 그러나 상당히 보이지 않는 제약 같은 게 있어요. 부담감을 느낍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국민적 공인매체라는 틀에서 언론이 가져야 할 잣대의 기준을 엄격히 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