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부산이 좋다 / First mover, Busan 부산의 변화와 도전을 위한 6가지 핵심 전략

부산은 영어하기 편한 도시다

“공교육만으로 영어를 자유자재 구사하도록”

글 : 남정은  부산시 청년산학국장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
  • 스크랩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부산시의 관계자들은 비싼 사교육비가 부담돼 영어 유치원에 못 보내는 부모들의 가슴 아픈 이야기를 잘 알고 있다. 부산시는 아이들에게 외국인과 함께 적기에 영어에 충분히 노출되는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부산의 ‘영어 하기 편한 도시’ 정책은 영어를 좀 더 배우기 쉽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모든 시민이 영어를 잘할 수 있게 하려는 정책이 아니라 영어를 잘하고 싶은 사람에게 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려는 목적이다.
 
  부산의 남성초등학교는 내국인 담임교사와 보조교사, 외국인 담임교사가 함께 한 반의 담임을 맡아 교실에서 생활한다. 아이들이 학교에서 생활하는 내내 외국인 담임교사가 영어로 일상을 지도한다. 처음에는 내국인 교사가 함께 지도해야 하는 상황이 있지만, 아이들은 금세 외국인 교사와 소통하는 데 무리 없이 영어로 생활한다. 남성초 교장은 “초등 1학년 교실은 6개월 정도가 지나면 외국인 교사와 아이들이 스스럼없이 대화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외국인 교사를 처음 만난 초등 1학년 어린 학생들은 대부분 대답 한마디 없고, 교사의 몸짓을 보고 겨우 알아듣고 따른다. 처음에는 어린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만, 이런 걱정과 불안은 금세 사라진다고 한다. 외국인 교사에 따르면 아이들은 최소 3~6개월이 지나면 외국인 교사와 주저 없이 대화를 할 수 있다. 이는 어학연수를 떠나 6개월~1년가량 집중적으로 언어 연수를 한 경우와 유사하다.
 
부산 영어 교육의 현장, 남성초를 가다
  “자막 없이 애니메이션 영화 이해했다”

 
   “Three, Two, One, Go!”
 
  부산의 중구에 위치한 한 사립학교 1학년 교실에서 아이들의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외국인 담임 교사의 발음에 맞춰 숫자를 읽어내는 어린이들의 눈빛은 반짝였다. 이 학교에는 한국인 교사, 외국인 교사, 그리고 보조교사가 한 반을 맡는다. 우리나라 최초로 외국인 교사를 고용한 남성초등학교다. 이 학교 원어민 교사 매튜 퍼먼(Matthew Furman·37) 씨는 “처음엔 학생들 간에 영어 수준이 천차만별이지만 입학하고 나서는 서로 대화하는 데에 무리가 없을 정도로 갭(gap·격차)이 줄어든다”고 말했다. 퍼먼 씨는 미국 버지니아주(州)에서 와서 13년째 한국 생활을 하고 있다. 그의 딸도 이 학교에 다니고 있다.
 
  교사가 아이들에게 기자를 소개하자 “Glad to see you(만나서 반갑다)”라며 인사를 건넨다. 아이들은 늘 떠들고 활발했다. 영어로 불쑥불쑥 말을 걸어오기도 했다. 기자의 눈에는 유창한 영어를 구사하다가도 우리말을 쓸 때면 진한 사투리 억양이 나오는 게 참 귀여웠다. 1학년 3반 김세준 학생은 “예전엔 외국인을 보면 말이 안 나왔는데, 이젠 익숙해졌다”고 말했다. 김군은 지난 6월 개봉한 애니메이션 영화 〈엘리멘탈〉을 봤다며 “자막 없이도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3학년 2반 한석현 학생은 “1학년 때와 비교해보면 지금 영어가 훨씬 많이 늘었다. 연극을 통해 배울 때 많이 느는 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김광주 기자
 
  시민들의 영어 소통 능력, 다른 시민에게 제공
 
  부산시는 ‘공교육만으로도 영어 하나만큼은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부산시의 관계자들은 비싼 사교육비가 부담돼 영어 유치원에 못 보내는 부모들의 가슴 아픈 이야기를 잘 알고 있다. 부산시는 아이들에게 외국인과 함께 적기에 영어에 충분히 노출되는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적어도 부산에서는 영어 하기 편한 환경을 구축해 ‘부산에서 아이를 키우면 영어만큼은 공교육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생각을 갖도록 할 예정이다.
 

  부산시는 또 시민이 가진 영어 소통 능력을 활용할 기회를 다양하게 창출하고자 한다. 시민이 가진 영어 능력은 각양각색이다. 부산시는 비록 영어 사용 능력이 차이가 있더라도 수준에 따라 영어와의 접점을 다양하게 발굴해 자신이 가진 역량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부산의 시 예산을 무한정 투입하는 것보다 시민이 가진 역량을 다른 시민에게 제공하는 사회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부산시는 현재 ‘블록체인기반 자원봉사은행’ 형태의 시민 참여형 사회 기여 활동 모델을 만들고 있다. 이는 은행에 돈을 입출금하듯 시민 개개인이 가진 능력을 은행에 돈을 입금하듯 제공하고 다른 시민이 돈을 인출하듯 쉽게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사회 기여 활동 거래 플랫폼이다. 그래서 이름이 ‘자원봉사은행’이다. 시민이 가진 언어 역량으로 시민이 혜택을 누리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는 얘기다.
 
 
  부산의 정주 외국인들이 언어 때문에 불편하지 않도록
 
  부산시는 정주(定住) 외국인 관점에서 지금 부산이 제공하는 행정 서비스를 재점검하고 있다. 부산시는영어하기 편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영어역량을 가진 시민의 참여도를 높일 계획이다. 부산시는 2030부산세계박람회 BIE 실사단의 실사 준비를 하면서 도심 영어 안내문을 점검했다. 이를 통해 영어권 정주자 관점에서 어색한 문구를 수백 곳 이상 바로잡았다. 부산시는 디지털 기기에 통번역 앱을 설치하면 외국인을 위한 행정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특히 다문화지원센터에서는 영어권만이 아니라 다양한 언어가 동시에 사용되기에 영어만으로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다. 부산시에서는 우선 다문화지원센터를 시작으로 부산에서 살아가면서 겪는 어려움을 바로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언어로 행정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톱 컴퓨터 등 다양한 기기를 활용해 최대한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인공지능 기반 다국어 서비스 체계를 갖출 계획이다.
 
  부산시는 적어도 부산에 사는 정주 외국인들이 행정 서비스 이용에서만큼은 차별을 받지 않고, 불편을 겪지 않고 살아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적어도 언어 소통의 어려움 때문에 부산에서 살기 어렵다는 이야기는 하지 않게 할 것이다.
 
부산글로벌도시재단은 어떤 곳인가
  “글로벌 허브 도시 부산을 위해 중추적 역할”

 
  부산국제교류재단과 부산영어방송재단이 지난 7월에 부산시의 공공기관 효율과 방침에 따라 하나의 통합재단이 됐다. 공식 명칭은 ‘재단법인 부산광역시 글로벌 도시재단(부산글로벌도시재단·사무총장 황기식)’이다. 부산을 대표하는 도시 외교 및 미디어 전문기관인 부산글로벌도시재단은 ‘글로벌 허브 도시 부산’ 및 ‘영어 하기 편한 도시’ 조성에도 중추적인 구실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글로벌도시재단의 역할은 부산이 ‘영어 하기 편한 도시’가 되기 위해 굉장히 중요하다. 재단은 시민 친화적 영어 사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유튜브, 소셜미디어(SNS), 유명 인플루언서 등을 통한 부산영어방송을 운영하고 있다. 재단은 외국인 주민을 위한 다국어 통역 서비스 및 내·외국인 소통·교류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재단은 부산 시민을 대상으로 영어교육 및 체험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부산글로벌도시재단 관계자는 “부산이 진정한 글로벌 허브 도시로 나아가는 데 부산글로벌도시재단이 선도적인 구실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부산글로벌도시재단은 부산시와 자매·우호 협정을 맺은 49개 해외 도시와도 교류하고 있다. 부산형 ODA(공적개발원조) 사업도 진행한다. 재단은 부산 지역 외국인 주민 7만여 명을 대상으로 각종 지원사업도 진행한다. 또 재단은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지원 사업, 다국어 방송 제작 및 편성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내국인을 위할 뿐만 아니라 부산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의 생활 서비스 품질 고도화에도 힘쓰겠다는 방침이다.Ⓑ
 
  김광주 기자
 
  오픈캠퍼스로 서비스 확대
 
  최근에는 공유대학 모델이 주목받고 있다. 이 모델은 한 분야를 특화하기 위해 특정 대학 한 학과의 역량에 얽매이지 않고 그 분야 최고의 교수진을 다양한 대학에서 모집해 학과를 운영하는 것이다. 공유대학은 질 높은 강의를 위해 대학과 학과의 벽을 과감하게 깨부수는 대학 교육 혁신의 일환이다. 부산의 ‘영어 하기 편한 도시’는 대학이 보유한 양질의 교수진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체험 방식으로 진행하는 수업은 더 흥미롭게, 인문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 깊이 있는 읽기 수준 중심의 수업은 별도로 전문화해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예정이다. 또 대학이 가진 역량을 시민에게 좀 더 개방하도록 할 계획이다. 오픈 캠퍼스는 대학이 좀 더 문을 개방해 서비스를 강화하는 것을 뜻한다. 이를 통해 부산시는 각 대학이 가진 좋은 영어 교육법을 시민에게 개방하고 더 많은 시민이 대학이 제공하는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통해 영어를 편히 익히게 하고자 한다.
 
  지난 시절의 우리는 영어를 하나의 밥벌이 수단으로, 좋은 일자리를 얻는 데 보탬이 될까 싶어 배웠다. 하지만 이제는 자신의 삶을 더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영어를 익히려 한다. 부산은 그런 사람에게 영어를 가장 편하게 배우고 쓸 수 있는 도시로 거듭날 것이다.Ⓑ
 
남정은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행정고시 54회 /
  부산광역시 인권노동정책과장, 클린에너지산업과장, 재정혁신담당관 역임. 현 부산광역시 청년산학국장
 

  INTERVIEW
  로널드 해든(Ronald Haddon) 로얄러셀스쿨 부산캠퍼스 설립 추진단장
 
  “로얄러셀스쿨이 한국 학생들에게 기회의 사다리가 되어줄 것”
 
   부산 최초의 국제학교 ‘로얄러셀스쿨 부산캠퍼스’가 오는 2027년 문을 연다. 영국 런던 남부에 본교가 위치한 로얄러셀스쿨은 영국 왕실이 후원한다. 매년 본교 학생 절반가량이 세계 100위권 이내 대학에 진학할 정도로 교육의 질이 우수하다. 로얄러셀스쿨 부산캠퍼스 개교는 ‘영어 하기 편한 도시’로 도약을 준비하는 부산에 큰 힘이 될 전망이다. 로널드 해든(Ronald Haddon) 로얄러셀스쿨 부산캠퍼스 설립 추진단장 으로 부터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 로얄러셀스쿨은 170년의 역사를 가진 명문(名門) 학교로 유명합니다. 소개를 부탁합니다.
 
  “로얄러셀스쿨은 전통과 위엄을 갖춘 사립학교입니다. 학교 이름의 ‘로얄(Royal)’은 학교가 왕실로부터 후원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러셀’은 영국 총리를 2회(1846~1852, 1865~1866) 역임한 초대 학장 존 러셀경(Lord John Russell)의 이름에서 따왔습니다.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모두를 위해서(not for oneself but for all)’를 교훈(校訓)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학교는 사회공헌에 힘써왔습니다. 애초에 학교는 런던 화재로 발생한 고아들을 교육하기 위해 설립됐습니다. 1·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전쟁고아 교육을 위해 학교 자산 일부를 매각 했습니다.”
 
  ― 로얄러셀스쿨이 부산에 캠퍼스를 만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근본적으로 부산시와 로얄러셀스쿨이 지향하는 바가 같았습니다. 로얄러셀스쿨은 글로벌 확장을 계획하고 있었고, 박형준 부산시장은 부산의 글로벌화를 목표로 두고 있었지요. 이런 공통 목표를 공유하며 부산캠퍼스 설립 추진 사업을 빠르게 추진할 수 있었습니다. 결국 올해 학교와 부산시 사이 최종 협의안이 도출됐습니다.”
 

  ― 한국에는 이미 여러 국제학교 분교가 들어와 있습니다. 로얄러셀스쿨 부산캠퍼스의 차별점과 경쟁력은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눠 살펴볼 수 있습니다. 먼저 부산캠퍼스는 로얄러셀스쿨 최초의 분교입니다. 본교의 우수한 커리큘럼이 그대로 부산캠퍼스에 적용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단순히 흉내만 내는 수준이 아닌 본교와 같은 교육환경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두 번째는 로얄러셀스쿨이 한국 학생들에게 기회의 사다리가 되어줄 겁니다. 저희는 능력과 재능은 있지만, 가정환경이 어려워 제대로 된 교육 기회를 갖지 못한 학생들을 선발할 것입니다. 이들을 체계적으로 교육해 글로벌 명문학교에 진학시키고, 대학 진학 후에도 장학재단 등을 통해 학비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우수한 인재가 하나둘씩 배출된다면 학교의 품격과 수준이 높아질 것입니다. 자연스럽게 로얄러셀스쿨은 한국 내에서 큰 경쟁력을 갖게 될 것입니다.”
 
  ― 학부모들에게 로얄러셀스쿨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면요.
 
  “단순히 자녀의 명문대학 진학이 목표라면 차라리 사설 학원을 알아보는 것이 낫습니다. 로얄러셀스쿨은 학생들의 학업적 성취뿐만 아니라 올바른 인성 그리고 공동체 의식을 겸비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로얄러셀스쿨을 졸업한 학생을 러셀리언(Russellian)이라고 부릅니다. 한국 러셀리언 또한 지성과 인성 모두를 갖춘 인재가 되리라 확신합니다.”Ⓑ
 
  김세윤 기자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