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1. 칼럼

비운(悲運)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 두 번째 이야기

장상인  JSI 파트너스 대표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본문이미지
어린시절의 덕혜옹주(1924)
"덕혜 옹주의 사진을 보는 순간 숨이 멎는 듯 했습니다. 영혼과 영혼의 부딪침 이랄까. 소설의 영감(靈感)이 떠올랐던 것입니다."
 
때 이른 불볕더위를 시키려는 듯 간헐적으로 비가 뿌린 5월 30일 오전. 혜화동의 한 커피숍에서 만난 <덕혜옹주>(다산 북스)의 작가 권비영(權丕映·60)씨의 첫 마디다. 조선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 소설을 쓰게 된 계기에 대해서 작가는 이렇게 말했다.
 
"눈이 펑펑 쏟아지는 2007년 어느 겨울 날. 꽃바구니를 사들고 경기도 홍유릉(洪裕陵)의 울타리 밖 한적한 비탈길에 묻혀 있는 덕혜옹주의 묘소를 찾았습니다. 그리고서 얼음판으로 변해버린  묘소에 엎드려 큰 절을 올렸습니다. 누가 시킨 것이 아니라 스스로 우러난 행동이었습니다. 그런데, 기적 같은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덕혜옹주가 꿈속에 나타났던 것입니다."
 
순간 권비영 작가는  꿈속에 나타난 덕혜옹주를 떠올리는 듯 눈을 지그시 감으면서 말했다. 소설의 영감(靈感)을 덕혜옹주로부터 얻은 것이다. 작가의 꿈 이야기를 그대로 옮겨본다.
 
본문이미지
남양주에있는 덕혜옹주 묘소. 누군가 놓고 간 국화꽃이 시들어 있다.

"덕혜옹주님! 웬일이십니까. 저의 꿈속에 나타나시다니요."
 
"그래. 널 도와주려고 왔단다."
 
"저를 도와주신다고요? 옹주님에 대한 소설을 쓰려고 하는데 잘되지 않고 있습니다. 옹주님께서 도와주시면 글이 잘 써질 것 같습니다."
 
"...."
 
권비영 작가는 꿈속의 상황을 생생하게 필자에게 전했다.
 
본문이미지
덕혜옹주 꿈 이야기를 하는 작가 권비영 씨

"사진에서 보다 더 선명한 모습으로 대화를 나누던 덕혜옹주가 전설의 고향처럼 스르르 사라지셨습니다. 2007년  일행들과 함께 쓰시마(對馬島)에 문학기행을 가서 덕혜옹주 결혼 봉축비와 '소 다케유키(宗武志, 1908-1985)'의 사연을 들은 후 3-4번 더 다녀왔으나, 도무지 진도가 나가지 않던 소설이 그 꿈 이후 일사천리로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그럴 수 있을까. 필자는 참으로 기이한 일이라고 생각하면서 작가에게 질문을 계속했다.
 
옹주의 신분이 그러할 진데 민초들은 어떠했을까.
 
"작가님! 일부 독자들께서 '옹주가 일본의 귀족과 결혼 했으면 됐지. 성격 차이의 이혼에 대해서 '버려진 황녀고 지나치게 미화시키지 않느냐?'는 질문이 많습니다. '나라가 망한 황녀가 일본의 백작과 결혼했으면 됐지... 그게 불쌍하다고요?' 이러한 말을 하기도 합니다."
 
그러자 권비영 작가는 고개를 좌우로 흔들었다.
 
"그렇지 않습니다. 덕혜옹주라는 신분을 떠나서, 그 시대를 살았던 대한제국 여성의 삶을 그린 것입니다. 불행한 시대를 살았던 옹주의 삶이 그러할 진데, 민초들의 삶은 어떠했겠습니까. 소설은 덕혜옹주 한 사람의 이야기가 아니라 전 여성들의 아픔을 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한 깊은 뜻이 있었군요."
 
복순은 그 시대 여인들이 겪어야 했던 처절한 현실
 
필자는 그 대목에서 복순의 이야기로 화제를 바꿨다. 덕혜옹주의 시녀 복순의 아픔을 소설 속에서 찾아본다.
 
"영친왕 저택에 다녀오게."
 
본문이미지
예복을 입은 어린시절 영친왕(1907)
'소 다케유키' 백작의 말을 들은 복순은 '영친왕(1897-1970) 저택에 가면 조선의 소식을 들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기분이 좋았다. 기분 좋은 일은 잠시 뿐. 집을 나서 얼마간 길을 걷자 건장한 두 명의 사나이가 나타나 그녀를 숲 속으로 끌고 갔다...그들은 복순을 처절하게 짓밟았다. 그녀의 망가진 몸과 마음은 어떠했을까.
 
<삶은 원칙도 없고 배려도 없다. 사납게 휘두르는 운명의 갈퀴를 막을 힘이 그녀에게는 없었다. 복순은 죽은 듯이 누워있었다. 정지된 세상에 아무 의미 없이 널브러져 있었다. 손의 결박은 단단했고 버려진 몸뚱이는 상처투성이였다. 가시에 긁히고 유린당한 몸뚱이는 휴지조각처럼 구겨져 있었다.>
 
물론, 이 대목은 픽션이다. 작가는 덕혜옹주의 시녀를 했던 실제 인물이 인천의 어딘가에 살고 있었다고 했으나, 연락이 되지 않아 만나지 못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작가는 '소설 속 복순은 그 당시 겪어야 했던 여성들의 아픔이자 위안부 할머니들의 상처와 오버랩된다'고 하면서 목소리를 높였다.
 
왜곡된 역사, 바로 잡아야
 
복순의 이야기에서 목소리가 높아진 권비영 작가는 "고종황제에 대해 그릇된 평가도 바로 잡아야 한다"고 했다. 더불어 작가는 "고종은 그 당시 청·일·러 등 열강들의 틈바구니에서 고뇌하면서 국권보존을 위해 노력했던 선진형 황제였다"고 했다. 그러면서 "승자(일본)에 의해 쓰인 왜곡된 역사를 사실로 인정하는 우리의 무지(無知)가 더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권 작가는 한 교수의 논문을 인용했다.
 
"서울대 이태진 교수의 논문을 보면 '고종황제는 일본학자들에 의해 유약(柔弱)하고 암우(暗遇)하다고 왜곡(歪曲)되게 평가됐다'고 나와 있습니다. 이 교수께서는 고종을 곁에서 지켜본 외국인들의 증언을 토대로 '매우 총명하고 강기 있는 군주다'고 했습니다. 이 점도 바로 잡아야 하지 않을까요?"
 
베스트셀러의 비결은?
 
본문이미지
덕혜옹주 소설을 들고 있는 작가 권비영 씨
"이 소설이 2009년 초판을 찍은 이후 120쇄가 넘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별한 계기가 있나요?"
 
"아닙니다. 제가 유명 작가도 아니고...앞에서 말씀드린 대로 꿈에서 만난 덕혜옹주의 도움이 있었나 봅니다(웃음). 시부모를 모시고 두 아들을 키우면서 열심히 살아온 덕택인지도 모르겠고요."
 
"베스트셀러 작가로서 소감을 한마디 해주시죠."
 
"저의 책이 나온 후로 대한제국에 대한 책들이 쏟아져 나오더군요. 덕혜옹주에 대한 영화도 진행되고 있다는 소식이구요. 이 자체가 보람입니다."
 
꿈은 이루어진다고 했던가. 평범한 가정주부로 살면서도 어릴 적부터 꿈꿔왔던 글쓰기를 포기하지 않았던 권비영 씨- 2005년 첫 창작집을 내고 처절한 쓴 맛을 보다가 <덕혜옹주>를 통해 유명세를 타게 됐다.
 
두 시간의 인터뷰를 마치고 커피숍을 나서자 다시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빗줄기는 굵지 않았으나 창덕궁 쪽으로 검은 구름이 몰려갔다. 덕혜옹주의 목소리가 구름 사이로 새어나오는 듯했다. 소설처럼...
 
"나는 낙선재에서 오래오래 살고 싶어요. 전하. 보고 싶습니다. 대한민국 우리나라."
 
일본판 출간으로 이어져
 
본문이미지
일본어판 <덕혜옹주>
소설 <덕혜옹주>가 한국에서 유명세를 타자, 일본 오사카(大阪)에 있는 '간요우 출판사'가 권비영 작가·다산 북스와 협의 끝에 2013년 4월 일본어판을 출간됐다. 일본 서점가에 뿌려진 서평(書評)이다.
 
"일한(日韓)의 틈바구니(翻弄)에서 시대와 역사 속에서 휘둘린 한 여성의 이야기입니다."
 
필자와 전화 통화를 한 '간요우 출판사'의 '마쓰야마 켄(松山献·59)'사장은 소설 <덕혜옹주>의 출판 목적을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일본의 입장에서 보면 좋지 않은 인상을 받을 수 있지만, 일본인들이 잘 모르는 역사적 사실을 독자들에게 알리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책은 많이 팔리지 않았습니다. 출판 전부터 예상했던 일이었습니다만...."
필자는 전화를 끊기 전 "덕혜옹주를 출간한 출판인으로서 한일 관계의 개선에 대해서 한 말씀 부탁드린다"고 했다. 마쓰야마(松山) 사장은 잠시 머뭇거리더니 다음과 같이 입을 열었다.
 
"민간인들끼리 친구를 만들어 나가야죠. 단 한 사람, 아니 두 사람이라도...민간인들의 교류가 확대되다보면 양국 관계가 좋아지지 않을까요?"
 
지극히 평범한 대답이었으나, 적절한 방안이기도 하다. 일시에 모든 것을 해결하려고 하지 말고, 민간인들의 교류와 대화를 통해서  잘못된 부분을 하나하나 바로 잡는 것도 방법일 듯싶다.

입력 : 2015.06.02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국제상인 장상인의 세계, 세계인

전 팬택전무(기획홍보실장) 동국대 행정학과/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석사)/인하대 언론정보학과대학원 박사(수료). 육군 중위(ROTC 11기)/한국전력/대우건설 문화홍보실장(상무)/팬택 기획홍보실장(전무)/경희대 겸임교수 역임. 현재 JSI파트너스 대표/ 부동산신문 발행인(www.renews.co.kr) 저서:홍보, 머리로 뛰어라/현해탄 波高 저편에/홍보는 위기관리다/커피, 검은 악마의 유혹/우리가 만날 때마다 무심코 던지는 말들/오타줄리아(공저) 기타:월간조선 내가 본 일본 일본인 칼럼 215회연재/수필가, 소설가(문학저널 등단)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