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 한 권의 책

징용공 문제, 일본의 역사인식을 말한다 (니시오카 쓰토무 외 지음 | 이우연 옮김 | 미디어워치 펴냄)

일본은 왜 한국 대법원의 ‘징용공 판결’을 받아들이지 않나?

글 : 배진영  월간조선 기자  ironheel@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
  • 스크랩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징용공 문제’에 대한 대법원 판결은 문재인 정권 시절 한일관계를 최악으로 몰고 갔다. 일본 정부는 ‘화이트 리스트 배제’ 조치를 취했고, 문재인 정부는 일련의 반일 캠페인으로 맞섰다.
 
  이 책의 주 저자인 니시오카 쓰토무 교수는 ‘징용공 문제’를 ‘조선인 강제 연행 프로파간다’라고 규정한다. 니시오카 교수는 “1960년대에 북조선과 가까운 재일조선인학자들이 ‘강제 연행’이라는 용어를 새로이 만들면서 시작됐는데, 일본인과 재일조선인으로 구성된 학자, 기자, 변호사, 활동가들이 이 캠페인을 계속 확산시켜 결국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 걸쳐 일본 학계와 언론까지 지배하게 됐다”면서 “이런 활동이 한국으로 번져서 한국의 학계·언론계까지 지배하여 한국 정부의 공식 역사관이 되었고, 2018년 10월에 일본과 한국의 국교 정상화 틀조차 부정하는 한국 대법원 판결을 만들어냈다”고 주장한다.
 
  이런 관점에서 이 책의 저자들은 역사학적·법적 관점에서 ‘징용공 문제’와 ‘강제 연행 프로파간다’가 한일 양국에서 확산되는 과정을 해부한다. 특히 변호사인 와다 마모루와 오카지마 미노루가 한국 대법원의 ‘일본 통치 불법론’ 판결을 ‘법령의 소급 적용’이라고 비판하는 대목은 한국인의 입장에서 상당히 뼈아프다. 영화 〈군함도〉의 허구, 최근 새로운 논란이 되고 있는 사도금산(佐渡金山) 문제도 다루고 있다.
 

  주 저자인 니시오카 쓰토무 교수가 한국 언론으로부터 ‘극우(極右)’로 낙인찍힌 인물이라는 데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 책의 내용 대부분은 한국인들의 입장에서는 불편하고 불쾌하다. 하지만 ‘징용공 문제’를 일본인들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왜 한일관계를 파탄 내는 핵폭탄이 되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한번쯤 읽어볼 만한 책이다.⊙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