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마이클 李의 바른 英語 강좌 (3) 사람에 대한 호칭

Sir는 男性에게 Ma’am은 女性에게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
  • 스크랩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필자는 충남 부여 生으로 在美교포이다. 그는 40년 간 미국 연방정부 고위직에 재직하였다.연방정부 외교관으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근무하였고, 1986~1995년 사이에는 주한 미국대사관에서 정무관으로 근무하였다. 1988년에는 미국 의회가 그의 뛰어난 근무 공적을 인정하였고 그 사실이 미국과 한국의 일간신문에 보도된 바 있다. 1995년 이후에는 국무부 동아시아문제 수석 연구원으로 일했고 2000년 2월에는 연방정부 공무원이 받을 수 있는 최고의 근무 훈장을 받았다. 필자는 모갠 클립핀저 (Morgan E. Clippinger) 와 함께 「Modern American Spoken English」 교재 18권을 저작하였고 현재 출판 준비중에 있다. 이 교재는 초급 6권 (기초 영어와 문법), 중급 6권 (회화영어와 실용적 표현법), 그리고 고급 6권 (숙어, 속어, 비유표현과 미국 문화 속에서의 독특하고 절묘한 고급 영어의 구사)으로 구성되어있다. <연락처 016-440-0730>
  호칭시 일단 미스터, 미스, 미세스
 
 
  1. 영어에서 사람에 대한 호칭: 한국에서는 국장님, 부장님, 선생님, 형, 오빠 등 직위나 혈연관계 그리고 신분에 따라 사람들을 호칭하는데, 미국처럼 영어를 사용하는 나라에서는 그렇게 부르는 예가 드물다. 신분이 높은 사람에게는 Mr. Secretary, Madam Secretary, Mr. President, Mr. Vice President라고 호칭하고 직장 상사들에게는 직위를 부르지 않고 미스터 누구누구라고 호칭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스티븐』, 『데이비드』 하면서 직접 이름을 부르는 게 상례이다. 하급자가 상급자를 부를 때도 이름을 부른다.
 
  물론 예외는 있다. 어떤 상하 위계질서를 강조하는 기관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미스터, 미세스 하면서 호칭을 쓰지 않고 직접 이름을 부르는 데 대해서 놀랄 필요가 없다. 한국 사람이 미국 사람을 부를 때 가장 안전한 방법은 일단 상대방에게 미스터, 미세스, 미스 등으로 호칭을 사용하고 상대방이 자기를 이름으로 불러달라고 부탁하면 그때 이후로는 호칭 없이 이름을 불러도 무방하다.
 
 
  2. 이름의 구성: 미국 사람이나 영국 사람들의 이름은 성이 맨 뒤에 온다. 예를 들어 Thomas Jefferson Smith 하면 Thomas는 first name이고, Jefferson (대개 첫자만 사용)은 middle name이고, Smith를 last name이라고 하며 그게 바로 성 또는 가족명이다. Mr. 나 Mrs. 또는 Miss 로 호칭할 때는 반드시 성 앞에 붙여야 하며(Mr. Smith, Mrs. Smith, Miss Smith) 상대방이 자기를 first name basis로 불러달라고 부탁할 때는 호칭 없이 Thomas, 또는 애칭으로 Tom 하고 부르면 된다.
 
 
  3. Sir와 Ma’am (Madam의 줄인말): 이 두 경칭을 잘못 써서 실수하는 예가 많다. Sir는 반드시 자기가 존경을 표시해야 할 상대방 「남성」에게만 써야지 여성에게 써서는 안 된다. 반면에 Ma’am 은 존경을 표시해야 할 상대방 「여성」에게 써야 하며 남성에게 써서는 절대로 안 된다. 지난 세대에서는 부모들이 자식을 교육할 때 어른들에게는 반드시 「Sir」 또는 「Ma’am」 하고 존칭을 사용하라고 했으나 지금은 시대가 바뀌어서 애들이나 젊은 사람들이 그런 존칭을 쓰는 것이 구식이라고 하여 심지어 자기 부모들에게도 이름을 부르는 풍조가 되었다.
 
  미국에 와서 이와같은 현상을 봐도 놀랄 필요가 없다. 그러나 군대에서는 여군 장교에 대해서 아직도 꼬박꼬박 「Ma’am」 이라고 존칭을 사용한다. 여하간 그런 존칭을 사용할 때 어떻게 사용하는지 아래 예문을 참고하기 바란다.
 
 
  상대 여성의 결혼 여부를 모를 땐 Ms.
 
 
  4. Ms. (여자에 대한 호칭):현대 영어를 사용하면서 또 알아야 할 것은 여자에 대한 호칭으로서 「Ms.」라는 새 단어가 정치적으로 탄생되었다. 미국에서 여권신장 운동의 결과로, 많은 여성들이 『모든 남자들은 기혼 미혼을 막론하고 「Mr.」 라고 부르는데 왜 여자들은 기혼 미혼을 구별하여 「Miss, Mrs.」 라고 부르느냐』 하면서 새로 만들어낸 단어가 「Ms.」이다. 현재 미국에서는 이 단어가 보편적으로 통용되고 있고, 본인이 특별히 「Miss」 또는 「Mrs.」 라고 불러달라는 부탁이 없는 한, 그리고 상대방 여자의 기혼 미혼 여부를 모를 때는 「Ms.」라는 호칭을 안심하고 사용해도 된다.
 
 
  5. 「minister」: 이 단어를 사용할 때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은, 미국에서는 이 단어가 주로 「성직자」를, 특히 개신교의 「목사」를 의미한다. 미국에서는 장관을 「Secretary」 라고 하기 때문에 그렇다. 그래서 다른 나라의 「장관」이란 뜻으로 사용할 때는 무슨 장관인지를 밝혀 주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법무부 장관=Minister of Justice」 또는 「내무부 장관=Minister of Home Affairs」 하면서. 그렇지 않으면 주일날 설교하는 목사로 오해할 수가 있다.
 
  신분을 더 확실히 하고 싶을 때는 목사의 경우도 「침례교 목사 = Baptist minister」 라고 하면서 교파를 밝혀 주면 더 좋다. 「목사」와 「장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는 「The Reverend」 라는 경칭을 목사 이름 앞에 쓸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외교관 직위의 하나인 「공사」도 영어로는 「minister」 라고 하기 때문에 이 단어를 사용할 때에는 전후관계를 분명히 해주는 게 좋다.
 
  I’d like to introduce Reverend Han.
 
  (한 목사를 소개하고 싶습니다.)
 
  I’d like to introduce the Reverend Han In-man.
 
  (한인만 목사님을 소개하고 싶습니다.)
 
  I’d like you to meet Foreign Minister Han Sung soo.
 
  (네가 한승수 외무부 장관을 만났으면 좋겠다.)
 
  Mr. Fulton is a Methodist minister.
 
  (미스터 훌톤은 감리교 목사입니다.)
 
  Did you say that that gentleman is a minister? Which church?
 
  (너 저분이 목사라고 했니? 어느 교회?)
 
  Oh, no. He’s the Korean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아니야. 그분은 한국의 국방장관이야.)
 
 
  6. 「secretary」:이 단어는 서신처리, 서류정리 등 다른 사람의 일을 도와 주는 「비서」와, 서류보관, 회의록 작성, 업무에 관한 서신응답 등 어느 단체의 내부업무를 담당하는 「간사」라는 뜻, 대사관의 대사 참사 밑에 「서기관」이란 직무, 그리고 미국의 행정부 「장관」을 의미한다(secretary 는 또한 책상 위에 자그마한 책꽂이가 달려 있는 책상을 의미한다).
 
  Miss Yang is a secretary in the High Sierra Company.
 
  (미스 양은 하이 시에라 회사의 비서이다.)
 
  Mr. Deng is a Second Secretary of the Chinese Embassy.
 
  (미스터 뎅은 중국 대사관의 이등 서기관이다.)
 
  Henry Kissinger was the Secretary of State.
 
  (헨리 키신저는 국무장관이었다.)
 
 
  7. 「chairman」:이 단어는 기업체의 회장이나 어느 단체나 조직의 위원장, 이사장 또는 의장을 부를 때 쓰는 호칭이다. 명예 회장은 honorary chairman, 회장이 여자일 경우에는 chairwoman 이라고 한다. 그러나 국회의장을 말할 때에는 「chairman」 이라고 하지 않고 「speaker」 라고 한다.
 
  Chairman CHANG Myong-sik of the Taesong Group.
 
  (대성 그룹의 장명식 회장님)
 
  Vice Chairman KIM Moon-ki of the Broadcasting Ethics Commission.
 
  (방송 윤리 위원회의 김문기 부위원장님)
 
  He is the chairman of the board of directors of this school.
 
  (그분이 이 학교 이사회 이사장님이시다.)
 
  The speaker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is now visiting Russia.
 
  (한국의 국회의장은 지금 러시아 방문 중이시다.)
 
 
  8. 「president」:이 단어는 보통 대통령을 의미하나 또한 대학 총장, 회사 사장, 어느 단체의 총회장 또는 총재 등을 부를 때 쓰는 호칭이다. 대학의 명예 총장은 president-mereritus 라고 하고 명예 교수는 professor emeritus라고 한다.
 
  George W. Bush is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조지 부시는 미국 대통령이다.)
 
  I received a letter from Donald S. Stanton, President-Emeritus of Oglethorpe University. (나는 오글소프 대학교 명예총장 도널드 스탠톤으로부터 편지를 받았다.)
 
 
  주의해야 할 총리 호칭
 
 
  9. 「premier 와 prime minister」: 국무장관, 국무총리, 수상, 내각총리는 모두 정부의 수반을 의미하나 영어로 부를 때에는 나라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다. 어떤 나라에서는 정부 조직에 내각총리가 아예 없는 곳도 있고, 보통 국가원수와 정부수반이 따로 있으나 미국 같은 나라에서는 대통령이 동시에 국가원수(Chief of state)이며 정부수반(head of the government) 이다.
 
  그러나 미국의 국무장관은 의전상으로 다른 나라의 내각총리와 대등한 위치이다. 대개 대통령이 국가원수이나 캄보디아, 요르단, 네팔, 노르웨이, 스웨덴, 태국 같은 나라에서는 왕이고, 영국, 덴마크, 네덜란드는 여왕이고, 일본은 천황이다.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 한국, 싱가포르, 일본을 포함한 거의 모든 나라에서는 정부수반인 국무총리나 내각수반을 「prime minister」 라고 부르는데, 특이하게도 유독 러시아, 중국, 그리고 북한의 경우는 「premier」 라고 부르며, 독일의 경우는 「chancellor」 라고 부른다. 미국에서는 국무장관을 「secretary of state」 라고 한다. 이들 직위를 영어로 번역할 때 착오가 없기를 바란다.
 
 
  10. 국적(Nationalities)을 말할 때: 어떤 사람의 국적을 말할 때 보통명사로 어느 나라 사람인 것을 말할 수도 있으나 형용사를 사용하여 그 사람의 소속 국가를 말할 수도 있다. 아래의 경우는 둘 다 맞다.
 
 
  (명사로 표현하는 경우) (형용사로 표현하는 경우)
 
  He is a Korean. He is Korean.
 
  I am an American. I am American.
 
  She is a Chinese. She is Chinese.
 
  He is a German He is German.
 
  I am a Russian. I am Russian.
 
 
  11. 「You」 의 일반적 해석: 영어에서 「you」 라는 대명사는 「너, 당신, 당신들」 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어떤 특정한 「당신」이 아니라 일반적인 의미로서의 「사람들」이란 뜻일 때가 있다. 예를 들면
 
  Drugs are bad for you.=Drugs are bad for people.(마약은 사람들에게 해롭다.)
 
  You never know=One never knows.(알수 없는 일이다) - 이런 경우에는 「당신은 아는 게 없다」란 뜻이 아니고 「무슨 일이 일어날지 사람들은 알 수가 없다」 란 뜻이다.
 
 
  다양한 외교관 호칭
 
 
  12. 「외교관의 호칭」:대사를 「ambassador」라고 하지만 공관장이란 뜻으로 부를 때에는 「chief of mission」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부대사를 「deputy ambassador」 라고는 하지 않고 「deputy chief of mission」 또는 DCM이라고 한다. 경우에 따라 대사의 호칭이 달라지는데 실례를 들면 아래와 같다.
 
  대리대사-charge d’affaires - (대사 부재시에)
 
  임시 대리대사-charge d’affaires ad interim
 
  전권대사-ambassador plenipotentiary
 
  특명 전권대사-ambassador extraordinary and plenipotentiary
 
  순회대사-roving ambassador
 
  (특수 임무를 띠고 파송된) 특사-special envoy
 
  무임소 대사-ambassador-at-large
 
  주불 대사(주미 대사)-ambassador to France (ambassador to the US)
 
  「대사」 다음으로 높은 외교관 직위는 「공사」인데 영어로는 「minister」 라고 하고, 그 다음은 참사 「counselor」, 일등 서기관 「first secretary」, 다음은 이등 서기관 「second secretary」, 다음은 삼등 서기관 「third secretary」 이다.
 
  영사업무를 취급하는 외교관의 경우는 호칭이 다르다. 총영사는 「consul general」, 영사는 「consul」, 그리고 부영사는 「vice consul」 이라고 부른다. 정부의 다른 부처에서 파견되어 외교 면책권을 향유하면서 외교활동을 하는 사람들은 「attache」 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무관은 「military attache」, 상무관은 「commercial attache」, 농무관은 「agricultural attache」, 관세관은 「customs attache」 라고 부른다.
 
 
  13. 「Using initials for US Presidents」:(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약자로 쓰는 경우) 미국의 언론은 자주 어떤 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약자로 쓰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Franklin Delano Roosevelt」를 「FDR」 로, 「Lyndon Baynes Johnson」을 「LBJ」로, 「John Fitzgerald Kennedy」를 「JFK」로 표시하는 것이다. 「George W. Bush」 대통령을 가끔 「W」 또는 「George W」 로 호칭하는데, 그의 아버지인 「George Bush」와 구별하기 위해서다.
 
  한국에서도 비슷한 예로 「Kim Dae Jung」을 「DJ」로, 「Kim Young Sam」를 「YS」로, 「Kim Jong Pil」을 「JP」로 부르는 것과 같다.●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