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지원책이 다양하지만 이를 귀농인의 시각에서 재정비될 필요가 있다. 특히 원스톱 서비스가 되어야 한다 .농업기술센터 등 관계자들이 모두 전문성을 가져야 한다. 지원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단일화된 플랫폼을 만들 필요가 있다.
- 실제 귀농인의 성공사례는 드물다. 왜 드물까. 작물재배에 너무 많이 집착하기 때문이다. 성공 귀농인의 전문성이나 노하우와 접촉하라! 어쩌면 1차 산업이 아닌, 2차 농업산업이나 3차 산업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더 현명하다는 것이다.
귀농·귀촌을 유인하려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책은 풍성하다. 농촌을 살리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특히 일손이 부족하기에 귀촌·귀농 장려정책을 오랫동안 펼쳐왔다. 덕분에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공교롭게도 전 세계적인 경기불황과 관련성이 있다.
특히 농업이 1차 산업을 넘어 6차 산업으로 발돋움하는 시점에 정부의 귀농·귀촌 지원정책은 시의적절하다. 직장을 잃거나 구직하려는 도시의 젊은이들이 스타트 업을 농업분야의 한 축으로 삼아 도전하려는 움직임도 적지 않다. 이제 농업은 6차 산업뿐만이 아니라 15차 산업으로 발전해 갈 정도로 유망한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문제는 귀촌·귀농이 생각보다 많은 비용과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먼저 토지구입 자금도 적지 않다. 토지개량, 묘목식재, 거름, 관수, 농약, 수확인력 확보, 판로개척, 저장시설 등 여러 면에서 엄청난 인력과 자금이 소요된다. 이런 사정을 제대로 알지 못한 귀농인들은 2~3년 만에 손을 들고 다시 도시로 떠난 경우가 빈번하다고 한다. 작물을 재배하는 일을 한번도 제대로 하지 않은 상태에서 농사짓는 일은 너무 힘들다.
특히 농업이 1차 산업을 넘어 6차 산업으로 발돋움하는 시점에 정부의 귀농·귀촌 지원정책은 시의적절하다. 직장을 잃거나 구직하려는 도시의 젊은이들이 스타트 업을 농업분야의 한 축으로 삼아 도전하려는 움직임도 적지 않다. 이제 농업은 6차 산업뿐만이 아니라 15차 산업으로 발전해 갈 정도로 유망한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문제는 귀촌·귀농이 생각보다 많은 비용과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먼저 토지구입 자금도 적지 않다. 토지개량, 묘목식재, 거름, 관수, 농약, 수확인력 확보, 판로개척, 저장시설 등 여러 면에서 엄청난 인력과 자금이 소요된다. 이런 사정을 제대로 알지 못한 귀농인들은 2~3년 만에 손을 들고 다시 도시로 떠난 경우가 빈번하다고 한다. 작물을 재배하는 일을 한번도 제대로 하지 않은 상태에서 농사짓는 일은 너무 힘들다.
그런데 문제는 자금이 계속 필요하다는 점이다. 귀농을 위하여 자금을 준비한 사람도 2~3년 계속 자금을 투입하고도 매출은 거의 발생하지 않아 크게 낙담하게 된다.
그리고 농촌지역에서 일방적으로 매도하는 분위기도 문제이다. 그저 농촌으로 왔으니 육체적인 노동력을 투입해야 한다는 강박감을 불러 일으킨다. 과도한 비용지출에다 힘에 겨운 노동으로 대다수의 귀농인은 지쳐갈 수밖에 없다. 게다가 농수산물 가공이나 체험농장, 농촌지역 카페 등을 말하면 귀농의 진정성이 없다는 식으로 의심한다. 즉 농촌에 왔으니 육체노동을 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시선이 드세다.
그리고 농촌지역에서 일방적으로 매도하는 분위기도 문제이다. 그저 농촌으로 왔으니 육체적인 노동력을 투입해야 한다는 강박감을 불러 일으킨다. 과도한 비용지출에다 힘에 겨운 노동으로 대다수의 귀농인은 지쳐갈 수밖에 없다. 게다가 농수산물 가공이나 체험농장, 농촌지역 카페 등을 말하면 귀농의 진정성이 없다는 식으로 의심한다. 즉 농촌에 왔으니 육체노동을 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시선이 드세다.
그런데 성공한 귀농인들에게 물어보니 이렇게 답하는 사람이 많다.
“작물재배에 너무 많이 집착하기보다 농업의 전문성이나 노하우와 접촉하라.”
즉, 농촌지역에서 2차 산업이나 3차 산업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더 현명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귀농정책도 이런 점을 감안하여 2차 산업이나 3차 산업 같은 농산물의 가공 등으로 귀농·귀촌을 유도하는 정책이 현실적이다. 무조건 작물재배를 강요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귀농정책 지원인력의 전문성이 필요하다. 서비스도 원스톱 서비스체제를, 그리고 서비스를 받는 사람의 관점에서 재정비되어야 한다. 공모사업 등도 여기저기 산만하게 펼칠 것이 아니라 통합적으로 이를 보여주는 플랫폼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