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고려대, 국내 대학 최초로 ChatGPT 활용 가이드라인 제정

강의 초반, ChatGPT 활용 윤리 교육 필수

하주희  월간조선 기자 everhope@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고려대가 ChatGPT 활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국내 대학으로는 최초다. 고려대는 오늘(16일) ChatGPT를 비롯한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에 대한 기본 활용 방향을 제정하고, 이를 수업 현장에서 적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이왕 확산되는 AI라면, 능동적으로 학습에 이용하도록 수용하겠다는 의미다. 생성형 인공지능은 주어진 콘텐츠를 학습해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인공지능을 뜻한다. ChatGPT, DALL-E, Stable Diffusion 등이 있다.

 

가이드라인의 골자는 학습자의 생성형 AI 활용 권리 보장이다. 방대한 데이터에 접근하여 자료를 선별하는 시간, 문장과 이미지 등 콘텐츠 생성을 위한 노력 등 기존 교육방식에 요구되던 수고를 아낄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있다면 이를 적극 활용토록 독려하겠다는 의미다. 김동원 고려대 총장은 “ChatGPT는 사용자의 실력 이상의 결과물을 도출하지 못한다.”며 “ChatGPT에 의존하는 인재가 아닌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는 학생을 기르는 교육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이드라인을 보면, 개별 수업에 따라 생성형AI 사용을 허가할지 여부를 교수가 최종 결정할 수 있다. 강의 계획서에 활용 원칙을 명시하고 학생에게 전달해야 한다.

 

ChatGPT 등 생성형 AI를 사용할 때는 연구윤리 또는 학습윤리를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표절 방지 프로그램(Turninit, GPTZero, CrossPlag 등)을 이용해 ChatGPT 사용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그러나 ChatGPT 사용자가 패러프레이징(같은 의미의 다른 표현으로 변경)등을 하면서 표절을 피해갈 수 있으므로 완벽히 검출하는 건 불가능하다. 수업 초반에 학문적 진실성 위반 행위 방지 교육과 AI의 윤리적 사용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가이드라인에 규정했다. 인터뷰, 설문조사 등 경험적 데이터 수집이 필수적인 과제의 경우 ChatGPT로 해결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런 과제를 제시할 것을 가이드라인은 권유한다.


고려대는 표절, 부정행위, AI 의존에 따른 비판적 사고 약화, 부정확하고 편향된 정보습득 등 예상되는 부작용에 대해서는 AI 윤리교육 및 AI가 대체할 수 없는 경험적 데이터 수집(인터뷰, 설문조사)과 동료 및 교수자 피드백 반영 등을 통해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입력 : 2023.03.16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하주희 ‘블루칩’

everhope@chosun.com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