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영상으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김부겸 국무총리의 울산 영상 발언을 듣고 있다. 사진=뉴시스
11월 1일부터 '위드 코로나', 즉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이 실시된다. 백신접종 유무와 관계없이 수도권은 최대 10명, 비수도권은 12명까지 사적모임 인원 제한이 완화된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29일 울산시청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는 다음주부터 시행할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계획’을 논의했다.
사적모임은 수도권 최대 10명, 비수도권 최대 12명까지 가능하지만 식당과 카페는 취식 과정에서 마스크를 벗는 등 방역에 취약할 수 밖에 없어 예방접종 미완료자는 최대 4명까지만 모일 수 있다.
유흥시설이나 실내체육시설 등 위험도가 높은 시설의 경우, 일명 ‘백신패스’로 불리는 접종증명‧음성확인제가 적용된다. 시설에 따라 1~2주 계도기간을 둔다. 종교시설, 공연장, 집회·행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일상회복을 위한 완화된 방역기준이 적용될 예정이다.
중대본은 일상회복 추진을 세 단계에 걸쳐 추진한다. 첫 4주간 시행한 뒤 다음 단계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학생들의 등교계획도 확정됐다. 수도권 전면등교는 11월 18일 대학수학능력시험 4일 뒤인 22일부터 시작된다. 내년 3월 신학기부터는 전국 전면등교 원칙으로 학교 축제나 체육대회, 현장체험학습 등 학교의 모든 활동이 정상화된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2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교육분야 단계적 일상회복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학교는 사회의 일상회복 추진보다 3주 늦은 22일부터 일상회복에 들어간다. 17세 미만 학생들이 대부분 백신 미접종 상태인 상황과 수능 일정을 고려해서다. 방역 위험에 따른 등교중지 기준 조정 등 세부 방안은 추후 결정하기로 했다.
글=권세진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