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우는 武와 忠과 義理와 財物의 화신… 인간이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찬사를 이렇게 홀로 누린 경우는 역사에 없었다
⊙ 임진왜란 중이던 1598년 조선 남해안 고금도에 첫 관묘 지어… 이순신 장군과 함께 싸운 명나라 제독 진린이 건립
⊙ 진린 사망하고 명이 청에 망하자 진린 후손들 고금도로 건너와 ‘광동 진씨’ 만들어
⊙ 중국에서 北宋 때 휘종이 만주 금나라에 시달림당하자 관우를 관왕으로 승격… 명나라는 누르하치에게 몰리자 關帝로 격상시켰다
⊙ 서울에만 동서남북에 4개의 관왕묘… 지금 남은 것은 동묘와 남산에서 옮겨간 사당동 남묘뿐
⊙ 나중에는 제갈량 모시는 ‘무후묘’ ‘와룡묘’도 등장
⊙ 조선 고종, 명성황후가 진령군에 솔깃하자 북관묘 짓고 살게 해… 한양의 온갖 양아치들이 들락거리며 재물과 벼슬자리 구해
⊙ 관우가 전 세계 무당에게 추앙받는 이유는 “살아서 용감했고 죽을 때 원통하게 죽었기 때문”… 한국에서는 최영 장군, 남이 장군, 임경업 장군이 무속신앙 속에서 살아나. 최영 장군은 가장 영험한 신으로 꼽혀
⊙ 임진왜란 중이던 1598년 조선 남해안 고금도에 첫 관묘 지어… 이순신 장군과 함께 싸운 명나라 제독 진린이 건립
⊙ 진린 사망하고 명이 청에 망하자 진린 후손들 고금도로 건너와 ‘광동 진씨’ 만들어
⊙ 중국에서 北宋 때 휘종이 만주 금나라에 시달림당하자 관우를 관왕으로 승격… 명나라는 누르하치에게 몰리자 關帝로 격상시켰다
⊙ 서울에만 동서남북에 4개의 관왕묘… 지금 남은 것은 동묘와 남산에서 옮겨간 사당동 남묘뿐
⊙ 나중에는 제갈량 모시는 ‘무후묘’ ‘와룡묘’도 등장
⊙ 조선 고종, 명성황후가 진령군에 솔깃하자 북관묘 짓고 살게 해… 한양의 온갖 양아치들이 들락거리며 재물과 벼슬자리 구해
⊙ 관우가 전 세계 무당에게 추앙받는 이유는 “살아서 용감했고 죽을 때 원통하게 죽었기 때문”… 한국에서는 최영 장군, 남이 장군, 임경업 장군이 무속신앙 속에서 살아나. 최영 장군은 가장 영험한 신으로 꼽혀
- 동묘는 지금 보수공사 중이어서 출입할 수 없다. 인근 건물에서 촬영한 동묘의 전경이다.
전 국민에게 무(武)와 충(忠)과 의리(義理)와 재물(財物)의 화신으로 숭앙받는 인물이 있다. 인간이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찬사를 이렇게 홀로 누린 경우는 역사에 없다. 관우(關羽·?~219)다. 진수(陳壽)의 《삼국지》 촉서(蜀書) ‘관장마황조’전은 이렇게 시작된다. ‘관장마황조’란 유비를 보좌한 오호(五虎)장군 관우, 장비, 마초, 황충, 조운을 이른다.
“관우는 자가 운장(雲長)이고 본래 자는 장생(長生)이며 하동군 해현 사람이다. 망명하여 탁군으로 달아났다. 유비가 고향에서 병사들을 모을 때 관우는 장비와 함께 그를 호위했다. 유비는 잠잘 때도 두 사람과 함께했으며 정이 형제 같았다. 여럿이 모이는 자리에서 관우와 장비는 늘 유비 곁에 서 있었고 유비와 전쟁터를 돌아다니며 고난과 험난함을 피하지 않았다.”
관우에 대한 대표적인 칭송 두 가지를 들어본다. 먼저 관우의 필생의 적이었던 조조(曹操)가 관우가 자기가 베푼 후의에도 불구하고 유비를 향해 떠날 때 한 말이다. 측근들이 쫓아가 후환을 없애자고 했으나 조조는 말했다. “이는 자신의 주인을 위한 행동이니 뒤쫓지 마라.” 훗날 관우는 조조를 죽일 기회를 잡았으나 이때의 은덕을 잊지 않고 조조를 살려서 보낸다.
또 한 사람은 희대의 천재 제갈량이었다. 관우가 형주를 지킬 때 마초(馬超)가 투항해 왔다. 관우는 일찍이 마초에 대해 아는 바가 없었기에 제갈량에게 편지를 써 마초의 재능과 인품이 누구와 비교할 만한지 물었다. 제갈량은 자존심이 남달랐던 관우의 성품을 아는지라 다음과 같은 답신을 보냈다. 이것은 소설 《삼국지연의》가 아니라 정사 《삼국지》에 나오는 기록이다.
“맹기(마초)는 문무를 고루 갖추었으며 용맹함이 보통 사람을 뛰어넘는 당대의 걸출한 인물로서 한나라의 경포나 팽월 같은 부류로 익덕(장비)과 나란히 선두를 다툴 수 있지만 미염공(美髥公) 당신의 걸출함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미염공은 수염이 아름답다는 뜻으로 관우가 좋아했던 별명이다. 제갈량마저 이랬을 정도니 관우의 자존심의 높이를 엿볼 수 있다.
《삼국지》의 저자 진수는 《삼국지연의》의 작자와 달리 관우나 제갈량을 추앙하지 않았다. 관우를 “국사(國士)의 풍모를 지녔지만 굳세고 교만해 실패했다”고 했고 제갈량은 “세상 다스리는 이치는 관중(管仲), 소하와 비교할 만하나 해마다 군대를 움직이고도 실패한 것은 임기응변의 지략이 장점이 아니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즉 좋은 행정가일 뿐 전략가는 아니라는 뜻이다.
이런 관우가 ‘관왕(關王)’으로 추모됐던 게 12세기 때부터였다. 북송의 황제 휘종은 만주의 금(金)나라로부터 잇따라 침략당하자 1107년 관우를 관왕으로 부르며 무신(武神)으로 추앙했다. 죽은 관우의 영혼을 불러내 나라를 보호하기 위한 몸부림이었다. 관우는 16세기에 왕에서 관제(關帝), 즉 황제로 격상됐다. 만주의 누르하치가 명나라를 괴롭힐 때였다.
명 황제는 1593년 관우의 고향인 해주와 관우의 목이 묻혀 있다고 전해지는 낙양(洛陽)에 공자를 모시는 문묘(文廟) 수준으로 관왕묘를 조성했다. 이로부터 중국 전역에 관묘를 짓는 열풍이 불었는데 그 숫자가 30만 개라고 한다. 중국인들은 관묘뿐 아니라 새해 춘절(春節) 때 대문에 관우 초상을 붙이며 가정집에 개인 관우 사당을 만든 경우도 부지기수라고 한다.
중국이 아닌 해외에 관왕묘가 처음 생긴 게 1598년이다. 조선이었다. 그해 전라남도 완도 근처에 있는 고금도(古今島)와 경상북도 성주에 관묘가 세워졌다. 고금도에 관묘가 생긴 것은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제독 진린(陳隣)이 충무공 이순신 장군과 함께 근처에서 왜에 대승을 거둬, 7월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였다. 고금도 관왕묘는 지금 충무사(忠武祠)라는 사당으로 바뀌었다.
그해 11월 조명 연합수군은 퇴각하는 왜군을 상대로 노량해전에서 승리했다. 이 싸움에서 충무공이 사망하자 시신을 고금도 월송대에 안치했다가 83일 후에 충무공의 고향인 충청남도 아산으로 운구했다. 진린은 고금도를 떠나며 섬사람들에게 많은 재물을 주며 관왕묘 관리를 부탁했다.
진린은 일부 역사소설에서 충무공의 공을 가로채고 욕심이 많은 인물로 그려졌지만 충무공을 ‘경천위지(經天緯地)’, 즉 하늘과 땅을 경영하는 재주가 있고 ‘보천욕일(補天浴日)’, 즉 찢어진 하늘을 꿰매고 흐린 태양을 목욕시킨 공로가 있다고 선조에게 칭송했던 인물이다. 그 진린이 명으로 돌아가 1607년 광동도독으로 있다가 사망하고 말았다. 그의 나이 64세 때다.
1644년 명이 청에 망하자 중국 광동성에 살고 있던 진린의 손자 진영소가 수병 5명과 함께 패망한 조국 명을 떠나 고금도로 왔다. 진영소는 고금도의 경주 이씨와 결혼해 살다가 해남으로 이사했다. 이후 조선에 정착한 진린의 후손들이 ‘광동 진씨’가 됐는데 주로 해남 산이면 황조 마을에 살고 있다고 한다.
성주 관왕묘는 명 장수 모국기가 세웠다. 한번 관왕묘가 조성되자마자 명 장수들은 조선 곳곳에 관왕묘를 만들었다. 설호신이 1598년 경북 안동, 남방위가 1599년 전북 남원에 관왕묘를 세운 것이다. 지방에서 시작된 관왕묘 세우기 열풍이 한양을 지나칠 리는 없었다. 1598년 울산성 전투에서 부상당해 한양으로 온 진인(陳寅)이 숭례문 밖에 주둔할 때였다.
서애 유성룡(柳成龍) 선생이 쓴 《서애선생문지》 제16권 《잡저》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나온다.
“명나라 유격대장 진인이 있었는데 힘써 싸우다가 적의 탄환을 맞고 실려 서울에 돌아와 병을 조리했다. 그는 우거하고 있던 숭례문 밖 산기슭에 묘당 한 채를 건립하고 가운데에 관왕과 제장(諸將)의 신상을 봉안했다.” 이것은 서울의 남쪽에 있다고 해서 훗날 남관왕묘(남묘)로 불렸다.
그렇다면 남관왕묘는 지금 어떻게 됐을까. 남묘의 정확한 위치는 ‘옛 서울시 중구 도동1가 68번지 옛 남묘파출소 뒤’라고 기록돼 있다. 서울 남대문파출소에 연락해 보니 남묘파출소는 현재 남산트라팰리스 건물 주차장 자리이며 남묘는 현재 밀레니엄 서울 힐튼호텔 주차장 자리라고 한다. 남묘는 재개발로 1979년 1월 현재의 동작구 사당동 180-1번지로 이전했다.
숭례문 밖에 남관왕묘가 세워진 지 1년 뒤 이번에는 동관왕묘가 만들어졌다. 1599년 명의 경리장수 양호의 후임으로 온 만세덕(萬世德)이라는 장수가 만든 것으로, 조선 조정의 도움 요청에도 불구하고 전쟁 복구사업을 뒤로한 채 동관왕묘, 즉 지금의 동묘(東廟)를 만들었다. 유본예가 쓴 《한경지략》이라는 책에 이런 기록이 나온다.
“신종 황제가 4천 금을 신 만세덕에게 주면서 조서를 내려 말하기를 ‘관공(關公)의 신령은 중국에서 이름이 났는데 왜적을 평정할 때도 공험이 있었으니 조선에서도 모시도록 하라’고 했다. 이에 선조가 예조에 분부하여 흥인문(동대문) 밖에 관왕묘를 세우게 했고 2년 뒤에 준공했다.” 선조는 원래 터 대신 훈련원이나 청계천 영도교 가까이에 잡으라고 지시했다.
당시 사관(史官)은 이를 비판하는 기록을 남겼다. “관왕묘의 역사(役事)는 매우 허무맹랑한 일로 한번 짓는 것도 그릇된 일인데 금지하지 못했고 이제 또 동쪽 교외에 토목공사를 크게 일으키니 전쟁에서 겨우 살아남은 백성들이 어떻게 살아갈 수 있겠는가.” 보물 142호인 동묘에는 관우상을 비롯한 조각 16점, 〈일월오봉도〉 〈운룡도〉 등 그림 7점 등이 있다.
동묘의 관우상은 매우 규모가 큰데 그에 대해서도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동묘의 주조상을 만들 때 10개 풍로에서 구리 3800근을 다 녹여 부어도 상이 되지 않았다. 명나라에서 온 한빈과 우리나라 동장(銅匠)들이 울부짖으며 종(鐘)을 깨어 헌 구리 300근을 더 그러모아 녹여서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관우상은 무게가 2.4톤이며 높이가 2.5m인 거상(巨像)이다.
이후 동묘는 중국 사신들의 단골 방문지가 됐다. 동묘에는 모두 22개의 현판이 걸려 있는데 이 가운데 17개가 명에서 온 사신들이 쓴 글이라고 한다. 이후 광해군은 동묘를 수리하고 매년 봄가을 경칩과 상강(霜降)에 제례를 지내도록 했으며, 수직 군사를 두어 잡인(雜人)들의 출입을 금하고 제례 때는 반드시 무관 대신들이 제관(祭官)을 맡도록 했다.
광해군 이후 동묘에 관심을 보인 왕은 숙종이었다. 숙종은 1691년 왕릉에 다녀오다 동묘를 처음 둘러보고는 비망기를 남겼다. “아! 관왕의 충의는 참으로 천고에 드문 것이다. 이제 한번 들러서 유상(遺像)을 본 것은 무사를 격려하기 위함이지 한 차례 놀며 구경하자는 뜻이 아니었다. 너희 장사들은 모름지기 이 뜻을 본받아 충의에 더욱 힘써 왕실을 지키도록 하라.”
관왕묘를 통해 충의를 지키려는 숙종의 뜻은 영조에게도 이어졌다. 영조는 재임 중 17번이나 관왕묘에 갔으며 동묘비까지 세우게 했다. “아! 비석을 세우는 일은 비록 한 가지이지만 추모하는 감회는 세 가지다. 그 하나는 과거 명나라가 임진왜란 때 나라를 구해준 은혜이며 두 번째는 관왕의 일월(日月)처럼 빛난 충의이며 세 번째는 선조대왕을 추모하는 마음이다.”
정조는 아예 관왕묘 참배를 체계화시켰다. 그는 관왕묘에 숙종, 영조, 사도세자, 자신의 글을 비석으로 세우고 비각(碑閣)까지 만들었다. 고종은 동묘를 사직단, 선농단, 선잠단과 함께 국가가 관리하고 철마다 제사 지내는 사묘(祠廟)로 만들었다. 그뿐 아니라 1883년에는 서울 북쪽 옛 흥덕사 터에 ‘북관왕묘’, 1904년에는 서대문 밖 천연동에 ‘서관왕묘’까지 세웠다.
북관왕묘의 옛터는 서울과학고등학교 앞 서울올림픽 기념 국민생활관 자리이며 서관왕묘의 정확한 위치는 현재의 천연동사무소 부근으로 알려졌다. 고종이 거기다 《삼성훈경》 《과화존신(過火存神)》이라는 관우 신앙 관련 경전까지 국문으로 번역하자 이 땅에는 관왕묘 건립 붐이 일었다. 1897년에만 국가가 공인한 관왕묘가 동래-인천-강화도 등 10곳이었다.
민간에도 관우 붐이 일어 서울의 육의전, 방산시장, 동대문시장 등의 상인들이 재복(財福)을 빌기 위해 방산동, 장충동, 보신각 옆에 관왕묘를 세웠는데 보신각 옆 관왕묘는 동서남북묘와 같은 반열인 중묘(中廟)라고 불렸다. 관우 신앙이 갑자기 퍼진 것은 북송이 금, 명이 후금에 시달릴 때처럼 일제에 시달리는 조선의 운명을 관우에 의존해 보려는 몸부림이었다.
또 다른 이들은 조선 말기 유교가 이데올로기적 위치를 상실하면서 천도교, 증산교, 금강대도, 선음즐교 등이 의지할 데 없는 민중을 대상으로 교세를 확장해 나가던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풀이하기도 한다. 황현(黃玹)의 《매천야록》을 비롯한 구한말 언론에서는 느닷없는 관우 숭배 신앙으로 인해 웃지 못할 일들이 많이 벌어졌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중 몇 가지를 살펴본다.
“임오군란 때 중궁(명성황후)은 충주에 숨어 있었는데 한 무당이 복위할 때를 날짜까지 틀리지 않고 맞히자 그녀를 북관제묘에 거하도록 하고 굿이나 제를 주관하게 했다. 중궁이 병이 있을 때 치료하면서 머리가 아프면 머리를 만지고 배가 아프면 배를 만지는데 손이 닿자마자 병세가 호전되었다. 그래서 그녀를 잠시도 곁에서 떠나지 못하게 하고 언니라 부르거나 북묘부인이라 일컬었다.” 이 북묘부인이 바로 최순실 사태 때 유명해진 진령군이다.
내친김에 진령군과 관련된 웃지 못할 에피소드 몇 개를 소개한다. 경상도 김해 사람 이유인은 무관을 꿈꾸며 상경해 진령군을 북한산으로 유인했다. 그러고 귀신으로 변장시켜 놓은 시정잡배들을 호령에 따라 출현시켰다. 신통력이 뛰어나다고 자부했던 진령군마저 여기 속아 넘어가 이유인을 수양아들로 삼고 북묘에 함께 거처했는데 추문(醜聞)이 이어졌다.
진령군과 이유인은 고종과 명성황후에게 “금강산 일만이천 봉에 쌀 한 섬과 돈 열 냥씩을 바치면 나라가 편안해진다”고 했다. 쌀 일만이천 섬과 돈 12만2000냥이 날아간 것이다. 그런가 하면 북묘는 벼슬과 돈을 노리는 양아치들로 문전성시를 이뤘다. 염치없는 자들이 자매나 양아들 맺기를 원했는데 《매천야록》에는 조병식, 윤영신, 정태호가 심하게 보챘다고 한다.
이어서 당시 언론의 관우 열풍에 대한 보도를 살펴본다.
“3년 전 삼개 사는 임공리라는 사람은 각 궁의 나인과 문안 부잣집 여인들을 유인하여 돈 수십만 냥을 거두어 삼개 망재산 밑에 관공(關公) 사당을 설치해 이번에 마쳤다.”(《독립신문》 1896년 5월 26일 자)
“삼청동 사는 최윤봉의 처가 관왕의 제자를 사칭하고 신상으로 부녀자들을 유혹하고 있다.”(《황성신문》 1899년 10월 23일 자)
덧붙여 기록할 것이 관우의 위세를 틈타 제갈량을 모시는 묘사(廟祠)까지 등장했다는 사실이다. 보통 와룡묘, 혹은 무후사로 불리는데 대표적인 것이 중구 예장동에 있는 와룡묘다. 이 와룡묘는 조선시대 말 명성황후가 을미사변으로 일제에 잔혹하게 살해당한 뒤 고종의 곁을 지킨 엄비(嚴妃)가 세웠다고 하는데 그 이전부터 와룡묘의 존재를 보여주는 기록이 있다.
《선조실록》에 따르면 선조는 1605년(선조 38) 평안도 영유현(永柔縣)에 공식으로 와룡묘를 짓게 하였다고 하며 그뒤로도 역대 제왕이 관원을 보내어 제를 올리거나 제문을 지어 보낸 예도 있다. 와룡묘 외에 무후묘는 서울 용산구 보광동 419번지에서 볼 수 있다.
이렇게 조선 사람들이 매달렸던 관왕묘였건만 1907년 고종이 일제에 강제 퇴위당하면서 관왕묘 역시 직격탄을 맞고 말았다. 서묘와 북묘는 폐사됐고 모든 의식에 쓰이던 물품들이 동묘로 옮겨졌다. 북묘는 1913년 민간에 매각됐고 서묘 자리에는 고아원이 들어섰다. 반면 성주, 안동, 남원 등에 산재해 있던 관왕묘들은 온전히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관우는 무슨 영험한 효력이 있기에 전 세계 무당(巫堂)들뿐 아니라 평범한 백성과 제왕들에게조차 우상이 된 것일까. 본래 무당들은 각자가 ‘몸주’를 모시는데 신통력 있는 몸주는 조건이 따른다. 첫째로 살았을 때 신통력이나 용력(勇力)이 초인적이어야 한다. 보통 사람은 죽어 귀신이 돼도 겨우 이매망량(魑魅魍魎)이 될 뿐이다.
둘째, 죽을 때 가능한 한 원통하게 죽어야 한다. 그래야 한(恨)을 품고 저승에 가지 못하고 이승 주위를 떠도는 것이다. 관우는 두 조건을 완벽하게 충족시키는 인물이었다. 그래서 그는 ‘삼계해마대제신위 원진천존 관성제군(三界解魔大帝神位 願天尊 關聖帝君)’이라는 긴 이름, 통칭 관성제군(關聖帝君)으로 추존된 것이다.
그렇다면 여기에 맞설 만한 우리 인물은 없을까? 국내 무속인들 사이 관우에 버금갈 정도로 숭앙되는 인물이 세 명 있다. 바로 고려 말 최영(崔瑩) 장군과 조선 초 남이(南怡) 장군, 임경업 장군이다. 《고려사절요》 ‘최영 졸기(卒記)’에 이런 기록이 있다. “공은 한 나라를 덮었으나 죄는 온 천하에 가득하다.”
이 말은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찬성했던 간대부(諫大夫) 윤소종이 적은 말이다. 그는 자신의 말을 세상 사람들이 명언으로 여겼다고 했지만 이는 세상 사람이 아니라 친명사대주의 유학자들에게만 명언이었을 뿐이라고 역사학자 이덕일은 평가하고 있다. 그가 쓴 《조선왕조실록》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온다.
“고구려 기마무사의 혼을 이은 고려무장 최영은 형(刑)을 받을 때도 말과 안색이 태연자약했다. 최영은 죽음을 앞두고 말했다. ‘내가 조금이라도 남에게 해가 되는 일을 했다면 내 무덤에 풀이 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풀이 나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원통하게 죽임을 당한 그의 무덤에는 풀이 나지 않았다고 전한다.
최영 장군이 죽던 날 개성 사람들은 장사를 파했다. 먼 곳에서나 가까운 곳에서나 최영의 죽음에 대해 들은 사람들은 길거리의 아이들이나 골목의 부녀자들까지 모두 눈물을 흘렸다. 그의 시신을 길에 던지자 지나가던 자들이 모두 말에서 내렸으며 도당(都堂)에서는 부의(賻儀)로 쌀과 콩 150석과 포 250필을 내렸다. 추모 물결이 고려 전역을 뒤덮은 것이다.
스물일곱의 나이에 병조판서를 지냈던 남이 장군은 간신 유자광의 무고로 사지를 묶어 수레가 반대 방향으로 끄는 거열형을 당했고 임경업 장군 역시 중국 대륙을 종횡하는 파란 많은 삶을 살다가 간신 김자점에 의해 옥사(獄死)했지만 국내 무당들의 절대다수는 최영 장군을 모시고 있다.
무속신앙에서는 ‘최영 장군신(神)’을 ‘최일 장군 신’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가 죽은 경기도 고양 지방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방의 무속에서는 그를 산신(山神)과 동격으로 모시고 있다. 특히 개성 덕물산(德物山)에 장군당이라는 최영 장군 신당이 있으며 속칭 최영사(崔瑩祠)라 불렸다. 현재 최영 장군의 묘는 경기도 고양시에 있다.⊙
“관우는 자가 운장(雲長)이고 본래 자는 장생(長生)이며 하동군 해현 사람이다. 망명하여 탁군으로 달아났다. 유비가 고향에서 병사들을 모을 때 관우는 장비와 함께 그를 호위했다. 유비는 잠잘 때도 두 사람과 함께했으며 정이 형제 같았다. 여럿이 모이는 자리에서 관우와 장비는 늘 유비 곁에 서 있었고 유비와 전쟁터를 돌아다니며 고난과 험난함을 피하지 않았다.”
관우에 대한 대표적인 칭송 두 가지를 들어본다. 먼저 관우의 필생의 적이었던 조조(曹操)가 관우가 자기가 베푼 후의에도 불구하고 유비를 향해 떠날 때 한 말이다. 측근들이 쫓아가 후환을 없애자고 했으나 조조는 말했다. “이는 자신의 주인을 위한 행동이니 뒤쫓지 마라.” 훗날 관우는 조조를 죽일 기회를 잡았으나 이때의 은덕을 잊지 않고 조조를 살려서 보낸다.
또 한 사람은 희대의 천재 제갈량이었다. 관우가 형주를 지킬 때 마초(馬超)가 투항해 왔다. 관우는 일찍이 마초에 대해 아는 바가 없었기에 제갈량에게 편지를 써 마초의 재능과 인품이 누구와 비교할 만한지 물었다. 제갈량은 자존심이 남달랐던 관우의 성품을 아는지라 다음과 같은 답신을 보냈다. 이것은 소설 《삼국지연의》가 아니라 정사 《삼국지》에 나오는 기록이다.
“맹기(마초)는 문무를 고루 갖추었으며 용맹함이 보통 사람을 뛰어넘는 당대의 걸출한 인물로서 한나라의 경포나 팽월 같은 부류로 익덕(장비)과 나란히 선두를 다툴 수 있지만 미염공(美髥公) 당신의 걸출함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미염공은 수염이 아름답다는 뜻으로 관우가 좋아했던 별명이다. 제갈량마저 이랬을 정도니 관우의 자존심의 높이를 엿볼 수 있다.
![]() |
관우의 초상화(왼쪽)와 충청도에 있는 관왕도.〈국립민속박물관〉 |
이런 관우가 ‘관왕(關王)’으로 추모됐던 게 12세기 때부터였다. 북송의 황제 휘종은 만주의 금(金)나라로부터 잇따라 침략당하자 1107년 관우를 관왕으로 부르며 무신(武神)으로 추앙했다. 죽은 관우의 영혼을 불러내 나라를 보호하기 위한 몸부림이었다. 관우는 16세기에 왕에서 관제(關帝), 즉 황제로 격상됐다. 만주의 누르하치가 명나라를 괴롭힐 때였다.
명 황제는 1593년 관우의 고향인 해주와 관우의 목이 묻혀 있다고 전해지는 낙양(洛陽)에 공자를 모시는 문묘(文廟) 수준으로 관왕묘를 조성했다. 이로부터 중국 전역에 관묘를 짓는 열풍이 불었는데 그 숫자가 30만 개라고 한다. 중국인들은 관묘뿐 아니라 새해 춘절(春節) 때 대문에 관우 초상을 붙이며 가정집에 개인 관우 사당을 만든 경우도 부지기수라고 한다.
![]() |
전라북도 남원에 있는 관왕묘다.〈국립민속박물관〉 |
그해 11월 조명 연합수군은 퇴각하는 왜군을 상대로 노량해전에서 승리했다. 이 싸움에서 충무공이 사망하자 시신을 고금도 월송대에 안치했다가 83일 후에 충무공의 고향인 충청남도 아산으로 운구했다. 진린은 고금도를 떠나며 섬사람들에게 많은 재물을 주며 관왕묘 관리를 부탁했다.
진린은 일부 역사소설에서 충무공의 공을 가로채고 욕심이 많은 인물로 그려졌지만 충무공을 ‘경천위지(經天緯地)’, 즉 하늘과 땅을 경영하는 재주가 있고 ‘보천욕일(補天浴日)’, 즉 찢어진 하늘을 꿰매고 흐린 태양을 목욕시킨 공로가 있다고 선조에게 칭송했던 인물이다. 그 진린이 명으로 돌아가 1607년 광동도독으로 있다가 사망하고 말았다. 그의 나이 64세 때다.
1644년 명이 청에 망하자 중국 광동성에 살고 있던 진린의 손자 진영소가 수병 5명과 함께 패망한 조국 명을 떠나 고금도로 왔다. 진영소는 고금도의 경주 이씨와 결혼해 살다가 해남으로 이사했다. 이후 조선에 정착한 진린의 후손들이 ‘광동 진씨’가 됐는데 주로 해남 산이면 황조 마을에 살고 있다고 한다.
성주 관왕묘는 명 장수 모국기가 세웠다. 한번 관왕묘가 조성되자마자 명 장수들은 조선 곳곳에 관왕묘를 만들었다. 설호신이 1598년 경북 안동, 남방위가 1599년 전북 남원에 관왕묘를 세운 것이다. 지방에서 시작된 관왕묘 세우기 열풍이 한양을 지나칠 리는 없었다. 1598년 울산성 전투에서 부상당해 한양으로 온 진인(陳寅)이 숭례문 밖에 주둔할 때였다.
![]() |
우리 민족은 문화재 망가뜨리는 데 천부적인 재능이 있다. 한양에서 처음 생긴 남묘는 원래 남산의 밀레니엄 힐튼호텔 주차장에 있었으나 사당동으로 이전했다. 원래의 모습은 간 곳이 없고 일반 주택 두 채가 들어서 있다. |
“명나라 유격대장 진인이 있었는데 힘써 싸우다가 적의 탄환을 맞고 실려 서울에 돌아와 병을 조리했다. 그는 우거하고 있던 숭례문 밖 산기슭에 묘당 한 채를 건립하고 가운데에 관왕과 제장(諸將)의 신상을 봉안했다.” 이것은 서울의 남쪽에 있다고 해서 훗날 남관왕묘(남묘)로 불렸다.
![]() |
남묘에서 그나마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현성전이다. |
![]() |
남묘에는 원형을 짐작게 하는 석물(石物)이 몇 점 남아 있다. |
![]() |
남묘를 지키는 것은 이 개다. 뒤편에 방문객들에게 먹이를 주라는 안내문이 있었다. |
“신종 황제가 4천 금을 신 만세덕에게 주면서 조서를 내려 말하기를 ‘관공(關公)의 신령은 중국에서 이름이 났는데 왜적을 평정할 때도 공험이 있었으니 조선에서도 모시도록 하라’고 했다. 이에 선조가 예조에 분부하여 흥인문(동대문) 밖에 관왕묘를 세우게 했고 2년 뒤에 준공했다.” 선조는 원래 터 대신 훈련원이나 청계천 영도교 가까이에 잡으라고 지시했다.
![]() |
동묘 담벼락은 노점상 천국이다. 관우가 무신(武神)일 뿐 아니라 재신(財神)의 상징임을 보여주는 듯하다. |
동묘의 관우상은 매우 규모가 큰데 그에 대해서도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동묘의 주조상을 만들 때 10개 풍로에서 구리 3800근을 다 녹여 부어도 상이 되지 않았다. 명나라에서 온 한빈과 우리나라 동장(銅匠)들이 울부짖으며 종(鐘)을 깨어 헌 구리 300근을 더 그러모아 녹여서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관우상은 무게가 2.4톤이며 높이가 2.5m인 거상(巨像)이다.
이후 동묘는 중국 사신들의 단골 방문지가 됐다. 동묘에는 모두 22개의 현판이 걸려 있는데 이 가운데 17개가 명에서 온 사신들이 쓴 글이라고 한다. 이후 광해군은 동묘를 수리하고 매년 봄가을 경칩과 상강(霜降)에 제례를 지내도록 했으며, 수직 군사를 두어 잡인(雜人)들의 출입을 금하고 제례 때는 반드시 무관 대신들이 제관(祭官)을 맡도록 했다.
![]() |
동묘 정문에서 한 트럭이 헌 옷들을 쏟아내자 몰려든 행인들이 옷을 고르고 있다. |
관왕묘를 통해 충의를 지키려는 숙종의 뜻은 영조에게도 이어졌다. 영조는 재임 중 17번이나 관왕묘에 갔으며 동묘비까지 세우게 했다. “아! 비석을 세우는 일은 비록 한 가지이지만 추모하는 감회는 세 가지다. 그 하나는 과거 명나라가 임진왜란 때 나라를 구해준 은혜이며 두 번째는 관왕의 일월(日月)처럼 빛난 충의이며 세 번째는 선조대왕을 추모하는 마음이다.”
![]() |
동묘의 현판이다. |
북관왕묘의 옛터는 서울과학고등학교 앞 서울올림픽 기념 국민생활관 자리이며 서관왕묘의 정확한 위치는 현재의 천연동사무소 부근으로 알려졌다. 고종이 거기다 《삼성훈경》 《과화존신(過火存神)》이라는 관우 신앙 관련 경전까지 국문으로 번역하자 이 땅에는 관왕묘 건립 붐이 일었다. 1897년에만 국가가 공인한 관왕묘가 동래-인천-강화도 등 10곳이었다.
민간에도 관우 붐이 일어 서울의 육의전, 방산시장, 동대문시장 등의 상인들이 재복(財福)을 빌기 위해 방산동, 장충동, 보신각 옆에 관왕묘를 세웠는데 보신각 옆 관왕묘는 동서남북묘와 같은 반열인 중묘(中廟)라고 불렸다. 관우 신앙이 갑자기 퍼진 것은 북송이 금, 명이 후금에 시달릴 때처럼 일제에 시달리는 조선의 운명을 관우에 의존해 보려는 몸부림이었다.
또 다른 이들은 조선 말기 유교가 이데올로기적 위치를 상실하면서 천도교, 증산교, 금강대도, 선음즐교 등이 의지할 데 없는 민중을 대상으로 교세를 확장해 나가던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풀이하기도 한다. 황현(黃玹)의 《매천야록》을 비롯한 구한말 언론에서는 느닷없는 관우 숭배 신앙으로 인해 웃지 못할 일들이 많이 벌어졌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중 몇 가지를 살펴본다.
“임오군란 때 중궁(명성황후)은 충주에 숨어 있었는데 한 무당이 복위할 때를 날짜까지 틀리지 않고 맞히자 그녀를 북관제묘에 거하도록 하고 굿이나 제를 주관하게 했다. 중궁이 병이 있을 때 치료하면서 머리가 아프면 머리를 만지고 배가 아프면 배를 만지는데 손이 닿자마자 병세가 호전되었다. 그래서 그녀를 잠시도 곁에서 떠나지 못하게 하고 언니라 부르거나 북묘부인이라 일컬었다.” 이 북묘부인이 바로 최순실 사태 때 유명해진 진령군이다.
내친김에 진령군과 관련된 웃지 못할 에피소드 몇 개를 소개한다. 경상도 김해 사람 이유인은 무관을 꿈꾸며 상경해 진령군을 북한산으로 유인했다. 그러고 귀신으로 변장시켜 놓은 시정잡배들을 호령에 따라 출현시켰다. 신통력이 뛰어나다고 자부했던 진령군마저 여기 속아 넘어가 이유인을 수양아들로 삼고 북묘에 함께 거처했는데 추문(醜聞)이 이어졌다.
진령군과 이유인은 고종과 명성황후에게 “금강산 일만이천 봉에 쌀 한 섬과 돈 열 냥씩을 바치면 나라가 편안해진다”고 했다. 쌀 일만이천 섬과 돈 12만2000냥이 날아간 것이다. 그런가 하면 북묘는 벼슬과 돈을 노리는 양아치들로 문전성시를 이뤘다. 염치없는 자들이 자매나 양아들 맺기를 원했는데 《매천야록》에는 조병식, 윤영신, 정태호가 심하게 보챘다고 한다.
이어서 당시 언론의 관우 열풍에 대한 보도를 살펴본다.
“3년 전 삼개 사는 임공리라는 사람은 각 궁의 나인과 문안 부잣집 여인들을 유인하여 돈 수십만 냥을 거두어 삼개 망재산 밑에 관공(關公) 사당을 설치해 이번에 마쳤다.”(《독립신문》 1896년 5월 26일 자)
“삼청동 사는 최윤봉의 처가 관왕의 제자를 사칭하고 신상으로 부녀자들을 유혹하고 있다.”(《황성신문》 1899년 10월 23일 자)
덧붙여 기록할 것이 관우의 위세를 틈타 제갈량을 모시는 묘사(廟祠)까지 등장했다는 사실이다. 보통 와룡묘, 혹은 무후사로 불리는데 대표적인 것이 중구 예장동에 있는 와룡묘다. 이 와룡묘는 조선시대 말 명성황후가 을미사변으로 일제에 잔혹하게 살해당한 뒤 고종의 곁을 지킨 엄비(嚴妃)가 세웠다고 하는데 그 이전부터 와룡묘의 존재를 보여주는 기록이 있다.
《선조실록》에 따르면 선조는 1605년(선조 38) 평안도 영유현(永柔縣)에 공식으로 와룡묘를 짓게 하였다고 하며 그뒤로도 역대 제왕이 관원을 보내어 제를 올리거나 제문을 지어 보낸 예도 있다. 와룡묘 외에 무후묘는 서울 용산구 보광동 419번지에서 볼 수 있다.
이렇게 조선 사람들이 매달렸던 관왕묘였건만 1907년 고종이 일제에 강제 퇴위당하면서 관왕묘 역시 직격탄을 맞고 말았다. 서묘와 북묘는 폐사됐고 모든 의식에 쓰이던 물품들이 동묘로 옮겨졌다. 북묘는 1913년 민간에 매각됐고 서묘 자리에는 고아원이 들어섰다. 반면 성주, 안동, 남원 등에 산재해 있던 관왕묘들은 온전히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관우는 무슨 영험한 효력이 있기에 전 세계 무당(巫堂)들뿐 아니라 평범한 백성과 제왕들에게조차 우상이 된 것일까. 본래 무당들은 각자가 ‘몸주’를 모시는데 신통력 있는 몸주는 조건이 따른다. 첫째로 살았을 때 신통력이나 용력(勇力)이 초인적이어야 한다. 보통 사람은 죽어 귀신이 돼도 겨우 이매망량(魑魅魍魎)이 될 뿐이다.
둘째, 죽을 때 가능한 한 원통하게 죽어야 한다. 그래야 한(恨)을 품고 저승에 가지 못하고 이승 주위를 떠도는 것이다. 관우는 두 조건을 완벽하게 충족시키는 인물이었다. 그래서 그는 ‘삼계해마대제신위 원진천존 관성제군(三界解魔大帝神位 願天尊 關聖帝君)’이라는 긴 이름, 통칭 관성제군(關聖帝君)으로 추존된 것이다.
![]() |
고려 말 이성계에게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최영 장군은 관우 못지않게 한국에서 모시는 무속인들이 많다. |
이 말은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찬성했던 간대부(諫大夫) 윤소종이 적은 말이다. 그는 자신의 말을 세상 사람들이 명언으로 여겼다고 했지만 이는 세상 사람이 아니라 친명사대주의 유학자들에게만 명언이었을 뿐이라고 역사학자 이덕일은 평가하고 있다. 그가 쓴 《조선왕조실록》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온다.
“고구려 기마무사의 혼을 이은 고려무장 최영은 형(刑)을 받을 때도 말과 안색이 태연자약했다. 최영은 죽음을 앞두고 말했다. ‘내가 조금이라도 남에게 해가 되는 일을 했다면 내 무덤에 풀이 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풀이 나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원통하게 죽임을 당한 그의 무덤에는 풀이 나지 않았다고 전한다.
최영 장군이 죽던 날 개성 사람들은 장사를 파했다. 먼 곳에서나 가까운 곳에서나 최영의 죽음에 대해 들은 사람들은 길거리의 아이들이나 골목의 부녀자들까지 모두 눈물을 흘렸다. 그의 시신을 길에 던지자 지나가던 자들이 모두 말에서 내렸으며 도당(都堂)에서는 부의(賻儀)로 쌀과 콩 150석과 포 250필을 내렸다. 추모 물결이 고려 전역을 뒤덮은 것이다.
![]() |
임경업 장군은 무속인들이 숭상하고 있다. 원한이 많기 때문이다. |
무속신앙에서는 ‘최영 장군신(神)’을 ‘최일 장군 신’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가 죽은 경기도 고양 지방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방의 무속에서는 그를 산신(山神)과 동격으로 모시고 있다. 특히 개성 덕물산(德物山)에 장군당이라는 최영 장군 신당이 있으며 속칭 최영사(崔瑩祠)라 불렸다. 현재 최영 장군의 묘는 경기도 고양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