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한우의 事理分別 〈12〉 권력 좇다 비명횡사한 진복창, 권력 유혹 뿌리쳐 천수 누린 정도복

글 : 이한우  논어등반학교장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
  • 스크랩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 “(벼슬을) 정말로 잃을 것을 걱정할 경우 (그것을 잃지 않기 위해) 못하는 짓이 없을 것이다” (《논어》)
⊙ 강직함 가장해서 출세한 진복창, 대사간·대사헌으로 언론 장악하고 權臣 윤원형의 앞잡이 노릇 하다가 비명횡사
⊙ 漢나라 경방, 《주역》에 밝았으나 주도면밀하지 못해 목숨 잃어
⊙ 정도전의 동생 정도복, 권세 누리던 형이 불러들였으나 “세력과 지위는 오래가기 어려우니 믿을 수 없는 것”이라며 사양

이한우
1961년생. 고려대 영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철학과 석사, 한국외대 철학과 박사과정 수료 / 전 《조선일보》 문화부장, 단국대 인문아카데미 주임교수 역임
  지난번에 이어 예(禮)와 구차함이 없음[不苟]의 문제를 조금 더 살펴보자. 《순자(荀子)》 예론(禮論)편에 이런 말이 나온다.
 
  “사람이 구차스럽게 삶만을 구한다면 반드시 죽게 될 것이다. 구차스럽게 이익만을 찾는다면 반드시 손해를 볼 것이다. 구차스럽게 게으름 피우고 놀고먹는 것을 편안하게 여긴다면 반드시 위태로워질 것이다. 구차스럽게 감정의 쾌락만을 즐거움으로 삼는다면 반드시 멸망할 것이다.
 
  그래서 사람이 예와 의로움[禮義]에 입각해 한결같이 한다면 두 가지를 다 얻게 되고 감정에만 내맡길 경우 두 가지를 다 잃게 된다. (진정한) 유자(儒者)란 사람들로 하여금 이 두 가지를 다 얻게 해 주는 사람이다.”
 
  즉 지난번에는 예, 즉 구차함이 없음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에는 구차함 혹은 구차스러움이 뭔지를 파고들 차례다. 《논어(論語)》 양화(陽貨)편에서 공자는 정곡을 찌른다.
 
  “비루한 사람[鄙夫]과 함께 임금을 섬기는 것이 과연 가능할 것인가? (벼슬을) 얻기 전엔 그것을 얻어 보려고 걱정하고, 이미 얻고 나서는 그것을 잃을까 걱정한다. 정말로 잃을 것을 걱정할 경우 (그것을 잃지 않기 위해) 못하는 짓이 없을 것이다[無所不至].”
 
  무소부지(無所不至)는 엄격히 풀이하면 ‘도달하지 못할 곳이 없다’는 말인데, 즉 ‘자신의 것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물불 안 가리고 못할 짓이 없다’는 뜻이다. 《논어》에서 예가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을 나누는 척도 중의 하나인 유소불위(有所不爲), 무소불위(無所不爲)와 그대로 통한다. 뭔가 하지 않는 바가 있는 사람이 예를 아는 사람[知禮者]이고 못할 것이 없는 사람이 예를 알지 못하는 사람[不知禮者]이다. 공자는 ‘부지례자(不知禮者) 비명횡사(非命橫死)’라 했다.
 
 
  하급관리 시절부터 ‘비루함’ 보여준 陳復昌
 
  조선 시대 중종과 명종 시대를 살다간 진복창이란 인물의 생애는 비루함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진복창은 1535년(중종 30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화려하게 벼슬길에 들어섰다. 이듬해 봉상시 주부라는 하급관리에 임명됐는데 실록의 사관(史官)은 그에 대해 이미 부정적인 평을 남기고 있다. 말단 관리에 대해 사관이 평을 실었다는 것 자체가 이례적이다. 1536년 3월 21일 자 실록이다.
 
  김안로(金安老)가 권세를 휘두를 때 이팽수(李彭壽)가 봉상시 참봉이었는데 안로가 개고기 구이를 좋아하는 줄 알고 날마다 개고기 구이를 만들어 제공하며 마침내 안로의 추천을 받아 청현직(淸顯職)에 올랐다. 그 뒤에 진복창이 봉상시 주부가 돼서도 개고기 구이로 안로의 뜻을 맞추어 온갖 요사스러운 짓을 다 하는가 하면, 매번 좌중(座中)에서 안로가 개고기를 좋아하는 사실까지 자랑삼아 설명했으나 오히려 크게 쓰이지 못했으므로, 남의 구미(口味)를 맞추어 요행을 바라는 실력이 팽수만 못해서 그랬다고 말하는 이도 있었다.
 
  그후 진복창은 중종 시대 때에는 줄곧 사헌부 관리로 남아 있었다. 크게 나쁘지 않은 상황이었다고 할 수 있다.
 
  명종 시대가 열리고 명종의 외삼촌 윤원형(尹元衡)이 권세를 휘두르는 시절이 찾아왔다. 그냥 있을 진복창이 아니었다. 공자의 말대로 “이미 얻고 나서는 그것을 잃을까 걱정한다”는 단계에 접어든 것이다. 명종 1년(1546년) 4월 26일 진복창은 사헌부 장령(정4품)에 오르는데 이때도 특이하게 사관의 평이 실려 있다.
 
  진복창이 스스로 하료(下僚)에 침체되고 있는 것을 한스럽게 여기고 현달하는 길로 나가려는 꾀를 달성하기 위하여 당시 득세한 무리들에게 붙어서 온갖 방법으로 매달린 끝에 얻어내고야 말았다. 헛된 명예가 전파되자 식자들은 그 간교(奸巧)함이 말할 수 없어서 끝내는 반드시 나라를 그르치고 말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그를 추천한 자가 많아서 필경 막지를 못하고 드디어 풍헌(風憲)을 맡는 자리에 들어가게 된 것이다. 이로부터 그는 교만하게 한세상을 살면서 인물(人物)을 해치는 데 조금도 꺼리는 바가 없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의 해독이 무서워서 감히 입을 열지 못했다.
 
  훗날 그가 죽었을 때 사관은 그를 ‘독사(毒蛇)’라고 불렀는데 실제로 명종 때 진복창이 보인 행적을 추적해 보면 오히려 ‘독사’라는 별명도 칭찬에 가까울 정도다. 그는 사헌부와 사간원의 요직을 오가며 정적(政敵)을 무자비하게 탄핵하고 퇴출시켰다. 그 뒤에는 윤원형이라는 당대 실세가 든든하게 버티고 있었다.
 
 
  강직함 가장해 신임 얻어
 
  이후에도 홍문관 응교와 부제학을 거친 진복창은 명종3년 2월 3일 마침내 사간원의 최고위직인 대사간(大司諫)에 오른다. 당시 실록의 사관은 “진복창은 권간(權奸) 이기(李芑)의 심복이 되어 그들의 지시에 따라 선한 사람을 마구 공격했는데 그를 언론의 최고책임자로 두었으니 국사(國事)가 한심스럽다”고 평하고 있다. 이기는 윤원형의 최측근이다. 그해 4월 19일 대사헌(大司憲) 구수담(具壽聃)이 당대의 실력자인 좌의정 이기의 부정부패를 정면으로 탄핵하고 나섰다. 구수담은 사림으로 내외의 신망이 두터운 인물이었고 진복창도 구수담에게 학문을 배운 바 있다. 이때 대사간인 진복창도 구수담을 거들고 나섰다. 한때는 이기에게 빌붙어 영화를 누렸지만 이기가 윤원형의 견제를 받기 시작하자 미련 없이 배반한 것이다. 명종4년 5월 진복창은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마침내 대사헌에 오른다. 사람을 죽이고 살리는 자리를 맡은 것이다. 진복창은 대사간 때도 그랬지만 대사헌이 되어서도 적시(適時)에 여러 차례 사의를 표명하며 강직함을 가장했다.
 
  문정왕후는 말할 것도 없고 명종도 여차하면 미련 없이 사직서를 내던지는 진복창의 이런 제스처에 감복하지 않을 수 없었다. 사심(私心)이 없는 신하라고 오판(誤判)했던 것이다.
 
  진복창의 권력욕은 그칠 줄을 몰랐다. 당시 병조판서 이준경(李浚慶)은 윤원형도 함부로 못할 만큼 내외의 큰 신망을 얻는 인물이었다. 마침 사는 집도 가까워 진복창은 이준경과 친해지려고 무진 애를 썼다.
 
  한번은 이준경의 친척인 이사증이 잔치를 베풀었는데 진복창이 이준경의 곁에 앉게 되었다. 이때 진복창은 술에 취해 이준경에게 “왜 구수담이 나를 저버렸는가?”라며 원망의 말을 했다. 이준경과 구수담은 아주 가까운 사이였다. 그런데 이날 잔치에 구수담의 며느리집 여종이 일을 거들기 위해 왔다가 진복창이 하는 이야기를 엿듣고 구수담에게 전하였다. 이에 구수담은 “조만간 나에게 큰 화가 닥칠 것”이라고 걱정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실제로 구수담은 진복창의 모함에 걸려 목숨을 잃게 된다.
 
  게다가 뒤늦게 구수담이 자신이 한 말을 알게 되었다는 것을 전해 들은 진복창은 필시 이준경이 그 말을 흘린 것으로 단정하고 이준경까지 미워하게 되어 결국 이준경도 형 이윤경과 함께 일시적이나마 병조판서에서 쫓겨나 귀양살이를 해야 했다. 공자의 말대로 “정말로 잃을 것을 걱정할 경우 (그것을 잃지 않기 위해) 못하는 짓이 없을 것이다[無所不至]”라는 단계에 이른 것이다.
 
  그러나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 했던가? 과(過)도 구차함이다. 과공비례(過恭非禮)가 전형적이다. 사림(士林)의 존경을 받고 있던 사람들이 진복창의 공작에 의해 화를 입게 되자 홍문관 직제학 홍담을 비롯한 뜻있는 젊은 신료들이 들고일어났다. 이것이 계기가 돼 그동안 진복창의 손발 노릇을 하던 사헌부·사간원까지도 돌아섰고 조정 대신도 진복창을 멀리 내쳐야 한다는 의견을 계속해서 올렸다. 문정왕후의 통제하에 있던 명종은 한사코 “진복창은 강직하고 나라를 위하는 신하”라며 감싸려고 했다. 그러나 현실정치가이기도 했던 윤원형은 진복창을 더 이상 보호하다가는 화(禍)가 자신과 누님 문정왕후에게도 미칠 것을 예감하고 진복창을 삼수로 유배 보냈다. 삼수갑산 하는 그 삼수다. 그곳에서 얼마 후 진복창은 젊은 나이로 생을 마쳤다. 비명횡사(非命橫死)한 것이다.
 
 
  易은 알아도 사리를 몰랐던 한나라 京房
 
  한(漢)나라 때 경방(京房)은 역(易)을 배웠고 양(梁)나라 사람 초연수(焦延壽)를 섬겼다. 그런데 초연수는 평소에 늘 이렇게 말했다.
 
  “나의 도리를 배워서 그 때문에 자기 몸을 망칠 자는 분명 경생(京生·경방)이다.”
 
  초연수의 학설은 특히 재변에서 뛰어났는데 이는 《주역(周易)》의 64괘(卦)를 배분해 다시 하나의 효(爻)를 하루에 해당시켜 바람, 비, 추위, 더위를 짚어 보는 것으로 각각에는 점의 징험이 있었다. 경방은 그 방법을 쓰는 것이 훨씬 더 정교했다.
 
  영광(永光), 건소(建昭) 연간에 서강(西羌)이 반란을 일으키고 일식이 일어났으며 또 태양이 오랫동안 푸른색이면서도 빛이 나지 않았고 흐리고 안개가 끼어 날씨가 맑지 않았다. 경방이 여러 차례 소를 올려 장차 이런 일이 일어날 것임을 미리 앞서서 말한 바가 있었는데 가깝게는 수개월, 멀게는 1년 정도면 그의 말이 여러 차례 적중하니 천자(원제・元帝)는 이에 감복했다. 여러 차례 불러서 만나 보며 물었는데 이에 경방은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옛날의 제왕들은 공로가 뛰어난 이를 들어 쓰니 만 가지 일들이 다 성취되고 상서로운 호응이 나타났는데 말세에는 비방을 받는지 칭찬을 받는지를 가지고 사람을 쓰니 공로와 업적은 폐기돼 재이(災異)가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마땅히 백관으로 하여금 각자 그 공로를 시험해 보게 한다면 재이는 멈출 수 있을 것입니다.”
 
  이때 중서령(中書令) 석현(石顯)이 권세를 제 마음대로 하고 있고[顓權=用事] 석현의 친구 오록충종(五鹿充宗)이 상서령(尙書令)이었는데 경방과 같이 《주역》을 공부한 사람으로 이를 논의하면서 서로를 비난했다.
 
  애초에 회양헌왕(淮陽憲王)의 외숙인 장박(張博)이 경방에게 수학하고는 딸을 경방에게 시집보냈다. 경방이 매번 조회에서 상(上)을 뵙고 물러나오면 번번이 장박에게 그 말을 전했다. 장박은 그래서 상의 뜻은 경방의 의견을 쓰려고 하는 것인데 여러 신하들은 그것이 자신들에게 해롭다고 여겨 그것을 싫어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배척을 당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장박이 말했다.
 
  “회양왕은 상(원제)의 친동생이고 사람됨이 민첩하고 통달해 정치를 좋아해 나라를 위해 충성을 하고 싶어 하네. 그런데 지금 왕에게 글을 올리게 해 입조할 것을 요구하게 한다면 자네에게 도움이 될 것이야.”
 
  경방이 말했다.
 
  “불가능하지 않을까요?”
 
  장박이 말했다.
 
  “전에 초왕(楚王)은 입조해 선비를 추천했는데 뭘 못하겠는가?”
 
  장박은 경방으로부터 그의 다양한 재이의 학설을 적고서 경방으로 하여금 회양왕이 올릴 상주문의 초안을 짓게 해 그것을 갖고서 회양왕에게 주었다. 석현은 몰래 이 모든 것들을 알아차리고서도 경방이 주상과 가까웠기 때문에 감히 아직은 발설하지 않고 있었다. 경방이 도성을 떠나 군(郡)의 태수로 나가게 되자 석현은 경방과 장박이 서로 통모(通謀)해 정치를 비방하고 나쁜 일을 천자의 탓으로 돌리며 제후왕을 속여 오도했다고 고발했다. 역공을 당한 것이다. 결국 경방과 장박은 모두 기시(棄市)됐다. 경방이 죽었을 때 나이 41살이었다.
 
  《한서(漢書)》를 지은 반고(班固)는 이런 경방에 대해 다음과 같은 평가를 남겼다.
 
  “경방은 구차스럽게 총애를 얻기는 했으나 일의 얕고 깊음을 헤아리지 못하고 위태로운 말로 기롱을 하다가 강한 신하들에게 원망을 품게 만들어 큰 죄가 아니었음에도 결국 주도면밀하지 못해 몸을 잃었으니 슬프도다!”
 
  반고의 평을 곱씹어야 하는 이유는 “주도면밀하지 못해 몸을 잃었다”는 말이다. 이 말은 바로 경방이 그토록 파고들었던 《주역》 계사전(繫辭傳)에 나오는 말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임금이 주도면밀하지 못하면 (훌륭한) 신하를 잃고 신하가 주도면밀하지 못하면 몸을 잃는다.”
 
 
 
정도전의 동생 정도복의 사리분별

 
  다시 조선으로 돌아가자. 태종 9년 8월 19일의 일이다. 정도복(鄭道復)을 인녕부 사윤(仁寧府司尹・조선 시대 경흥부(敬興府) 경승부(敬承府) 등에 두었던 정3품 벼슬이다)으로 삼았다. 정도복은 정도전(鄭道傳)의 아우인데 바야흐로 정도전이 나라 일을 맡아 그 세력이 조야(朝野)를 누를 때에 (그 아우) 도복을 불러 서울에 오게 하니 도복이 사양하며 말했다.
 
  “세력과 지위는 오래가기 어려우니 믿을 수 없는 것입니다. 또 우리는 한미(寒微)한 가문(家門)인데 영화(榮華)가 이미 지극합니다. 다시 무엇을 바라겠습니까? 마땅히 낚시질하고 밭을 갈며 내 천년(天年)을 마치겠습니다. 청컨대 형(兄)은 (저를 부르느라) 번거롭게 하지 마소서.”
 
  뒤에 (경상도) 성주(星州) 유학 교수관(儒學敎授官)이 되어 7년이나 있어 오래되었으므로 부름을 받았다.
 
  인명(人命)은 하늘에 달렸다 했지만 구차함의 문제를 파고들다 보면 인명은 오히려 사리(事理), 즉 예(禮)를 아는가 모르는가에 달려 있는 것 같을 때가 더 많다.⊙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