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NewsRoom Exclusive
  1. 칼럼

‘국화 꽃 당신?’

장상인  JSI 파트너스 대표

  • 트위터
  • 페이스북
  • 기사목록
  • 글자 크게
  • 글자 작게
-나고야 성(城)의 국화 대회를 다녀오다
나고야의 가을이 무르익었다. 필자는 수북이 쌓인 낙엽을 밟으면서 길을 걸었다. 나무에서 떨어지는 낙엽들도 꽃 송이였다. 이런 저런 생각을 하면서, ‘시몬, 너는 좋으냐? 낙엽 밟는 소리가’ 를 읖조렸다. 

나고야 성의 역사와 부부 이야기
 
세키가하라(關ケ原) 전투에서 승리한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 1542-1616)’는 1609년 ‘도요토미 히데요시(豐臣秀吉, 1537-1598)’의 세력들을 막기 위해서 나고야(名古屋) 성(城)을 세우기 시작했다. 다음해인 1610년 ‘이에야스(家康)’는 ‘가토 기요마사(加籐淸正)’ 등 성(城) 쌓기 전문가들을 불러서 완성했다.
 
본문이미지
단풍에 둘러싸인 나고야 성

초대 번주(藩主)는 ‘이에야스’의 아홉 번째의 아들 ‘요시나오(義直)’였다. 그의 부인은 ‘하루히메(春姬)’. 두 사람의 결혼식이 나고야의 호화 웨딩의 뿌리이기도 하다. 매년 4월 ‘하루히메 길(道)’이라는 그 당시의 결혼식을 재현한 이벤트가 나고야 성 주변에서 행해지고 있다. 나고야 성은 봄철 벚꽃이 아름답지만, 저 멀리 단풍 숲 위에 우뚝 선 천수각도 멋이 있었다.
 
성(城) 입구에서 국화꽃으로 단장한 두 부부를 만났다. 초대 번주 ‘요시나오’와 그의 정실 ‘하루히메’였다. 그들(인형)의 옷은 생화였다. 불현 듯, 우리의 유행가 <국화꽃 당신>의 한 구절이 떠올랐다.
 
본문이미지
요시나오와 하루히메

<국화꽃 향기에 취해 달콤한 사랑에 취해/ 밤이 새도록 저 별은 나의별/ 저 별은 너의 별/ 꿈을 꾸듯 사랑했는데..>
 
‘요시나오’와 그의 정실 ‘하루히메’는 ‘아-얄미운 국화꽃 당신은 아니었을까?’
 
71년 째 이어지는 국화(菊花) 대회 겸 전시회
 
성(城)안에 들어서자 크고 작은 국화꽃들이 전시돼 있었다. 이 정도로 키우려면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듯싶었다.
 
본문이미지
전시된 작품들

나고야 최대급의 국화 대회는 대국(大菊)·산국(山菊)·절화(切花) 등 약 450 점이 전시돼 있었다. 10월 6일부터 개최된  전시회는 11월 23일 종료되며, 나고야 성에 입장하는 사람은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더불어, 국화 재배에 대한 무료 상담도 한다.
 
안내를 하는 시청 직원 나카무라(中村·46)씨는 이 대회는 올해도 71년 째 이어지는 행사라고 자랑했다.
 
“이 전시회는 올해로 71년이 됐습니다. 나고야 최대 이벤트입니다. 성에 입장하는 사람은 무료 관람합니다.”

일본인에 있어서의 국화의 의미는?
 
본문이미지
특별 출품작
‘일본인에 있어서 국화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Ruth Benedict, 1887-1948)의 저서 <국화와 칼>에 담긴 글을 빌어본다.

<아름다움을 사랑하고, 배우와 예술가를 존경하며, 국화를 가꾸는데 신비로운 기술을 가진 국민에 관한 책을 쓸 경우...동시에 이 국민이 칼을 숭배하며, ‘무사에게 최고의 영예를 돌린다’는 사실을...>
 
적절한 표현이다. 베네딕트(Ruth Benedict)는 일본에 살아본 적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 태어나서 미국에서 자란 일본인들을 많이 접했다. 그리고, 그들이 ‘자기 자신을 어떻게 판단하는 것’을 알아냈다. 그 후 도서관을 뒤지면서 연구와 연구를 거듭한 끝에 저서<국화와 칼>을  완성했던 것이다.
 
본문이미지
찬조 출품작
일본인 스스로는 국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언론인 이토 슌이치(伊藤俊一·65)씨의 말을 들어봤다.
 
“일본인들은 벚꽂과 국화를 다 좋아합니다. 벚꽃개화시기에 대해서는 뉴스가 많지만 국화에 대한 뉴스는 없습니다. 국화는 일년내내 일본인들의 가슴 속에 담겨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나라가 법적으로 정한 국화(國花)는 없습니다"

이토(伊藤)씨는  “벚꽃을 더 좋아하는가?, 국화를 좋아하는가?의 질문에 의미가 없다”고 했다.
 
우리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일본인들의 국화(國花)는 다른 형태로 각자의 가슴 속에 담겨 있는 것이다.

입력 : 2018.11.23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NewsRoom 인기기사
Magazine 인기기사
사진

국제상인 장상인의 세계, 세계인

전 팬택전무(기획홍보실장) 동국대 행정학과/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석사)/인하대 언론정보학과대학원 박사(수료). 육군 중위(ROTC 11기)/한국전력/대우건설 문화홍보실장(상무)/팬택 기획홍보실장(전무)/경희대 겸임교수 역임. 현재 JSI파트너스 대표/ 부동산신문 발행인(www.renews.co.kr) 저서:홍보, 머리로 뛰어라/현해탄 波高 저편에/홍보는 위기관리다/커피, 검은 악마의 유혹/우리가 만날 때마다 무심코 던지는 말들/오타줄리아(공저) 기타:월간조선 내가 본 일본 일본인 칼럼 215회연재/수필가, 소설가(문학저널 등단)
댓글달기 0건
댓글달기는 로그인 하신 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