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포토산책

아프리카, 아프지 마

글 : 하주희  월간조선 기자  everhope@chosun.com

사진 : 김한겸  고대 구로병원 병리과 교수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
  • 스크랩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기다림’(말라위, 2018). 한국 의료진이 마을을 찾았다.
주민들이 순식간에 몰려왔다. 밤을 새우며 자신의 차례를 기다렸다.
  병리과 의사가 의료봉사를 할 수 있을까? 박테리아를 찍은 사진으로 전시회를 열 수 있을까?
 
  김한겸 고려대 의대 교수는 할 수 없을 것만 같은 일을 해내며 살아왔다. 15년 전인 2005년부터 몽골과 아프리카를 다니며 현지 의사들에게 병리교육을 해왔다. 현지 의사들이 스스로 조기암 검진을 할 수 있도록 지식과 경험을 전수했다. 2016년부터는 한국과 거의 교류가 없던 마다가스카르를 찾았다. 현지 의료진이 여성암을 조기진단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바오밥 프로젝트’다. 누가 비용을 대주는 것도 아니다. 한국의 뜻있는 병리과 교수들이 모여 자비로 다녀왔다. 여성암을 고른 건 사회 특성을 고려해서다. 모계사회다 보니 어머니가 병들면 가정이 무너진다.
 
‘바오밥 일출’(마다가스카르 무른다바, 2014). 어린 왕자가 몹시도 싫어한 나무지만, 바오밥나무는 아프리카 주민에겐 꽤나 유용한 나무다. 열매에 영양가가 많아 귀중한 식량을 제공하고, 씨앗에서 짜낸 기름은 화장품으로 쓰인다.
  그렇게 찾기 시작한 아프리카, 11년간 18회 다녀왔다. 일정과 일정 사이 틈틈이 그곳 풍경과 사람들을 사진에 담았다. 그동안 아프리카에서 촬영한 사진만 20만 장이 넘는다.
 
  원래는 일이었다. 사진 말이다. 병리학에 입문한 후 매일 사진을 찍었다. 환자에게서 제거한 검체의 병변이나 부검 사진을 찍었다. 무슨 말인가 하면 이렇다. 이를테면 외과 의사가 폐암 환자에게서 암조직을 떼어내면, 그 암조직 세포를 현미경으로 촬영하는 식이다. 그때부터 계산하면, 촬영 경력만 40년째다. 이 사진만으로 사진전도 여러 번 열었다. 의사만이 개척할 수 있는 독특한 사진 분야로 사진계에서도 인정받았다.
 
‘데드블레이’(나미비아 나미브사막, 2017). 나미브사막은 세계에서 유일한 해안사막이다. 나미브사막의 유일한 수원(水源)은 안개다. 그 덕에 나미브사막에서만 발견되는 고유종들을 만날 수 있다. 안개를 먹고사는 동물들이다.
  이번엔 아프리카 사진으로 개인전을 연다(6월 19일~7월 1일 서울 서초동 갤러리 쿱). 김 교수의 아프리카 풍경 사진 중엔 광대한 자연을 큰 스케일로 담은 사진이 많다. 카메라 렌즈로 마이크로 세계부터 매크로 세계까지 담은 셈이다.
 
  김 교수는 가장 가슴에 남는 나라로 마다가스카르를 꼽았다. 여섯 번이나 다녀온 곳이다. 이유를 물었다.
 
‘칭기루즈’(마다가스카르 디에고, 2020). 칭기루즈(Tsingy Rouge)는 붉은색의 라테라이트 석재로 이뤄진 일종의 돌숲이다. 마다가스카르 북쪽 다이아나 지역의 이로도강이 침식되어 형성됐다.
  “마다가스카르는 아프리카 대륙과 인접해 있지만 대륙과 전혀 다른 나라다. 문화와 인종 자체가 다르다. 쌀밥을 먹고 아시아인과 비슷한 체격에 성품도 온화하다. 과거의 우리 민족을 보는 것 같기도 했다.”
 
  가뭄, 내전, 빈곤… 충분히 아팠던 아프리카에 또 다른 시련이 닥쳤다. 코로나바이러스19다. 지난 5월 11일 기준, 확진자는 5만4046명이고 사망자는 2073명이다. 우려스러운 것은 확산세가 빠르다는 점이다. 한 달 만에 확진자가 4배로 늘었다. 아프리카에서 의료활동을 돕는 아프리카미래재단 측은 진단키트가 없어 확진받기도 전에 사망하는 이들이 많다고 설명한다. 김 교수의 사진에 담긴 평안과 활기가 다시 아프리카에 넘쳤으면 하는 바람이다.⊙
 
‘뜸카트’(에티오피아 아셀라, 2020). 팀카트(Timkat)라고도 읽는다. 에티오피아식 ‘예수 공현 축일’ 행사다. 동방박사들이 아기 예수를 만나러 베들레헴에 온 것을 기념한다.

‘분나’(에티오피아, 2015). 분나는 ‘커피’를 뜻한다. 에티오피아에서는 커피를 단순한 기호식품으로 여기지 않는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흐르는 인사이자, 호의다.

‘빨래터 효자’(마다가스카르 안타나나리보, 2016). 마다가스카르의 저소득 서민들은 부잣집의 빨래를 대신 해주고 돈을 번다. 볕이 내리는 언덕마다 빨래들이 널려 있는 풍경을 자주 만난다.

‘케이프타운의 슈퍼문’(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 2017). ‘아프리카의 유럽’이라 불리기도 하는 케이프타운. 요하네스버그에 이어 남아공 제2의 도시다.

‘쌍무지개’(짐바브웨 빅토리아폭포, 2013), 빅토리아폭포는 잠비아와 짐바브웨 사이 잠베지강에 위치한 폭포다.
탐험가 데이비드 리빙스턴이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엄마와 아이의 대화’(탄자니아 응로롱고로, 2014). 새벽 공기 속을 나란히 걷는 어미 코끼리와 새끼.
코끼리는 모계사회다. 할머니에서 엄마로, 엄마에서 딸로 지혜가 흐른다.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