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룰 확정

당원 비중 높아져... 비명계 후보들 강력 반발 "무늬만 경선"

권세진  월간조선 기자 sjkwon@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지난 11일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대선출마를 선언하며 비전 및 캠프 인선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이 21대 대통령선거 후보 선출 방식으로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를 12일 확정했다.  기존 방식보다 당원의 비중을 높인 것으로,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은 "비민주적 결정"이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어 민주당 경선이 혼란에 빠져들 가능성도 제기된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당규위)는 12일 오후 국회에서 브리핑을 열고 "당규위는 치열한 논의 끝에 기존 국민경선에서 국민참여경선으로 바꾸는 것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국민참여경선은 1년 전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약 110만명) 투표 50%, 국민 여론조사(100만명 대상) 50%로 이뤄진다. 당규위 이춘석 위원장은 "정당의 공직 후보는 당원들의 의사를 반영한다는 민주주의와 정당정치의 기본 전제를 바탕으로 한것"이라고 밝혔다.  기존 국민경선 방식에 비해 당원의 의견을 더 많이 반영하겠다는 뜻이다. 

 

기존 '국민경선'은 국민 선거인단을 구성하는 방식이었다.  대선 본경선에서 권리당원과 대의원, 참여 의사를 밝힌 일반 국민을 선거인단에 포함해 '1인 1표'를 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당원의 의견이 더 높은 비율로 반영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 비명계 후보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김동연 경기지사 측은 "무늬만 경선"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 지사측 고영인 전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이번 발표는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낸 민주당의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 달라는 요구를 헌신짝 집어던지듯 내팽개친 것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김 전 의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선출된 16대 대선 경선부터 이재명 전 대표가 후보로 선출된 20대 대선 경선까지 모두 국민선거인단을 통한 경선이 원칙이었다"며 "국민경선 포기는 국민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두관 전 의원 측 백왕순 대변인도 이날 논평에서 "경선 당사자인 후보 측과 경선 룰에 대해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지금의 민주당 모습은 너무 위험하다"고 밝혔다.  이어 "민주당이 야당 지도자를 인정하지 않고 불통으로 일관했던 윤석열과 국민의힘을 닮아가선 절대 안 된다"며 "'어대명(어차피 대선후보는 이재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에 숙고하겠다"고 말했다.

당규위가 만든 경선 룰 초안은 당 최고위원회, 당무위원회, 전 당원 투표와 중앙위원회 의결을 거치면 최종 확정된다.

 

입력 : 2025.04.13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권세진 ‘별별이슈’

sjkwon@chosun.com 월간조선 정치팀장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