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지난달 25일 오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에 위치한 '평산 책방' 현판식에서 마을주민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달 26일 문을 연 문재인 전 대통령의 ‘평산책방’이 자원봉사자를 모집했다가 ‘열정페이’라는 비판이 거세지자 모집을 철회했다.
앞서 평산책방은 지난 5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자원봉사자 50명을 모집했다. 무보수 노동 대한 대가로 평산책방이 내건 것들은 ‘평산책방 굿즈(기념품)’, 그리고 ‘점심 식사 및 간식’이었다. 그마저도 “종일 봉사자만 식사를 제공한다”고 했다.
그러자 “요즘엔 (공공)기관 자원봉사자도 저렇게 뽑으면 욕 먹는다”는 비판이 터져 나왔다. 문재인 정부가 최저임금을 급격하게 올렸다는 점도 당시 속이 타들어갔던 자영업자들의 분통에 기름을 부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인 ‘아프니까 사장이다’엔 “최저임금 급격하게 올리더니 아르바이트 직원을 봉사활동으로 (메꾸고) 교통비도 안 주는가”라며 “(문 전 대통령도) 자영업을 해보니 직원 쓰고 서비스 공간 만드느라 (이윤이) 남는 게 없겠지”라는 글이 올라왔다. 또 다른 자영업자는 “내 사업장에도 자원봉사자 50명 모집하고 싶다”는 댓글을 남겼다.
자원봉사자를 모집하는 당위성에도 의구심이 제기됐다. ‘재단법인 평산책방’의 사업자등록번호를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조회해 보면 ‘부가가치세 면제 사업자’라고 나온다. 하지만 실제로 평산책방에 방문한 이들의 영수증을 보면 또 다른 사업자등록번호가 나오고 이 번호로 조회해 보면 ‘부가가치세 일반과세자’로 나온다. 평산책방은 “수익은 전액 재단에 귀속된다”고 밝혔지만 어찌 됐건 수익금 전액이 재단에 귀속되든 말든 봉사자들이 일할 평산책방은 엄연한 민간사업장이라는 얘기다.
국세청 홈페이지에 기재된 부가가치세 개요에 따르면 “부가가치세란 상품(재화)의 거래나 서비스(용역)의 제공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가가치(이윤)에 대하여 과세하는 세금”이다. 만약에 자원봉사자들이 일을 했더라면 말 그대로 ‘이윤이 나오는’ 개인 사업장에서 무보수 노동을 하는 셈이다. 평산책방은 문을 연지 일주일 만에 “약 1만여명의 방문객이 다녀갔다”며 “5582권의 책이 판매됐다”고 밝힌 바 있다.
비판이 거세지자 평산책방 측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원봉사자 모집은 마을 안내와 마을 가꾸기, 책 읽어주기 등 앞으로 재단이 하고자 하는 공익사업을 위한 것이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아직 공익사업 프로그램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자원봉사자 교육이 필요하고, 특히 책 읽어주기 봉사의 경우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할 수도 있어서 미리 자원봉사단을 꾸려두려고 했던 것”이라며 “과욕이 된 것 같다”고 사과했다.
평산책방은 “자원봉사자 모집을 일단 철회하고, 앞으로 필요할 때 홈페이지를 통해 필요한 공익사업을 밝히고 재단 회원을 상대로 자원봉사자를 모집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문재인 전 대통령 지지자들조차 “평산책방의 잘못된 행동으로 문프(문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부르는 애칭)가 욕먹어야 하냐”고 비판했다. 또 다른 지지자는 “확정되지도 않은 프로그램에 자원봉사자를 모집한다고 공고냈냐”며 “일처리 방식에 열 받는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글=김광주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