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방송 캡처
김예령 경기방송 기자가 금일 오전 진행된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에서 '돌직구' 질문을 날렸다. 김 기자는 이날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의 모두발언 이후 진행된 질의응답 시간에 손을 들어 "(문제가 많은) 경제 기조를 바꾸지 않는 자신감은 어디서 나오나"라고 질문했다.
김 기자는 "(대통령이) 정말 올해는 함께 잘사는 나라 만들어 주시기 바란다"며 "오늘 (대통령이 낭독한) 기자회견문 모두발언을 보면 혁신성장, 공정경제를 통해서 성장을 지속시키겠다. 개천에서 용이 나오는 사회를 만들겠다, 이렇게 말씀을 하셨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하지만 실질적으로 여론이 굉장히 냉랭하다는 걸 대통령께서 알고 계실 것"이라며 "현실경제가 굉장히 얼어붙어 있다. 국민들이 많이 힘들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기자의 말이다.
"희망을 버린 건 아니지만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굉장하다. (물론) 대통령께선 계속 이와 관련해서 '엄중하게 바라보고 있다' 이렇게 강조를 하신다. 그럼에도 대통령께서 현 (경제) 기조에 대해서, 그 기조를 바꾸시지 않고 변화를 갖지 않으시려는 그런 이유에 대해서 알고 싶다. 그 자신감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인지, 그 근거는 무엇인지 좀 단도직입적으로 여쭙겠다."
김 기자는 질문에 앞서 소속과 성명을 밝히지 않았다. 질문이 끝나자 고민정 청와대 부대변인이 "경기방송의 김예령 기자님이십니다"라고 소개했다.
문 대통령의 대답은 냉랭했다. 그는 "정부의 경제 정책 기조가 왜 필요한지, 우리 사회의 양극화, 불평등 구조를 바꾸지 않고서는 지속 가능한 성장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오늘 제가 기자회견문 (낭독) 30분 내내 말씀드린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그에 대해서 필요한 보완들은 얼마든지 해야 하겠지만, 오히려 '정책 기조는 계속 유지될 필요가 있다'는 말은 충분히 들었다"며 "(김 기자의 질문에) 또 새로운 답이 필요할 것 같지는 않다"고 일축했다.
김 기자는 이날 오후 '미디어오늘'과의 인터뷰에서 "무례한 의도는 없었다. 왜 제가 그런 의도를 가지고 대통령께 질문하겠느냐"며 "대통령은 불편할 수 있으나 어려운 국민들의 여론을 대신해 최대한 질문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김 기자는 "(취재를 하다 보면) 문 대통령을 사랑하고 기대하던 계층 대부분이 너무 힘들다고 답하더라"며 "최대한 객관적인 게 기자의 역할이자 사명이다. 그래서 단도직입적으로 여쭐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네티즌들은 관련 기사에 댓글을 달아 김 기자를 응원했다. '듣기 좋은 소리'만 골라서 하던 다른 기자들의 질문보다, "시의적절한 질문을 시원하게 했다"고 평가했다. 이하 네티즌들의 댓글이다.
"김예령 기자, 가장 시원한 질문이었다. 다른 애들은 청와대 눈치보느라 할 말도 못하더만. 특히 어용방송 KBS 기자는 대통령한테 잘 보이려고 애쓰더만."
"각본 없는 기자회견이라며... (김 기자에 대한) 비판 웃긴다. 결국 쇼 하려는 거였는데, 김예령 기자가 한방 잘 먹였습니다. 기자가 이 정도 소신도 없으면 기자냐! 여긴 북한 아냐~ 자유대한민국이지!"
"소신 기자의 질문에 미꾸라지같이 대답하는 대통령 수준 한숨만 나온다!"
"김예령 기자 단 한 명만이 직설적으로 대통령에게 질문을 한 것이 이리도 이슈가 된다는 건, 현 정권이 민주주의를 지킨다고 볼 수 없다. 공산주의나 독재시대의 제왕적인 대통령 시대임을 반증해 준다. 뭐가 변했나. 그동안 이 나라에서."
"다양한 질문이 있어야 건강한 사회다. 대통령 주위에 딸랑이들의 피해 망상증 증세가 심하다. 김예령 기자 참 잘했어요. 화이팅~!"
글=신승민 월간조선 기자
김 기자는 "(대통령이) 정말 올해는 함께 잘사는 나라 만들어 주시기 바란다"며 "오늘 (대통령이 낭독한) 기자회견문 모두발언을 보면 혁신성장, 공정경제를 통해서 성장을 지속시키겠다. 개천에서 용이 나오는 사회를 만들겠다, 이렇게 말씀을 하셨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하지만 실질적으로 여론이 굉장히 냉랭하다는 걸 대통령께서 알고 계실 것"이라며 "현실경제가 굉장히 얼어붙어 있다. 국민들이 많이 힘들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기자의 말이다.
"희망을 버린 건 아니지만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굉장하다. (물론) 대통령께선 계속 이와 관련해서 '엄중하게 바라보고 있다' 이렇게 강조를 하신다. 그럼에도 대통령께서 현 (경제) 기조에 대해서, 그 기조를 바꾸시지 않고 변화를 갖지 않으시려는 그런 이유에 대해서 알고 싶다. 그 자신감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인지, 그 근거는 무엇인지 좀 단도직입적으로 여쭙겠다."
김 기자는 질문에 앞서 소속과 성명을 밝히지 않았다. 질문이 끝나자 고민정 청와대 부대변인이 "경기방송의 김예령 기자님이십니다"라고 소개했다.
문 대통령의 대답은 냉랭했다. 그는 "정부의 경제 정책 기조가 왜 필요한지, 우리 사회의 양극화, 불평등 구조를 바꾸지 않고서는 지속 가능한 성장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오늘 제가 기자회견문 (낭독) 30분 내내 말씀드린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그에 대해서 필요한 보완들은 얼마든지 해야 하겠지만, 오히려 '정책 기조는 계속 유지될 필요가 있다'는 말은 충분히 들었다"며 "(김 기자의 질문에) 또 새로운 답이 필요할 것 같지는 않다"고 일축했다.
김 기자는 이날 오후 '미디어오늘'과의 인터뷰에서 "무례한 의도는 없었다. 왜 제가 그런 의도를 가지고 대통령께 질문하겠느냐"며 "대통령은 불편할 수 있으나 어려운 국민들의 여론을 대신해 최대한 질문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김 기자는 "(취재를 하다 보면) 문 대통령을 사랑하고 기대하던 계층 대부분이 너무 힘들다고 답하더라"며 "최대한 객관적인 게 기자의 역할이자 사명이다. 그래서 단도직입적으로 여쭐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네티즌들은 관련 기사에 댓글을 달아 김 기자를 응원했다. '듣기 좋은 소리'만 골라서 하던 다른 기자들의 질문보다, "시의적절한 질문을 시원하게 했다"고 평가했다. 이하 네티즌들의 댓글이다.
"김예령 기자, 가장 시원한 질문이었다. 다른 애들은 청와대 눈치보느라 할 말도 못하더만. 특히 어용방송 KBS 기자는 대통령한테 잘 보이려고 애쓰더만."
"각본 없는 기자회견이라며... (김 기자에 대한) 비판 웃긴다. 결국 쇼 하려는 거였는데, 김예령 기자가 한방 잘 먹였습니다. 기자가 이 정도 소신도 없으면 기자냐! 여긴 북한 아냐~ 자유대한민국이지!"
"소신 기자의 질문에 미꾸라지같이 대답하는 대통령 수준 한숨만 나온다!"
"김예령 기자 단 한 명만이 직설적으로 대통령에게 질문을 한 것이 이리도 이슈가 된다는 건, 현 정권이 민주주의를 지킨다고 볼 수 없다. 공산주의나 독재시대의 제왕적인 대통령 시대임을 반증해 준다. 뭐가 변했나. 그동안 이 나라에서."
"다양한 질문이 있어야 건강한 사회다. 대통령 주위에 딸랑이들의 피해 망상증 증세가 심하다. 김예령 기자 참 잘했어요. 화이팅~!"
글=신승민 월간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