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기자수첩

이영훈 교수가 '명예교수'를 사칭하고 다녔다고?

기사에 '명예교수'라고 쓰거나 토론회 등에서 '명예교수'라고 하면, "나는 명예교수가 아니다"라고 바로잡아 줘

배진영  월간조선 기자 ironheel@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이영훈 전 서울대 교수. 사진=조선DB
《반일종족주의》의 저자 중 하나인 이영훈 전 서울대 교수가 '서울대 명예교수'를 사칭하고 다녔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승만학당 홈페이지나 강연 홍보물 등에서 ‘서울대 명예교수’라고 표기했다는 것이다.
사칭(詐稱)이란 ‘이름, 직업, 나이, 주소 따위를 거짓으로 속여 이름’이라는 의미다. 남을 속이고 그로 인해 어떤 이익을 보겠다는 적극적인 의도가 있을 때 쓸 수 있는 말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기자가 아는 한, 이영훈 교수는 서울대 명예교수를 사칭하고 다닌 적이 없다. 우리 사회에서는 정년(停年)퇴임한 노(老)교수는 당연히 ‘명예교수’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명예교수’라고 호칭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관행에 가깝다. 하지만 이영훈 교수는 남이 자기를 ‘명예교수’라고 호칭하면 적극적으로 “나는 명예교수가 아니다”라고 바로잡아주었다.

기자도 그런 경험이 있다. 2017년 기자는 《월간조선》 4월호에 이영훈 교수 인터뷰를 했다. 이 교수는 그해 2월 서울대에서 정년퇴임을 했고, 기자가 그를 인터뷰한 것은 2월 말, 책이 발간된 것은 3월 17일이었다. "원하신다면 초고를 보내드릴 테니 한 번 보시라"고 했지만, 이 교수는 "알아서 잘 쓸 텐데 굳이 볼 필요가 있겠느냐?"고 했다. 
책이 나온 후 이영훈 교수와 통화를 했다. 이 교수가 말했다.
“다 잘 썼는데, 하나가 잘못 됐네요. 큰 잘못은 아니지만....”
'그렇게 나를 믿고 기사도 안 보겠다고 하셨는데, 무슨 실수를 했나'싶어서 가슴이 철렁했다.
“뭐가... 잘못됐습니까?”
“제목에 ‘명예교수’라고 적었던데, 난 명예교수가 아니에요.”
당연히 ‘명예교수’일 것이라고 생각했던 기자로서는 당혹스러운 얘기였다.
“아니, 명예교수가 아니시라고요....”
“내가 성균관대에 있다가 서울대로 옮겨갔는데, 서울대에서는 재직 기간이 15년 이상이어야 명예교수를 줍니다. 재직 기간이 4개월 모자라서 명예교수가 못 됐어요. 하하하.”
“그동안 학문적 업적도 있고 한데, 4개월 모자란다고 명예교수를 못 준다니...서운하지 않으세요?”
“서운한 거 없어요. 어차피 대학에서 강의하는 일에는 이제 크게 관심이 없어요.  여생은 우리 국민들의 잘못된 역사인식을 바로잡는 저술이나 대중교육에 바칠 생각이니까요.”
이후 기자는 이영훈 교수에 대한 작은 기사를 몇 번 쓰면서, 꼭 ‘전(前) 서울대 교수’라고 썼다.

기자는 이영훈 교수와 현대사 관련 토론회 등에서 자주 조우했다. 사회자가 이 교수를 ‘서울대 명예교수’라고 소개하면, 이 교수가 “나는 서울대 명예교수가 아닙니다”라고 바로잡아 주는 것을 여러 번 목격했다.
‘여생은 우리 국민들의 잘못된 역사인식을 바로잡는 저술이나 대중교육에 바칠 생각’이라는 다짐대로 이영훈 교수는 이승만학당을 열었고, 2018년에는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라는 책을 냈다. 그리고 이번에는 《반일종족주의》 출간을 주도했다.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의 저자 소개를 보면 ‘한신대학 경제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를 거쳐 2002년 이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하다가 2017년에 정년을 하였다’고 되어 있다. 《반일종족주의》의 저자 소개에서도 ‘한신대, 성균관대를 거쳐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로 정년퇴직하였다’라고만 되어 있다. 

홈페이지나 홍보물 등에 이영훈 교수를 ‘서울대 명예교수’라고 표기한 이승만학당측은 곤혹스러워 했다. “우리 사회에서 흔히 정년퇴임한 노교수를 ‘명예교수’라고 하다 보니 무의식 중에 그렇게 표기했다. 지방강연 홍보물 등의 경우, 이승만학당 관계자들이 살펴보았지만, 그 부분을 놓쳐버렸다”고 해명했다. 
사정을 모르는 사람들은 ‘변명’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매달 잡지를 만들면서, 책이 나온 후에야 뒤늦게 오-탈자를 발견하고 ‘왜 이걸 놓쳤지’라며 탄식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 기자로서는, 그런 실수는 원칙적으로 있어서는 안 되는 것이지만, 현실에서 일어날 수는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기자도 이영훈 교수에 대한 기사를 쓰면서 '명예교수'라고 쓴 적이 있다. 크건 작건 사실 확인을 소홀히 한 것은 기자로서는 부끄러운 기억이다. 그럼에도 이 글을 쓰는 것은, 이영훈 교수가 ‘명예교수’를 사칭하고 다닌 적도 없고, ‘명예교수’를 사칭함으로써 어떤 이득을 얻을 이유가 없는 분임을 잘 알기 때문이다. ‘이영훈 교수가 명예교수를 사칭하고 다녔다’는 보도는 《반일종족주의》를 비롯해 이 교수의 학문적 주장에 대해 학문적 토론으로 대응 할 만한 의지도, 지력(知力)도 없는 우리 사회의 단면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입력 : 2019.08.13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배진영 ‘어제 오늘 내일’

ironheel@chosun.com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했습니다. 2000년부터 〈월간조선〉기자로 일하면서 주로 한국현대사나 우리 사회의 이념갈등에 대한 기사를 많이 써 왔습니다. 지난 70여 년 동안 대한민국이 이룩한 성취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면서,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의 내용을 어떻게 채워나가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2012년 조국과 자유의 의미를 생각하게 하는 45권의 책을 소개하는 〈책으로 세상읽기〉를 펴냈습니다. 공저한 책으로 〈억지와 위선〉 〈이승만깨기; 이승만에 씌워진 7가지 누명〉 〈시간을 달리는 남자〉lt;박정희 바로보기gt; 등이 있습니다.
댓글달기 3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윤영노 (2019-08-14)

    엊그제 jtbc 손석희가 명예교수 건을 언급하는 것을 우연히 봤는데 얼른 채널을 돌렸다. 손석희가 하는 말은 콩으로 메주 쑨다고 해도 믿지 않는다. 명예교수 건도 태블랫PC류일 것으로 봤다.만약 손석희가 사칭 운운했다면 허위사실 유포죄로 고발해야 한다.

  • 이천우 (2019-08-13)

    원하신다면 초고를 ... 이라는 글을 보낸 배진영 기자를 우선 칭찬한다. 그런데 한가지 덧붙인다면 원하신다면을 꼭 이라고 바꾸길 권한다, 한번 인쇄되면 바꿀수 없고 틀린 후 정정보도라는 것이 그리 좋은 방법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의를 차릴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 최수조 (2019-08-13)

    요즘 이 교수님에 대한 비난이(학문적인 비판이 아닌) 종북패거리들의 대표주자중 한명인 조국과 짝퉁보수주의자중 한명인 홍준표까지 가세하여 학술적인 연구내용과는 무관하게 통념과 국민의 정서라는 이름으로 매도하기 시작하였지요. 사실관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자세나 노력이 없으면 어느 조직이던 개인이던 그 미래가 없는 법. 한국에 과연 미래가 있을까 ? 특히 조선일보의 기자님들께 물어보고 싶네요.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