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장원재의 북한요지경

북한의 불(전기) 사정

희천발전소 실패와 김정일의 죽음

글 : 장원재  배나TV 대표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
  • 스크랩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 전구는 개당 강냉이 1~2kg을 줘야 살 수 있는 高價品… 전구 사느니 차라리 밥을 한 끼 더 먹자는 사람도 많아
⊙ 지하철 停電되면 性추행 빈발… 전기 잘 들어오는 金 父子 동상 주변 집값 비싸
⊙ “김정일, 희천발전소 건설해 김정은 업적으로 삼으려 했으나, 김정은이 발전소 건설용 시멘트 빼돌렸다는 보고에 격노, 사망”(마이클 리 前 CIA요원)
2010년 4월 자강도 희천발전소 건설 현장을 돌아보는 김정일. 희천발전소에 큰 기대를 걸었던 김정일은 이듬해 12월 죽었다. 사진=뉴시스/신화
  북한에서 ××라는 욕으로 불리는 3대 직종이 있다. 보위부 ××, 안전부 ××, 배전부 ××다. 보위부는 사람을 자꾸 잡아가서, 안전부는 장사를 못 하게 해서, 배전부는 불(전기)을 안 줘서 사람들이 욕을 한다.
 
  소련이 망하기 이전만 해도 북한의 전력(電力) 사정은 나쁘지 않았다. 하루에 한두 시간 정도만 전기가 나갔다. 지금은 다르다. 1980년대 말부터 전력 사정이 급격하게 나빠졌다. 하루 한 시간이라도 불이 들어오는 데는 사정이 나은 곳이다. 3일 만에 1시간 전기가 공급되는 지역도 부지기수다. ‘배려전기’ ‘명절공급 전기’라는 말이 있을 정도다.
 
  평양이라고 예외가 아니다. 정전(停電)이 되면 평양 시내 대부분이 암흑이 된다. 가장 심한 소동이 벌어지는 곳은 지하철 안이다. 사람들은 일단 차 밖으로 나와 승강장에서 다시 전기가 들어오기를 기다린다.
 
  이때 성(性)추행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깜깜해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데,이때 남자들이 젊은 여성을 막아선다. 그러고 손 건사를 하지 못한다. 여성들의 대응책은 옷핀이다. 일명 벌침이라고 한다. 정전이 되면 옷핀을 양손에 쥐고 사방에서 들어오는 손들을 사정없이 찌른다. 비명을 지르면 들통나기에, 찔린 사람은 끙끙거리며 참는 수밖에 없다.
 
 
  전기 사용이 권력과 능력의 상징
 
  고층 아파트도 문제다. 퇴근 후 바로 집에 안 들어가고 아파트 1층 마당에서 시간을 보내는 사람이 많다. 20층을 걸어서 올라가느니, 잠깐이라도 전기가 올 때 엘리베이터를 타고 가려고 대기하는 것이다. 과학자거리에 있는 50층 아파트는 더 문제다. 어쩐 일인지는 모르지만, 전기가 와도 엘리베이터는 20층까지만 운행하고 그 위층으로는 다니지 않는다. 맨 꼭대기 층인 50층에 거주하는 주민은 30층을 걸어 오르느냐, 50층을 걸어 오르느냐의 선택밖에 할 수 없다. 평양 시내 한복판에 사는 노인 가운데, ‘땅 한번 밟아보고 죽는 것이 소원’이라는 분이 많다.
 
  어쩌다 전기가 와도 문제가 있다. 전압(電壓)이 고르지 않으니 전구며 가전(家電)제품이 많이 상한다. 백열전구가 하얗게 빛나다 붉은색으로 변한 뒤 폭발하듯 깨지곤 한다. 북한식 표현으로 ‘수수떡 전구’다. 깨진 전구를 기울여서 꽂아놓으면 텅스텐 선이 이어지며 3~4일은 더 버틴다고 한다. 전구는 개당 강냉이 1~2kg을 줘야 살 수 있는 고가품(高價品)이기에, 전구를 사느니 불 없이 살고 차라리 밥을 한 끼 더 먹자는 사람들도 많다. LED 전구라고 예외가 아니다. 반도체 소자 있는 부분이 까맣게 타며 축포처럼 터져버리는 경우가 흔하다. TV나 컴퓨터 모니터는 들어오는 데 시간이 한참 걸리고, 전압이 변하는 것에 따라 화면 양옆에 까만 줄이 생기거나 상하좌우로 늘어나고 줄어들기를 반복한다. 전기에도 품질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에서 생활한 탈북자(脫北者)들의 입에서 “220V 전기가 하루 종일 만땅으로 들어오네!”라는 감탄이 이구동성(異口同聲)으로 터져 나오는 이유다.
 
 
  전기 自力更生
 
  북한에서는 전기를 쓰는 것이 능력과 권력의 상징이다. 중앙당 아파트나 전력공업성 간부가 사는 지역에는 전기가 24시간 끊이지 않는다.
 
  김 부자(金父子) 동상 주변도 전기가 잘 들어온다. 일반선이 아니라 기념탑선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낡았어도, 동상 주변 집값이 비싼 이유다. 배전부선, 무선국 방송선도 비교적 전기를 잘 받는다.
 
  뇌물을 주면 따로 전기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것을 ‘독선’이라고 한다. ‘독선 끌어다 쓰는 집’ 주변에서는 ‘코걸이’를 통해 몰래 전기를 훔쳐 쓰는 사람이 생긴다. 전기 주인은 나무 막대기를 가지고 선을 따라 누가 도둑인지 찾는다. 돈을 내고 쓰라는 뜻이다. 독선은 ‘비(非)사회주의’다. 뇌물을 통해 이뤄지는 범법(犯法) 행위다. 그래서 독선 주변에서 갑자기 전기소비량이 늘어나면 위에서 눈치를 채고, 여러 사람이 처벌을 받는다.
 
  사정이 이러하니, 집마다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장비가 있다.
 
  먼저 발동발전기다. 디젤용은 소음이 심하고, 휘발유용은 유지비가 많이 들지만 소음은 덜한 편이다.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기계다. 지방에서는 돈이 아무리 많아도 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곳이 많기에 자력갱생(自力更生)을 하는 것이다.
 
  다음은 변압기다. 아랫동네 제품(220V)과 본산제(일제·110V)용 변압기를 따로따로 장만하는 것이 좋다. 공급되는 전기의 양(量)이 제한적이기에, 어쩌다 전기가 올 때는 변압기 용량이 큰 집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어느 집 변압기 성능이 좋은지는 금방 표시가 난다. 창문마다 비치는 불빛 색깔이 다르기 때문이다. 불빛이 흰색에 가까울수록 잘사는 집이다. 이런 집에서 전기밥가마를 켜면 우리 집으로 오는 전기가 줄어들며 전구의 색깔이 수수떡 색깔로 변한다.
 
  그래서 정전 때 불을 켜거나 전기 뺏어가는 집은 질투와 감시의 대상이 된다. 몰래 한국 드라마를 보지는 않는지, 중국과 한국에 전화질은 안 하는지, 가족 아닌 여자가 드나들지는 않는지, 혹시 양담배질은 안 하는지를 주변 사람들이 눈을 부릅뜨고 지켜보며 신고한다. 프라이버시가 없는 북한에서 남의 집을 들여다보는 것은 흉이 아니다. 특히 지방에는 울분에 찬 젊은이들이 많기에, 사고를 당하지 않으려면 전기 사용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과전압(過電壓)차단기도 필수 장비다. 전구가 깨지는 것이야 그럴 수 있다 해도, 전자제품이 망가지는 건 참을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컴퓨터 사용자에게는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도 필수품이다. 안정된 교류(交流)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로, 갑자기 정전이 되더라도 15분간은 컴퓨터가 꺼지지 않도록 지켜주는 도구다. ‘삐~삐’ 하는 경보음이 올리는 동안, 서둘러 자료를 백업해야 한다.
 
  UPS는 단속을 피하는 데도 유용한 장비다. 한국 드라마 보는 집을 찾는다고, 아예 아파트 배전반을 내려놓고 집마다 들이닥쳐 수색하는 놈들이 있다. CD 알판이 기계 안에 남아 있으면 꼼짝없이 당하는 것이다. 그래서 UPS가 중요하다.
 
 
  김정일의 야심작 희천발전소
 
  북한의 전기 사정이 이른 시일 안에 획기적으로 좋아질 가능성은 전무(全無)하다. 평양의 전기 사정을 일거에 해결하겠다며 야심적으로 추진한 희천댐 발전소 프로젝트가 사실상 크게 실패했기 때문이다.
 
  2001년 착공 후 경제난으로 방치되었다가 2009년 3월에 공사를 재개하고 2012년 4월에 ‘완공’한 희천발전소는, 김정일이 생전 여덟 차례나 공사현장을 방문할 정도로 각별하게 신경을 썼던 곳이다. 10년 정도 걸려야 정상인 일을 3년 만에 마쳤기에, 북한은 자강도의 희천발전소를 ‘희천속도’와 ‘단숨에 기상’이라는 말로 선전한다. 2011년 5월 김정일·김정은 부자가 현지 방문을 했을 때 감격한 인민군대의 건설자들이 장비도 없이 다투어 물속에 뛰어들며 ‘단숨에’ 일을 해치웠다고 한다.
 
  무리한 공기 단축은 필연적으로 안전문제를 부른다. 2013년 6월, 희천발전소 용림댐이 비상 방류(放流)를 하고 있는 것이 위성사진에 잡혔다. 갈수기(渴水期)도 아니고 홍수 예보도 없었기에 의아한 상황이었다.
 
 
 
김정은, 후계자 교체 검토?

 
  전 CIA 요원 마이클 리(한국명 이명산) 선생은 이 사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희천댐은 김정일이 김정은을 후계자로 낙점한 뒤 김정은의 업적으로 내세우려고 했던 시설이다. 대규모로 군(軍)부대를 투입해 발전소를 완공했는데, ‘이 프로젝트의 책임자가 김정은이었다. 평양 전 지역이 24시간 안정적으로 전기를 쓸 수 있게 된 것은 김정은의 지도 역량 덕분이다’라고 선전하는 것이 원안(原案)이었다.
 
  문제는 공사기간 동안 이 사업의 실패가 예견되었다는 점이다. 공사 중인 댐에서 물이 샌다는 비밀보고가 올라갔다. 조사결과 김정은이 고강도 시멘트 1000t을 빼돌린 것이 드러났다. 제대로 콘크리트 양생도 하지 않고 정량도 채우지 않은 것이 부실공사의 원인이었다.
 
  희천댐이 붕괴할 수도 있다는 보고를 받은 김정일은 격노했고, 숙소가 아니라 본처의 딸인 김설송의 집으로 갔다. 김정은에게 지도자 자질이 없다고 판단하여 그가 아니라 다른 아들로 후계자를 세우려는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기분이 좋아진 김정일이 김설송의 집에서 와인을 마시다 그날 갑자기 사망했다는 것이 내가 가진 정보다. 지방 현지 지도를 나가다 기차 안에서 사망했다는 북한의 공식 발표는 사실이 아니다.”
 
  현재 희전댐의 저수량은 당초 설계용량의 30% 내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붕괴 위험이 적지 않은데도 북한이 이를 쉬쉬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김정은이 시멘트를 빼돌렸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주민들에게 전기를 공급하는 것보다 고향 원산의 스키장 건설사업이 더 급했다는 뜻인지, 훗날 역사가 밝혀내야 할 부분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김정은의 가상(假想) 사과문 한 줄로 글을 마무리한다.
 
  “오지 않는 전기를 평생 기다리게 해서 미안하다, 인민들이여!”⊙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댓글달기 2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whatcha    (2019-06-04) 찬성 : 3   반대 : 1
야들은 을마나 먹고 싶으면 찐빵모자 풀빵 모자를 쓸까?
  whatcha    (2019-06-04) 찬성 : 6   반대 : 2
지 애비를 죽인 놈이 올랐군. 막시무스 없나?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