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1. 칼럼

'눈물이 마를 날은 언제인가'

장상인  JSI 파트너스 대표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나가사키(長崎) 평화의 공원을 크게 분류하면 '부탁(願)의 존(zone)', '기도의 존(zone)', '배움의 존(zone)', '광장 존(zone)', '스포츠 존(zone)' 등이 있다.

'부탁의 존(zone)'에 들어서면 일단 우람한 동상이 눈에 들어온다. 이 지역 출신 조각가 '기타무라 세이보우(北村西望, 1884-1987)'씨가 1955년에 만든 작품이다. 높이 9.7m, 무게 약 30톤의 거대한 청동상(靑銅像)이다. '장보고 CEO 포럼' 회장인 황상석(전남대 세계한상문화연구단 연구교수) 박사와 연구원·학생·가족들은 '평화기념상(平和祈念像)' 앞에서 평화를 기원하며 기념 촬영을 했다.

기사본문 이미지
전남대 역사 탐방팀


"하나님의 사랑과 부처님의 자비를 상징하고, 수직 높이 쳐들고 있는 오른손은 원폭의 위협을, 수평으로 뻗은 왼손은 평화를, 옆으로 올린 발은 원폭 투하 직후 나가사키의 정적을, 세운 다리는 구(救)한 생명을, 가볍게 감은 눈은 원폭 희생자의 명복을 빌고 있습니다."

동상 뒷면에 새겨져 있는 '작가의 말'이다. 전쟁으로 희생된 사람들의 명복을 빌면서 원망스러운 원자폭탄에 대한 꾸짖음과 평화를 갈망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 아직도 평화를 위한 진정한 노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부탁(願)의 존(zone)'에는 이 외에도 평화의 샘(泉), 우라가미(浦上)형무소 흔적지와 '나가사키의 종(鐘)'이 있다. '나가사키의 종(鐘)'은 1977년 이곳에서 사망한 사람들의 명복을 기원하기 위한 뜻으로 세워졌다.

원폭낙하의 중심지

기사본문 이미지
원폭순난자명 봉안탑
평화공원에서 나름대로 의미가 있는 곳이 바로 '기도의 존'이다. 피폭 탑이 세워져 있는 이 곳 상공 500m에서 작열한 원자폭탄이 일순간에 수많은 사람들의 고귀한 생명을 앗아가고 말았다. 탑의 전면에 놓인 원폭순난자봉안상자에는 원폭에 의해 폭사한 사람들과 피폭 후에 사망한 사람들의 이름이 봉안돼 있다. 그 옆에는 1914년에 세워진 '우라가미(浦上)' 천주당의 잔해가 아픈 상처를 안고 바닷바람을 맞으면서 굳건하게 서있다. 동양 유일의 장대함을 자랑하던 천주당은 3초 만에 불타버리고, 그 잔해가 일부 남아 하늘을 원망하며 우뚝 서있는 것이다.


기사본문 이미지
도미니카 나오키의 어머니상(像)
그리고, 피폭 50주년 기념사업으로 세워진 어머니상(像)은 보는 것만으로도 사람들의 영혼을 맑게 한다. 도쿄예술대학 조각과를 수석 졸업한 '나가사키' 출신 작가 '도미나가 나오키(富永直樹, 1913-2006)'씨의 작품인 이 조각은 '위대한 어머니의 자비심과 상처받은 아이를 따뜻한 가슴으로 안은 어머니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잘 정돈된 작은 냇물가로 내려가면 원폭에 의해 파괴된 집과 기와, 벽돌, 용해된 유리조각 등이 매몰된 지층을 확인 할 수 있다. 벽돌 조각, 유리 파편 하나하나가 피폭당시의 비참했던 실상을 말해주고 있다. 평화의 공원을 돌아본 후의 소감을 '생명의 교회' 윤승현(53)목사는 다음과 같이 피력했다.

"생명의 소중함을 새삼 깨닫게 하는 공원입니다. 하지만, 조각품들이 지나치게 예술성만 강조해 '평화의 기원(祈願)'이라는 테마가 묻혀 버린 듯합니다."


서러운 조선인 추도비

기사본문 이미지
조선인 원폭희생자 추도비


폭심지에서 계단을 따라 원폭 자료관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작은 추모비가 하나 있다. 그 당시 징용으로 끌려와서 나가사키 조선소 등에서 일하다가 피폭된 한국인들을 추모하는 비석이다. 예전에 비해 다녀가는 사람들은 늘었는지 제법 많은 꽃다발과 소주병들이 원혼들의 아픔을 달래주고 있었다. 이 비(碑)는 '이름 없는 일본사람들이 얼마간의 돈을 모아, 이곳 나가사키(長崎)에서 비참한 생애를 보낸 1만 여명의 조선 사람을 위하여 이 추도비를 건설했다'고 쓰여 있다(필자의 칼럼 2006/8/14 참고). 독자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시 한 번 그 내용을 옮겨본다.

<1910년 8월22일, 일본정부는 '일한병합조약'을 공포하여, 조선을 완전히 일본의 식민지 지배하에 둠으로써, 자유와 인권, 귀중한 토지마저 빼앗겨, 생활의 수단을 잃은 많은 조선 사람들이 살길을 찾아 일본으로 건너왔다.

그 후, 일본에 강제연행으로 끌려와 강제노동을 당한 조선 사람은 1945년 8월15일 일본의 패전당시에는 실로 2,365,263명에 이르렀으며, 나가사키(長崎)현에도 약7만 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그리고. 나가사키(長崎)시 주변에는 약 3만 수천 명의 조선 사람들이 살고 있었으며, 그들은 미쓰비시 계열의 조선소·제강소·전기·병기공장과 도로·방공호·군수공사장 등 토목공사장들에서 강제노동을 당하고 있었다. 1945년 8월 9일. 미군의 원자폭탄투하에 약 2만 명의 조선 사람들이 피폭됐으며, 그 중 약 1만여 명이 폭사(爆死)했다.

우리들 이름 없는 일본사람들이 얼마간의 돈을 모아, 이곳 나가사키에서 비참한 생애를 보낸 1만여 명의 조선 사람을 위해 이 추도비를 건설했다. 지난 시기 일본이 조선을 무력으로 위협하여, 식민지로 만들고 그 민족을 강재로 끌고 와 학대혹사하며, 강재노동 끝에 비참하게도 원폭을 맞아 죽게 한 전쟁책임을 그들에게 사과함과 동시에, 이 세상에서 핵무기의 완전철패와 조선의 자주적 평화통일을 염원하여 마지않는다.>

필자는 6년이 지난 이 시점에서도 여전히 가슴이 아팠다. '일본이 조선을 무력으로 위협하여, 식민지로 만들고 그 민족을 강제로 끌고 와 학대혹사하며, 강제노동 끝에 비참하게도 원폭을 맞아 죽게 한 전쟁책임을 그들에게 사과함과 동시에 이 세상에서 핵무기의 완전철패와 조선의 자주적 평화통일을 염원하여 마지않는다'는 대목이 더욱 가슴을 미어지게 했다.

전쟁은 계속되는가?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중단했던 플루토늄 생산을 재개하고 우라늄 농축시설도 증설한다"는 언론 보도가 줄을 이었다. '핵무기를 만들기 위한 전용이 가능하다'는 성급한 보도도 있다.

기사본문 이미지
우라카미 성당의 잔해
더불어 북한의 3차 핵(核)실험 강행 소식이 경악을 금치 못하게 했다. 땅이 흔들리는 것으로 볼 때 6-7kt 규모의 폭발력을 지니고 있어, '1945년 히로시마 원폭의 절반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하늘에서 이 땅을 내려다보고 있을 '나가이(永井)' 박사가 통탄할 일이다. '나가이(永井)'씨는 생전에 <로사리오의 기도>라는 책에 이렇게 썼다.

"일본은 평화주의국가가 되었노라고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어딘가 아직 전재(戰災)를 당해보지 않은 지방에서는 전쟁으로 득을 보리라고 믿는 자들과, 야만적인 투쟁 본능을 억누르지 못하는 자들이 버티고 있어서 언젠가 기회를 틈타 여론을 오도할지 모릅니다."

'나가이 다카시(永井隆, 1908-1951)' 박사는 당시 자신의 아들 '나가이 마코도(永井誠一)'를 데리고 피폭현장에서 주검을 수습하기도 했다. 겨우 10살짜리의 아이였지만, 그에게 참상의 현장을 목격시킨 이유는 전쟁의 아픔을 가르치기 위해서였다.

'그토록 사랑했던 아버지!'

"나뒹구는 백골과 더불어 지내는 이 끔찍한 생활을 굳이 '마코도(誠一)'에게 체험시킨 이유는 그 아이에게 전쟁의 본질을 뼛속 깊이 느끼게 해주기 위해서였습니다...그 아이는 세계가 변해가더라도 평생을 평화주의자로 살아갈 것임에 틀림없습니다."

기사본문 이미지
나가사키의 종
아들 '마코도(誠一)'는 아버지의 바람대로 평화주의자가 됐다. 그는 <눈물이 마를 날은 언제인가>의 한국어판(해누리/조양욱 역)을 통해 아버지(永井隆)의 마지막 모습을 다음과 같이 썼다.

"그토록 사랑했던 아버지는 1951년 5월1일 오전. 들것에 실려 예전에 근무하던 나가사키 의대 병원에 입원했다. 오후 9시 50분. 갑자기 '예수, 마리아, 요셉, 기도해 주세요.'라는 아버지의 외침이 들려왔다. 병실로 뛰어가 머리맡에 놓여있던 십자가를 손에 쥐어드리며 '아버지!' 하고 불렀으나 대답이 없으셨다."

'그토록 사랑했던 아버지!'

이 한마디에 모든 것이 함축돼 있다. 그토록 사랑했던 아버지를 잃은 아이들의 눈물을 그 누가 닦아줄 것인가. 나가사키(長崎)의 눈물이 영원히 마르지 않을 듯싶어 걱정이 앞선다.

입력 : 2013.02.13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국제상인 장상인의 세계, 세계인

전 팬택전무(기획홍보실장) 동국대 행정학과/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석사)/인하대 언론정보학과대학원 박사(수료). 육군 중위(ROTC 11기)/한국전력/대우건설 문화홍보실장(상무)/팬택 기획홍보실장(전무)/경희대 겸임교수 역임. 현재 JSI파트너스 대표/ 부동산신문 발행인(www.renews.co.kr) 저서:홍보, 머리로 뛰어라/현해탄 波高 저편에/홍보는 위기관리다/커피, 검은 악마의 유혹/우리가 만날 때마다 무심코 던지는 말들/오타줄리아(공저) 기타:월간조선 내가 본 일본 일본인 칼럼 215회연재/수필가, 소설가(문학저널 등단)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