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단독] 윤미향, 2013년 정대협 상임대표 당시 프랑스서 北 간첩 활동한 베누아 케네데와 함께 수요집회

가족 등 윤 당선인 주변, 국보법 위반 등 좌파활동 이력...하필 케네데도 北에 프랑스 핵 개발 관련 정보 넘긴 간첩

최우석  월간조선 기자 woosuk@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정대협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희망나비가 공동 주최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행사에 참석한 베누아 케네데(Benoit Quennedey), 사진=소셜네트워크서비스 캡처.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상임대표 시절인 2013년 프랑스 파리에서 처음으로 수요집회를 열었는데 이때 북한 스파이로 활동한 베누아 케네데(Benoit Quennedey)도 참석한 것으로 확인됐다.

 '프랑스 상원'에서 일했던 고위 공무원인 베누아 케네데는 2018년 11월 25일 핵 개발 관련 정보 등 프랑스의 갖가지 정보를 북한에 전달한 혐의로 체포됐다.

케네데는 파리정치대학(시앙스포)과 국립행정학교(ENA)를 졸업한 엘리트다. 

케네데는 프랑스조선친선협회 회장직을 맡기도 했는데, 한불친선협회로도 불리는 이 협회는 1960년대 만들어진 북한과 긴밀한 단체다.

그는 2012년 평양에서 열린 김일성 탄생 100주년 기념식에 참석했고, 2018년 북한 정권 70주년 기념일(9·9절) 행사의 프랑스 내 준비위원장이었다.

일간 '르피가로'는 그가 평양에 7차례 다녀왔다고 했다. 이런 케네데를 프랑스 정보기관인 국내안보총국(DGSI)은 오랫동안 지켜봤다.

DGSI는 그를 체포하기 직전 상원에 있는 그의 사무실과 파리 시내 자택은 물론이고, 지방에 있는 그의 부모 집까지 샅샅이 압수 수색했다.

상원 내부를 압수 수색하려면 상원 의장의 동의가 필요하다. DGSI가 내민 케네데의 영장을 본 제라르 라르셰 의장은 "상원 이미지가 심각하게 실추될 수 있는 사안"이라며 흔쾌히 서명했다.

진보 성향의 일간지 ‘르몽드’마저 "사형 제도에 반대하는 케네데가 북한의 끔찍한 인권 상황에 대해서는 들은 척도 하지 않았다"며 비판에 가세했다.

정대협(정의기억연대 전신) 상임대표였던 윤 당선인은 2013년 9월 18일(현지시각) 에펠탑이 내려다보이는 파리 샤이오궁 앞에서 수요집회를 열었다. 당시 케네데는 프랑스조선친선협회 회원 신분으로 집회에 참석했다.

당시 집회에는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도 참석했다. 이날 집회 때 윤미향 당선인은 "프랑스 국회의원들을 만나 위안부 문제 해결에 도움을 요청했다"면서 "프랑스에서도 위안부 해결을 위한 결의안이 채택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정대협은 이후에도(2014년, 2015년. 2016년) 프랑스에서 집회를 했는데 2015년 12월 28일부터 1월 16일까지 이어진 정대협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희망나비가 공동 주최한 '유럽평화기행 나비의 꿈'에도 케네데가 참석했다.

케네데씨가 정대협이 마련한 위안부 관련 행사나 집회에 참석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 또 당시 윤 당선인이 케네데씨가 친북 인사인지 몰랐을 수도 있다.

그러나 윤 당선인과 정대협 관계자들이 간첩 사건에 연루되는 등 대표적인 좌파활동가로 활동한 이력이 있고, 케네데 또한 북한 간첩 혐의로 체포됐다는 것을 고려 하면 그냥 넘길 문제는 아니란 지적이다.

윤 당선인의 남편 김삼석씨와 시누이 김은주 씨는 1992년 남매간첩단사건에 연루돼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처벌받았다. 김은주씨 남편 최기영 씨도 2006년 일심회간첩단사건에 연루돼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가 있다.

정대협 초기부터 단체의 실무를 맡아온 것으로 알려진 손미희 정대협 대외협력위원장(현 우리학교와아이들을지키는시민모임 공동대표)은 2014년 12월 헌재의 통합진보당(통진당) 해산 결정을 앞두고 해산 반대 1인 시위를 했던 인물이다.

손 씨의 남편은 한충목 ‘한국진보연대’ 공동대표이다. 민주주의민족통일전국연합의(전국연합) 후신 단체인 ‘한국진보연대’는 이명박 정부 시절 ‘광우병국민대책회의’를 주도했던 단체다.

정대협 실행위원 활동을 한 전 신미숙 청와대 균형인사비서관의 남편은 국보법 위반 전력이 있는 인물로 과거 범민련남측본부(이적단체) 편집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정대협 생존복지위원장이었던 정태효씨(정의연 이사)는 헌재의 통진당 해산 반대를 줄곧 주장해 온 인물이다.

글=최우석 월간조선 기자.

입력 : 2020.05.20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최우석 ‘참참참’

woosuk@chosun.com
댓글달기 1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김성철 (2020-05-22)

    반일을 지나치게 주장하면 친북 성향 정도가 아니라 고첩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갓끈이론... 지금 명백히 드러나고 있는 국가보안법 위반... 단체 활동이 아예 국가보안법을 위반하면서 활동을 오랫동안 했다고 하니 경악! 법이 만인 앞에 평등?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