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1. 칼럼

데지마(出島) 이야기(1)

장상인  JSI 파트너스 대표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한 발 앞서 핀 노란 유채꽃이 발걸음을 멈추게 했다. '아니, 벌써 봄 이런가' 잠시 착각에 빠졌지만, 제주도의 겨울도 몹시 추웠다. 때마침 몰아친 눈보라가 한라산을 통째로 삼켜버리면서, 필자에게 극심한 텃새를 했다.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기사본문 이미지
서귀포 산방산 아래의 하멜 기념비
필자는 하멜의 발자취를 찾기 위해서 서귀포로 갔다.  눈보라를 뚫고서 어렵게 용머리 바위에 다다랐다. 용의 머리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이름에 걸맞게 성난 파도와 맞장 뜨면서 생성된 바위들의 상흔(傷痕)은 기암절벽(奇巖絶壁)으로 변신해 오히려 멋진 볼거리를 제공했다. 그 바위 옆에는 '하멜' 일행이 탔던 상선 '스페르워르(Sperwer)호'의 축소판이 서있고, 산방산의 거대한 바위 아래 작은 기념비 하나가 홀연히 서 있다. 다름 아닌 '하멜 기념비'다.

'헨드릭 하멜(Hendrik Hamel)'

우리의 역사 속에 유명한 인물로 각인된 '헨드릭 하멜(Hendrik Hamel, 1630-1692)!'

하멜을 비롯해 64명을 실은 상선 <스페르워르 號>는 1653년 8월 16일 새벽, 풍랑을 만나 어둠 속에서 산산조각이 났고, 살아남은 36명은 파도와 함께 '대정현 모슬포' 부근의 해안으로 떠밀려왔다. 참으로 기구한 운명의 장난이다.

필자는 하멜 기념비 앞에 홀로앉아 서귀포 앞바다를 내려다봤다. 하멜의 배를 난파시킨 집채 같은 파도는 아니었으나, 거친 파도가 흰 거품을 내품으며 성난 모습으로 몰려오고 있었다.

'저 거친 파도가 28명의 고귀한 생명을 앗아갔고, 36명의 운명을 전복(顚覆)시켰도다.'

'살아남은 36명은 어떠했을까?'

해변에서 텐트를 치고 며칠 간 목숨을 부지하던 하멜 일행은 관가에 끌려가 문초를 받았다. <하멜표류기/ 서해문집>에 쓰여 있는 난감했던 당시의 상황을 더듬어 본다.

"우리는 손짓 발짓 해가며 '일본에 있는 나가사키로 가려고 했다'는 걸 말해보려 했으나 소용이 없었다. 우리는 서로 의사소통이 안됐고, 그들은 '야판(Japan)'이라는 말을 몰랐다. 그들은 '야판(Japan)'을 왜(倭) 또는, 일본이라고 불렀기 때문이다."

호시탐탐 탈출의 기회를 엿보며 낯선 조선 땅에서 서럽게 살던 하멜은 1666년 탈출에 성공, <13년 20일> 간의 조선을 벗어나 일본 나가사키의 '히라도(平島)'에 도착했다. 그리고, 그토록 그리던 '데지마(出島)'의 품에 안겼던 것이다.

다시금, 김영희의 장편 <소설 하멜>에 묘사된 하멜의 기쁜 마음을 떠올려본다.

"그래. 여긴 나가사키. '데지마(出島)'의 네덜란드 상관(商館)이지. '데지마' 상관은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극동 무역 본부다. 나는, 아니 우리 일행 8명은 조선에서 13년 20일이라는 긴 억류생활 끝에 목숨을 건 탈출로 내 회사·우리 회사의 따뜻한 품으로 돌아왔어. 그건 꿈이 아니면 기적이었다."

생각만 해도 기적 같은 일이다. 하멜이 <13년 20일> 동안 낯설고 닫친 조선에서 모진 삶을 살아야 했기에, 그의 탈출은 꿈과 기적을 넘어 새로운 탄생이었으리라.

기사본문 이미지
데지마 자료관의 외부 전경-매립으로 부채꼴 섬이 없어지고 현대식 건물들이 들어서 있다


필자는 하멜 기념비 앞에서 하멜과 '데지마(出島)'를 그려본 지 한 달 후, 전남대 역사탐방 팀(단장: 황상석 박사)과 함께 나가사키의 '데지마'를 찾았다. 원폭 박물관에서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낸 탓에 '데지마' 기념관의 관람 시간이 그리 넉넉하지 못했으나, 예정대로 강행했다. 일단, 큰길에 차를 세우고 작은 다리를 건너서 기념관 입구로 갔다.

표착(漂着)에 의한 만남


'데지마(出島)'는 1634년 '에도막부(江戶幕府)'의 쇄국정책에 의해서 만들어진 인공 섬이다. 부채꼴 모양의 섬의 면적은 1.5헥타르(약 4,000평). 당초에는 포르투칼 사람들을 관리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나, 막부가 그리스도교의 확산을 막기 위해 1639년 그들을 추방한 후에는 잠시 무인도가 되기도 했다. 2년 후인 1641년부터 1859년까지 약 200년 동안 네덜란드 무역 상관(商館)으로 자리했다.


'일본과 서양의 만남은 언제부터 이뤄졌을까?'


1543년 포르투갈 선박이 규슈 남단 '다네가시마(種子島)'에 상륙했고, 네덜란드와의 첫 만남은 1600년 3월 16일 '분고노구니(豊後國, 현오이타현)'에서 이뤄졌다. 모두가 풍랑으로 인한 표착(漂着)에 의해서다. 바닷길의 풍랑이 배의 진로를 바꾸어 사람의 운명은 물론, 나라의 운명까지 변화시킨 것이다. 네덜란드의 선박 '리프데호(Liefde)'에 승선했던 항해사 '윌리엄 아담스(William Adams, 1564-1620)'는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 1643-1616)'의 외교 고문을 지냈다. 조선에서 허송세월을 보내다시피 한 하멜과 비교해보면 성공한 케이스다.


기사본문 이미지
데지마 기념관의 내부


아무튼, 네덜란드는 1609년 '히라도(平島)'에 무역관을 설치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로부터 상관(商館) 설립 허가를 받았던 것이다. 이 상관은 무역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군사기지로써의 역할이 컸다'고 한다. 인도네시아 '말루쿠(Maluk)제도'의 고급향신료에 대한 이권을 둘러싸고 포르투갈·스페인·영국 등과 대립이 잦았던 시기에, 네덜란드는 능력을 발휘해 막부의 비위를 건드리지 않는 범위에서 막대한 이익을 챙겼다. 네덜란드는 <'히라도'에서 '데지마'로 상관을 이전하라>는 명령도 무조건 따랐다. 도쿄대 '하네다 마사시(羽田正, 60)' 교수는 <동인도 회사와 아시아의 바다>라는 책에서 네덜란드의 상술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1637년 당시 회사 전체의 이익 가운데 '히라도' 상관의 무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70%나 됐다. 이 정도의 이익을 볼 수 있다면 네덜란드 상인들은 어느 정도의 굴욕을 감수하더라도 무역관계를 유지하려 했던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히라도'의 상관이 이처럼 기능을 발휘하게 된 것은 1920년대 대만에 상관을 설치해 일본의 은(銀)과 중국의 생사(生絲)에 대한 중계무역 체계를 확립했기 때문이란다. 네덜란드의 동인도회사는 대만 외에도 바타비아(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시암, 교지, 캄보디아 등의 특산품을 대량 반입했다. 하멜이 1653년 7월 16일 타이완을 떠나 일본으로 가던 중 풍랑을 만나 제주도에 표류한 것도 이러한 무역 거래를 위한 과정에서 발생한 불의의 사고였던 것이다.


일본의 '와키모토 유이치(脇本裕一, 66)'는 <거상들의 시대>라는 책에서 "1549년 일본에 기독교를 첫 전파한 '프란시스코 사비에르(Franciso de Xavier, 1506-1552)'를 비롯한 기독교 선교사들이 앞 다퉈 일본에 진출한 것은 은(銀)에 대한 욕심 때문이었을 것이다"는 주장을 폈다. 이는 전혀 근거가 없는 주장이 아니다. 그 당시 은(銀)은 오늘날의 달러와 마찬가지로 세계의 통화로 사용됐기 때문이다. 일본은 은(銀)을 무기로 생사(生絲)·설탕·무명·차·도자기·향료 등을 세계 각국으로부터 사들였던 것이다.


기사본문 이미지
의사겸 식물학자 지볼트
'데지마' 상관의 사람들 중 빼놓을 수 없는 3대 인물이 있다. 의사이면서 박물학자인 '엔겔베르트 캠퍼(Engelbert Kampfer, 1651-1716)', 의사겸 식물학자인 '지볼트(Philipp Franz Siebold, 1796-1866)', 역시 의학·식물학자인 '칼 툰베리(Carl P. Thunberg, 1743-1828)'이다. 그들은 일본의 이곳저곳을 다니면서 조사한 자료들을 모아 후일 <일본지>, <일본의 식물지>, <일본의 동물지> 등을 출간했다. 이 책들은 일본의 동·식물을 유럽에 알리는 것은 물론 일본의 존재를 알리는데도 크게 기여했다.



관광명소로 다시 태어난 데지마

당초 인공 섬이었던 '데지마'는 1883년(메이지 16년)부터 8년간의 하구(河口) 공사 끝에 북측부분이 사라졌고, 1897년(메이지 30년)부터 7년간에 걸쳐 시행된 항만개량공사에 의해 섬 자체가 없어졌다. 1996년(헤이세이 3년)부터 나가사키시(長崎市)가 170억 엔(약 2000억 원)을 들여 복원 사업을 벌여 오늘의 모습으로 태어난 것이다.

기사본문 이미지
상관의 방
자료관 안에 들어서면 네덜란드 선장이 살던 집(一番船船頭部屋), 상관장의 차석이 살던 집, 상관원의 식당(料理部屋), 수입품을 보관하던 창고(一番蔵), 상관장의 가옥, 일본 측 관리인의 방(乙名部屋), 난학관(蘭学館) 등이 그 당시의 상거래 상황을 느낄 수 있도록 잘 정리돼 있다. 관광명소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옛날의 상관 모습과 물품들을 돌아보는 순간 '데지마 기념관이 곧 문을 닫는다'는 방송이 흘러나왔다. 시간이 짧아 아쉽기 짝이 없었으나 발길을 돌려야 했다. 문이 닫히기 직전 전남대 김영술(53) 교수와, 그의 딸 김안나(서울대 정외과·2)양이 숨을 몰아쉬며 뛰어 나왔다. 이어서 김안나 양은 필자에게, '데지마'에 대한 소감을 다음과 같이 길게 이야기했다.


"데지마는 그야말로 놀라움 그 자체였습니다. 제가 알았던 일본의 근대화와 강대국으로의 부상(浮上)은 메이지 유신(1868)부터가 아니라, 서양을 향해 열린 창(窓) '데지마(出島)'를 통해 서양의 문물을 받아 들였다는 점입니다. 조선이 쇄국을 해 서양 제국과의 모든 것을 단절을 했던 것에 비해, 일본은 인공 섬 '데지마'를 통해 통제와 개방을 전략적으로 운용하면서 서양의 문명을 받아들인 것입니다. 일본인들은 예로부터 새로움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호기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국가 이익을 고려한 실용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조선 인조 때 네덜란드인 박연이 있었습니다만, 하멜의 경우는 달랐다고 봅니다. 하멜도 폭풍을 만나 제주도에 표착했습니다. 그들 일행은 여수·순천·남원 등지의 병영에 갈라져 감금된 채 지내다가 일부가 일본으로 탈출했습니다. 일본이 '데지마'를 통해 난학(蘭學)을 받아들이고 근대화를 시작했던 것처럼, 그 당시 조선이 하멜 일행을 통해 근대화를 시작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기사본문 이미지
데지마모형 앞에서의 김안나양


김안나 양은 정치외교학 전공자답게 하멜의 경우를 일본과 비교하면서, 조선의 쇄국 정책에 대해 어른스럽게 비판했다.


운명의 갈림길

실제로 하멜은 조선과 일본의 운명의 갈림길은 '데지마'라고 생각하며, 이를 크게 걱정했다. 김영희의 <소설 하멜>에 묘사돼있는 하멜의 걱정거리를 들여다본다.

"야판(일본)의 지도자들은 국제 감각이 뛰어난 사람들이다. 나가사키라는 작은 관문을 통해서 유럽의 앞선 문물을 받아드리고 중국과도 활발한 무역을 하고 있었다. 하멜은 조선과 야판의 운명의 갈림길은 '데지마'라고 생각했다. 언젠가 조선은 일본에 의해 가혹한 시련을 맞을 날이 올 것이라는 생각에 하멜은 불안했다."


하멜 일행은 조선(造船)·소총·천문·의술 등 여러 분야에 상당한 기술을 지니고 있었으나, 당시 임금(효종)을 비롯한 조정에서는 이를 알아보는 안목(眼目)을 그 누구도 지니지 못했다. 하늘이 내린 절호의 기회를 놓치고 만 것이다.


2월 25일 신정부가 출범했다. 신정부의 세계화(世界化) 정책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 것인지 귀추(歸趨)가 주목된다(계속).

입력 : 2013.02.25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국제상인 장상인의 세계, 세계인

전 팬택전무(기획홍보실장) 동국대 행정학과/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석사)/인하대 언론정보학과대학원 박사(수료). 육군 중위(ROTC 11기)/한국전력/대우건설 문화홍보실장(상무)/팬택 기획홍보실장(전무)/경희대 겸임교수 역임. 현재 JSI파트너스 대표/ 부동산신문 발행인(www.renews.co.kr) 저서:홍보, 머리로 뛰어라/현해탄 波高 저편에/홍보는 위기관리다/커피, 검은 악마의 유혹/우리가 만날 때마다 무심코 던지는 말들/오타줄리아(공저) 기타:월간조선 내가 본 일본 일본인 칼럼 215회연재/수필가, 소설가(문학저널 등단)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