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오늘(21일)부터 전공의 무기한 휴진... 의료대란 일어나나

코로나19 확산속에 전공의 이어 개원의, 전임의들도 파업 예정

권세진  월간조선 기자 sjkwon@chosun.com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프린트하기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대한전공의협의회가 7일 서울 여의도 공원에서 집회를 열고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반대 등을 촉구하는 침묵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을 대표하는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가 무기한 집단 업무 중단에 돌입한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26~28일 2차 총파업에 들어간다. 코로나19가 재확산되면서 의료공백이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전협은 21일부터 의과대학 정원 증원 등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전공의 3차 단체행동'을 시작한다. 19일 의·정 간담회가 성과 없이 끝나면서다. 21일에는 인턴과 레지던트 4년차, 22일엔 레지던트 3년차, 23일엔 레지던트 1~2년차가 파업을 시작한다.  파업은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질때까지 무기한으로 예정돼 있다.
 
대전협은 지난 7일과 14일에도 1,2차 집단 휴진했지만 하루씩이었고 대체인력이 투입돼 의료공백은 없었다.  하지만 이번 파업은 23일부터 무기한 진행되는 만큼 대형병원 등에서 진료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대전협은 ▲의대 정원 확충 ▲공공의대 설립 ▲한방첩약 급여화 시범사업 ▲비대면 진료 육성 등 정부가 최근 내놓은 의료 정책들에 반대하며 전면 재논의를 요구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폭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공의들이 무기한 파업에 돌입할 경우 의료 현장에서는 상당한 혼란이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대전협은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김형철 대전협 대변인은 "정부 관계자들보다 우리가 더 코로나19 환자들에 대한 심각성을 많이 느끼고 있고, 그래서 정부를 설득하는 것"이라며 "지금 코로나19가 정말 심각한 상황이고, 이것을 잘 극복하고자 총력을 다해도 모자랄 판에 정부는 하루하루 의료진을 분노하게 만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전협에 이어 개원의 중심의 의협도 26~28일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총파업에 돌입한다. 의협은 사흘간의 총파업 이후에도 요구 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무기한 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또 대학병원 등의 전임의(펠로)들도 '대한전임의협의회'를 결성하고 파업 참여를 선언했다. 전임의들은 24일부터 파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들은 전공의 파업시 자리를 지켜왔으나 이들 역시 파업에 들어가면서 의료 공백은 불가피하다.

정부는 공동 방역 체계와 병상 공동 이용 체계 등을 통해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고 코로나19 확진자 폭증세에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병원들은 입원·수술 일정 조정, 대체 근무 편성 등을 통해 파업에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의사들의 무기한 파업이 이어질 경우 사실상 정상적으로 병원을 운영할 방법이 없는 상태다.

최근 집단감염 등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의료계는 이번 주말이 가장 큰 위기가 될 전망이다.
 
글=권세진 월간조선 기자
 

입력 : 2020.08.21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권세진 ‘별별이슈’

sjkwon@chosun.com 월간조선 정치팀장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