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한계는 어디일까? 최근에 인공지능이 예술품의 경락가에 대한 예측수단으로 활용되고도 있다. 그리고 실제로 그 예측치가 상당한 정확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인공지능의 예상 낙찰가에 대한 예측가능성에 대하여는 여전히 부정적인 시각이 널리 깔려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인공지능의 예측 능력은 개선되어 갈 것임에 분명해 보인다. 따라서 오히려 좀더 선제적인 자세를 취할 필요가 있다. 차제에 인공지능을 통하여 예술품의 가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신비한 요소를 연구 분석할 필요가 있다. 가격예측과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상호 밀접한 관련성이 있기 때문이다.
- 올해 초에 인공지능이 마르 로스코의 작품의 낙찰 가격을 95% 정도의 정확도를 보였다고 한다. 소더비즈에서는 마르 로스코의 1960년대 작품을 경매에 붙이기로 하였다. 이에 인공지능을 통하여 그 예상가를 알아 보기로 하였다. 당시 실험에 의하면 인공지능은 예상 낙찰가를 4백23만달러로 평가하였다고 한다.그런데 결과적으로 해당 작품은 4백만 38만 달러로 판매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보면 인공지능의 예상과와 큰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최근 흥미로운 시도가 이목을 끈다. 인공지능이 작사 작곡뿐만 아니라 소설을 쓴다. 이미 일본에선 인공지능이 쓴 소설이 입상까지 했단다. 문화예술의 영역은 창조적인 공간으로 인간만이 가능하다는 고정관념을 어이없이 무너뜨려 가히 충격적이다….
그렇다면 인공지능이 예술품을 감정할 수 있을까.
물론 주식투자를 하는 인공지능은 어느 정도 일반화된 상태이다. 놀라운 점은 전문투자가 보다 그 실적이 그리 나쁘지 않다고 한다. 그런데 예술품의 낙찰가 예측도 가능할까? 이를 위하여서는 예술품의 가격산정 메커니즘을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최근 소더비즈에서는 예술품의 가격산정에 필요한 10개의 요소를 공개한 바 있었다. 경매대행기관의 분석체계가 분명 인공지능의 판단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간 경매 등에서 낙찰가를 예상하는 것은 갤러리나 옥션의 미술상들의 독점적인 노하우인 셈이었다. 이런 아성에 도전하여 인공지능에 의한 낙찰가의 예상이 가능할까? 신문 지상의 보도로는 예술작품이 인터넷에서 디지털 이미지로 노출되는 횟수와 전 세계 백만장자의 수와 그들이 소유하는 부와 대비하여 가격선을 예측하도록 한 것이다.
올해 초에 인공지능이 마르 로스코의 작품 낙찰 가격을 예상하는 데에 95% 정도의 정확도를 보였다고 한다. 올해 소더비즈에서는 마르 로스코의 1960년대 작품을 경매에 부치기로 하였다. 이에 인공지능을 통하여 그 예상가를 알아보기로 한 것이다. 그런데 당시 실험에 의하면 인공지능은 예상 낙찰가를 4백23만 달러로 평가하였다. 경매결과에 의하면 해당 작품은 4백만 38만 달러로 판매가 되었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보면 인공지능의 예상과 큰 차이가 없는 셈이었다.
물론 이 사례만으로 인공지능의 예술품 감정이 가능하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인공지능의 예술품 감정가 산출 부분에 대하여는 그간 많은 논란이 있었다. 이는 그만큼 가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너무 많고 다양하기 때문이다. 이번 사례만으로 섣불리 인공지능의 감정능력에 대한 신뢰성 여부를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다만 가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요소를 제대로 분석할 수만 있다면 인공지능의 예측능력이 점차 향상될 것이다. 따라서 인공지능이 분야에서 진화하기 위하여서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인공지능의 예술품 평가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는 과거 수치에 의한 기술적 분석에 따른 한계에 기초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새로운 신인의 등장이나 중견작가에 대하여 새롭게 재평가하는 경우에 과연 인공지능이 제대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한 우려이다.
물론 이런 지적은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어 보인다. 그러나 새로운 신인에 대한 욕구도 기존 예술품에 대한 식상함 등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일정한 수준의 식상함의 누적 역시 과거 빅데이터의 분석에 의하여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경향에 대한 욕구와 그 경향 내지 심지어 그 방향까지도 슈퍼컴퓨터인 인공지능이 이를 제대로 예측하지 못할 것이라는 가설 역시 이를 전적으로 믿기는 어렵다.
따라서 의외로 인공지능의 예술품의 감정가나 낙찰가의 예상능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진화할 것임이 분명하다. 이는 그만큼 예술품의 가격구조가 수없이 다양한 판단요소에 기초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제한적 분석능력을 가진 인간에 비하여 향후 더 뛰어난(?) 분석능력을 가진(질) 인공지능이 역설적으로 더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