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조선DB.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대통령기록물로 지정된 피살 공무원 사건 자료 열람에 대해선 “협조할 생각이 없다”고 말해 뭇매를 맞고 있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이 사건과 관련 책임 회피를 위해 거짓을 말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런 이유로 유족, 특히 피살 공무원의 친형 이래진씨는 '월북' 프레임 배후가 결국 당시 대통령이었던 국군통수권자라 판단하고 있다.
이씨는 문재인 전 대통령이 동생이 피살되고 6일 뒤인 2020년 9월 28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이번 사건에서 가장 아쉽게 부각되는 것은 남북 간의 군사통신선이 막혀 있는 현실”이라며 “군사통신선을 통해 연락과 소통이 이뤄져야 남북의 국민이나 선박이 해상에서 표류할 경우에도 구조 협력을 원활히 할 수 있다”고 지적한 것을 책임회피를 위한 발언으로 보고 있다.
국제상선망을 통해 남북이 서로 통신을 주고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씨의 이야기다.
"제가 2020년 9월 23일 선배가 선장인 목포 어업지도관리선에 탑승해 동생을 찾았습니다. 제가 선배한테 NLL 최북단으로 가자고 했죠. 끝까지 올라갔는데 북한에서 배 통신 장치에 대고 무지막지하게 욕을 하더라고요. 입에 담을 수 없는."
실제 남북 함정이 공무원 실종 첫날인 9월 21일부터 국제상선망 사용해 통신을 서로 주고받았다.
군사통신선이 막혀 동생을 구출하지 못했다는 문재인 전 대통령의 주장은 허위로 볼 수도 있다.
이씨는 문 전 대통령이 사건을 축소, 혹은 월북으로 몰기 위해 뻔한 거짓말을 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대한민국 공무원이 공무를 수행하다가 북한에 의해 총격을 받고 살해당한 채 시신이 불태워졌다는 게 사실"이라며 "이 사실이 누구에 의해 무슨 경위로 어떠한 목적 때문에 ‘월북’으로 규정되었는지 알아야 한다. 이 국민적 의혹 앞에 문재인 전 대통령은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최우석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