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이 6·25전쟁 73주년, 정전 70주년을 맞아 당시 격전지를 답사했다.
육사 군사사학과(학과장 심호섭 소령) 교수진과 전공 생도 29명(2~4학년, 80~82기)은 지난 6월 9~10일 6·25전쟁 당시 선배 전우들이 피와 땀을 흘렸던 ▲펀치볼 전투 ▲피의 능선 ▲단장의 능선 ▲고성지구전투 ▲저격능선 ▲금성지구전투 ▲백마고지전투 현장을 찾았다. 생도들은 각자 역할을 분담해 답사록을 만들고 현장에서는 전술 토의까지 이어갔다.
1년 뒤에 최전방에서 소대장으로 복무할 4학년 생도들은 “이번 답사로 적(敵)의 실체를 직접 확인하고 안보 현실을 체감할 수 있었다”며 “위국헌신의 각오로 전략·전술을 고민하는 군인이 되겠다”고 밝혔다.
심호섭 교수는 “대한민국 안보를 책임질 리더를 길러낸다는 사명감으로 생도들을 가르치겠다”며 “이번 답사가 생도들에게 좋은 경험이 됐을 것”이라고 했다. 군사사학과 나종남(대령) 교수는 “우리의 적과 지형이 바뀌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한국전쟁사는 중요하다”며 전쟁사의 의미를 강조했다.⊙
육사 군사사학과(학과장 심호섭 소령) 교수진과 전공 생도 29명(2~4학년, 80~82기)은 지난 6월 9~10일 6·25전쟁 당시 선배 전우들이 피와 땀을 흘렸던 ▲펀치볼 전투 ▲피의 능선 ▲단장의 능선 ▲고성지구전투 ▲저격능선 ▲금성지구전투 ▲백마고지전투 현장을 찾았다. 생도들은 각자 역할을 분담해 답사록을 만들고 현장에서는 전술 토의까지 이어갔다.
1년 뒤에 최전방에서 소대장으로 복무할 4학년 생도들은 “이번 답사로 적(敵)의 실체를 직접 확인하고 안보 현실을 체감할 수 있었다”며 “위국헌신의 각오로 전략·전술을 고민하는 군인이 되겠다”고 밝혔다.
심호섭 교수는 “대한민국 안보를 책임질 리더를 길러낸다는 사명감으로 생도들을 가르치겠다”며 “이번 답사가 생도들에게 좋은 경험이 됐을 것”이라고 했다. 군사사학과 나종남(대령) 교수는 “우리의 적과 지형이 바뀌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한국전쟁사는 중요하다”며 전쟁사의 의미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